$\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폐산림의 엽면적지수 추정을 위한 적색경계 밴드의 효과
Effect of Red-edge Band to Estimate Leaf Area Index in Close Canopy Forest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5 pt.1, 2017년, pp.571 - 585  

이화선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규성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색경계밴드(red-edge band)가 식물의 생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적색경계밴드를 포함한 위성영상센서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농림업중형위성에 적색경계밴드 탑재를 계획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적색경계밴드와 관련된 연구 현황과 활용 가치를 분석하고자 한다. 수관울폐도가 높은 우리나라 산림의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 LAI 추정을 위한 최적의 파장폭과 파장영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LAI가 5 이상인 갈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를 대상으로 4월부터 10월까지 시계열 분광반사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LAI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광반사측정자료에서 5개의 파장폭(10 nm, 20 nm, 30 nm, 40 nm, 50 nm)과 71개의 중심파장(680 nm부터 750 nm까지 1 nm 간격)을 달리하여 모두 355개의 적색경계밴드를 모의 생성했다. 적색경계밴드를 기반으로 하는 두 개의 분광지수 NDRE(normalized difference red-edge index)와 CIRE(chlorophyll index red-edge)를 산출하여 LAI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적색경계밴드 기반의 분광지수인 NDRE 및 CIRE는 수관울폐도가 높은 갈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LAI와 높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수관울폐도가 높은 국내 산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NDVI가 LAI와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0 nm부터 50 nm까지 적색경계밴드의 파장폭 효과는 산림의 LAI와 관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AI와 최대 상관관계를 보이는 적색경계밴드의 중심파장은 갈참나무에서는 720 nm 부근, 그리고 리기다소나무에서는 710 nm 주변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농작물 및 산림의 식생정보 획득과 모니터링을 위한 최적의 적색경계밴드의 파장폭과 파장영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생물리적인자(엽록소, 질소, 수분함량, 생체량 등)와의 관계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spaceborne optical sensors including red-edge band has been increasing since red-edge band is known to be effective to enhance the information content on b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Considering that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atellite is planning to carry an imag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식물의 생물리적 정보 획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적색경계밴드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로서, 수관울폐도가 높은 국내 산림의 특성을 감안하여 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최근에 적색경계밴드를 포함하는 새로운 위성영상센서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농지와 산림의 식생정보 획득과 모니터링을 위한 농림업중형위성에 적색경계밴드를 포함하는 탑재체를 계획 중에 있다.
  •  LAI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LAI값이 다른 여러 지점을 대상으로 위성영상이나 항공영상에서 추출한 밴드반사율 또는 분광지수를 이용하여 LAI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소수의 한정된 측정자료지만, 동일 수목을 대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시계열 현지 측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자료를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효과를 분석했다는 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LAI는 농업 및 임업 분야뿐만 아니라 환경생태, 기상, 수자원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변수로서 정확하고 적절한 시공간적 매핑이 필요한 상황이다.
  • 국내 산림은 성공적인 조림사업과 강력한 산림보호 정책에 힘입어 수관울폐도가 매우 높은 임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NDVI를 비롯한 기존의 영상만으로는 LAI를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관울폐도가 높은 국내 대표 수종을 대상으로 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즉 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포함여부, 파장영역, 파장폭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관울폐도가 높은 산림의 엽면적지수(LAI) 추정에 있어서 적색경계밴드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얻었던 야외분광측정 자료를 이용하였다. LAI가 높은 울창한 산림에서 NDVI와 LAI의 } 관계가 낮아지는 포화문제와 비교하여 LAI 추정에 적색경계밴드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 2008년부터 공급되기 시작한 적색경계밴드 위성영상을 이용한 여러 연구에서 식물의 생물리적 변수(엽면적지수, 엽록소함량, 수분함량, 생체량 등)의 추정, 작물분류, 병충해 모니터링 등에 적색경계밴드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 분광반사측정 자료로부터 모의 생성된 적색경계밴드를 이용하여 산출된 분광지수인 NDRE 및 CIRE가 수관울폐도가 높은 갈참나 무와 리기다소나무의 LAI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얻었다. 이는 수관울폐도 높은 국내 산림에서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NDVI가 LAI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적색경계밴드의 파장폭이 LAI와 관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현재 적색경계밴드를 갖고 있는 대표적 위성센서인 Rapideye를 기준으로 파장폭이 40 nm인 적색경계밴드만을 대상으로 최적의 파장영역을 찾고자 하였다. 즉 중심파장이 680 nm부터 750 nm까지 1 nm 간격으로 모의생성된 71개의 적색경계밴드를 이용하여 계산된 분광지수(NDRE, CIRE)와 LAI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AI 추정에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한 두 가지 방식은 각각 무엇인가? , 2002).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LAI 추정은 현지에서 측정된 LAI값과 영상신호값(밴드 반사율, 분광지수 등)사이의 관계식을 이용하는 실험적 방식(Curran et al., 1992; Peddle et al., 1999)과 식물 엽층에서 전자기에너지의 반사모형을 이용한 이론적인 추정 방식(Kuusk, 1998)으로 나눌 수 있다. 국내에서도 산림이나 농지의 LAI분포지도 제작을 위하여 다양한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실험적 관계식을 도출한 사례가 있다(Lee et al.
엽면적지수란 무엇인가?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는 단위면적당 엽면적의 합을 비율로 나타낸 지수로써 농업, 임업, 생태학, 수문학 및 기상학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생물리적 변수다. 현지에서 LAI의 측정은 많은 인력과 비용을 요구하며, 더 나아가 산림의 경우 직접적인 측정은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규식생지수를 LAI 측정에 활용하는 것의 한계는?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는 일반적으로 식물의 엽량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연히 LAI 추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NDVI를 이용한 LAI 추정은 대부분 농지, 초원, 건조지역 산림 등 식물의 피복율이 비교적 낮은 식생지역에서 효과적이며, LAI가 일정 수준 이상인 울폐도가 높은 식생지역에서는 NDVI와의 관계성이 떨어진다고 알려졌다(Turner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delabu, S., O. Mutanga, and E. Adam, 2014. Evaluating the impact of red-edge band from Rapideye image for classifying insect defoliation level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95(2014): 34-41. 

  2. Baret, F., S. Jacquemoud, G. Guyot, and C. Leprieur, 1992. Modeled analysis of the biophysical nature of spectral shifts and comparison with information content of broad band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41(2-3): 133-142. 

  3. Carlson, T.N. and D.A. Ripley, 1997. On the relation between NDVI, fractional vegetation cover, and leaf area index,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2(3): 241-252. 

  4. Cho, M.A. and A.K. Skidmore, 2006. A new technique for extracting the red edge position from hyperspectral data: The linear extrapolation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1(2): 181-193. 

  5. Clevers, J.G. and A.A. Gitelson, 2013. Remote estimation of crop and grass chlorophyll and nitrogen content using red-edge bands on Sentinel-2 and-3,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23(2013): 344-351. 

  6. Clevers, J.G., L. Kooistra, and M.M.M. van den Brande, 2017. Using Sentinel-2 Data for Retrieving LAI and Leaf and Canopy Chlorophyll Content of a Potato Crop, Remote Sensing, 9(5): 405. 

  7. Curran, P.J., J.L. Dungan, and H.L. Gholz, 1992. Seasonal LAI in slash pine estimated with Landsat T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39(1): 3-13. 

  8. Dash, J. and P. Curran, 2007. Evaluation of the MERIS terrestrial chlorophyll index (MTCI), Advances in Space Research, 39(1): 100-104. 

  9. Dawson, T. and P. Curran, 1998. Technical note A new technique for interpolating the reflectance red edge 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11): 2133-2139. 

  10. Delegido, J., J. Verrelst, C. Meza, J. Rivera, L. Alonso, and J. Moreno, 2013. A red-edge spectral index for remote sensing estimation of green LAI over agroecosystems, European Journal of Agronomy, 46(2013): 42-52. 

  11. Dube, T., O. Mutanga, M. Sibanda, C. Shoko, and A. Chemura, 2017.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Red Edge band from RapidEye sensor in quantifying leaf area index for hydrological applications specifically focussing on plant canopy interception,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100(2017): 73-80. 

  12. Eitel, J.U., L.A. Vierling, M.E. Litvak, D.S. Long, U. Schulthess, A.A. Ager, D.J. Krofcheck, and L. Stoscheck, 2011. Broadband, red-edge information from satellites improves early stress detection in a New Mexico conifer woodlan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12): 3640-3646. 

  13. Elvidge, C.D. and Z. Chen, 1995. Comparison of broadband and narrow-band red and near-infrared vegetation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4(1): 38-48. 

  14. Gitelson, A.A., Y. Gritz, and M.N. Merzlyak, 2003. Relationships between leaf chlorophyll content and spectral reflectance and algorithms for nondestructive chlorophyll assessment in higher plant leaves,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60(3): 271-282. 

  15. Gitelson, A.A., 2004. Wide dynamic range vegetation index for remote quantification of biophys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61(2): 165-173. 

  16. Haboudane, D., J.R. Miller, E. Pattey, P.J. Zarco-Tejada, and I.B. Strachan, 2004. Hyperspectral vegetation indices and novel algorithms for predicting green LAI of crop canopies: Modeling and validation in the context of precision agricul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0(3): 337-352. 

  17. Herrmann, I., A. Pimstein, A. Karnieli, Y. Cohen, V. Alchanatis, and D. Bonfil, 2011. LAI assessment of wheat and potato crops by VEN ${\mu}$ S and Sentinel-2 band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8): 2141-2151. 

  18. Hong, S.Y., J. Hur, J. Ahn, J. Lee, B. Min, C. Lee, Y. Kim, K.D. Lee, S. Kim, and G.Y. Kim, 2012. Estimating rice yield us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 509-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Horler, D., J. Barber, and A. Barringer, 1980. Effects of heavy metals on the absorbance and reflectance spectra of pl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2): 121-136. 

  20. Immitzer, M., F. Vuolo, and C. Atzberger, 2016. First experience with Sentinel-2 data for crop and tree species classifications in central Europe, Remote Sensing, 8(3): 166. 

  21. Kim, S., S.Y. Hong, K.A. Sudduth, Y. Kim, and K. Lee, 2012. Comparing LAI estimates of corn and soybean from vegetation indices of multiresolution satellite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6): 597-609. 

  22. Korhonen, L., P. Packalen, and M. Rautiainen, 2017. Comparison of Sentinel-2 and Landsat 8 in the estimation of boreal forest canopy cover and leaf area index,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5(2017): 259-274. 

  23. Kross, A., H. McNairn, D. Lapen, M. Sunohara, and C. Champagne, 2015. Assessment of RapidEye vegetation indices for estimation of leaf area index and biomass in corn and soybean crop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34(2015): 235-248. 

  24. Kuusk, A., 1998. Monitoring of vegetation parameters on large areas by the inversion of a canopy reflec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15): 2893-2905. 

  25. Lee, K., S. Kim, Y. Park, and K. Jang, 2003. Generation of Forest Leaf Area Index (LAI) Map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and Field Measurement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9(5): 371-380. 

  26. Lee, K., W.B. Cohen, R.E. Kennedy, T.K. Maiersperger, and S.T. Gower, 2004. Hyperspectral versus multispectral data for estimating leaf area index in four different biom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1(3): 508-520. 

  27. Lee, K., S. Kim, J. Park, T. Kim, Y. Park, and C. Woo, 2006. Estimation of forest LAI in close canopy situation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2(5): 305-311. 

  28. Mutanga, O., E. Adam, and M.A. Cho, 2012. High density biomass estimation for wetland vegetation using WorldView-2 imagery and random forest regression algorithm,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8(2012): 399-406. 

  29. Myneni, R.B., S. Hoffman, Y. Knyazikhin, J. Privette, J. Glassy, Y. Tian, Y. Wang, X. Song, Y. Zhang, and G. Smith, 2002. Global products of vegetation leaf area and fraction absorbed PAR from year one of MODI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1): 214-231. 

  30. Peddle, D.R., F.G. Hall, and E.F. LeDrew, 1999. Spectral mixture analysis and geometric-optical reflectance modeling of boreal forest biophysical struc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7(3): 288-297. 

  31. Pu, R., P. Gong, G.S. Biging, and M.R. Larrieu, 2003. Extraction of red edge optical parameters from Hyperion data for estimation of forest leaf area index,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1(4): 916-921. 

  32. Ramoelo, A., A.K. Skidmore, M.A. Cho, M. Schlerf, R. Mathieu, and I.M. Heitkonig, 2012. Regional estimation of savanna grass nitrogen using the red-edge band of the spaceborne RapidEye sensor,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9(2012): 151-162. 

  33. Schuster, C., M. Forster, and B. Kleinschmit, 2012. Testing the red edge channel for improving land-use classifications based on high-resolution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3(17): 5583-5599. 

  34. Shin, J. and K. Lee, 2010.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leaf area index and spectral reflectance under full canopy coverage situation, Proc. of 2010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Conference, Incheon, KOREA, Mar. 26, vol. 13, pp. 22-27 (in Korean). 

  35. Sibanda, M., O. Mutanga, and M. Rouget, 2015. Examining the potential of Sentinel-2 MSI spectral resolution in quantifying above ground biomass across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10(2015): 55-65. 

  36. Sibanda, M., O. Mutanga, M. Rouget, and L. Kumar, 2017a. Estimating Biomass of Native Grass Grown under Complex Management Treatments Using WorldView-3 Spectral Derivatives, Remote Sensing, 9(1): 55. 

  37. Sibanda, M., O. Mutanga, and M. Rouget, 2017b. Testing the capabilities of the new WorldView-3 space-borne sensor's red-edge spectral band in discriminating and mapping complex grassland management treat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8(1): 1-22. 

  38. Thomas, J. and H. Gausman, 1977. Leaf reflectance vs. leaf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centrations for eight crops, Agronomy Journal, 69(5): 799-802. 

  39. Turner, D.P., W.B. Cohen, R.E. Kennedy, K.S. Fassnacht, and J.M. Briggs, 1999. Relationships between leaf area index and Landsat TM spectral vegetation indices across three temperate zone sit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0(1): 52-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