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냉감 소재를 활용한 밀착형 여성 스포츠 상의의 착용쾌적성 평가
Evaluation of the Wear Comfort of Women's Fitted Sports T-shirts Made from Cool-Touch Fabric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5, 2017년, pp.929 - 938  

김소영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최지영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이희란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홍경희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ol touch fabrics on thermo-regulating physical properties and subjective evaluation using a 3D fitted women's T-shirts in wear test. Qmax, clothing microclimate, microclimate wettedness, thermogram and subjective vote were observed during rest-right af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냉감 소재의류를 인체에 밀착되는 디자인의 3D 여성용 티셔츠로 제작하고 이를 착용한 운동전, 운동 후 및 휴식 시의 주관적 착용감이 일반 소재의류와 어떻게 다른가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물성 평가값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Jeong and Kim(2009)는 피부젖음을 분석하여 아웃도어웨어의 착용쾌적성을 평가하였는데, 이때 피부젖음은 피부로부터의 최대 증발량에 대한 유효 증발량의 비로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아웃도어 소재가 흡한 속건기능을 가졌을 때 특히 피부젖음이 유의하게 낮았다는것을 지적하였다. Fukazawa and Havenith(2009)의 연구에서는 인체의 각 부위별로 쾌적한 피부젖음 지표를 제안하였는데 팔과 허벅지는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냉감 소재로 제작한 여성용 밀착형 티셔츠가 일반 소재 밀착형 티셔츠에 비교하여 운동전, 간단한 운동을 한 직후, 휴식 후에 착용쾌적성이 어떻게 다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Qmax, 의복기후, 써모그램, 주관적 평가법을 이용하였고, 특히, 피부젖음에서의 개념을 도입하여 피부면이 포화되었을 때와 환경과의 최대 수증기압차에 대한 피부면과 환경의 실제 수증기압 차이의 비율을 도입한 의복내 미세기후젖음(Microclimate wettedness)을 도출하여 냉감 소재의 주관적 착용평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운 환경에서 쾌적성 저해를 보완하기 위해 어떤 의류제품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가? 더운 환경에서의 신체 활동은 체온 및 한서감의 증가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쾌적성이 저해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체의 신체적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온열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의류제품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냉감 섬유제품은 관련 시장에서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쿨론’, ‘에어로쿨’, ‘아스킨’, ‘아쿠아X’ 등의 기능성 소재의 출시와 더불어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들이 출시되어 왔다(Kwon & Lee, 2014).
여름철 기능성 섬유제품에 응용되는 냉감 관련 제조기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의류소재의 냉감 기능 발현 연구는 초기에는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의 특성에 의존한 제품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2005년 ‘쿨비즈’ 제품이 출시되면서 쾌적성을 추구하는 고기능성 섬유개발이 급격히 증가하였다(Shon, 2015).여름철 기능성 섬유제품에 응용되는 냉감 관련 제조기술에는 섬유의 이형단면 형상을 이용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과 땀을 신속하게 외부로 이동, 건조시키도록하여 흡한 속건 기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과 상변이 물질인 PCM을 이용한 수분감응형 섬유제조기술 등이 있다(Kim et al., 2014).
쿨맵시복장 착용 시 일반 복장 착용과 비교하여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고온다습, 강한 일사와 자외선, 강우 등의 외부 환경요소와 높은 발한량, 냄새 발생 등의 인체요소 등을 극복하기 위한 일차적 수단으로 의복소재의 특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및 건강의복연구회에서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쿨맵시 착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하였는데, 쿨맵시복장 착용 시에는 일반 복장 착용과 비교하였을 때 2℃ 높은 환경온에서도 온열쾌적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Kang & Na, 2010). 더운 환경에서의 신체 활동은 체온 및 한서감의 증가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쾌적성이 저해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rglund, L. G., & Cunningham, D. J. (1986). Parameters of human discomfort in warm environments. Proceedings of the ASHRAE Transactions, Annual Conference, USA, 92 (2B), 732-746. 

  2. Dawes, V. H., & Owen, J. D. (1971). The assessment of fabric handle. Part 1: Stiffness and liveliness.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62(5), 233-244. 

  3. Fukazawa, T., & Havenith, G. (2009). Differences in comfort perception in relation to local and whole body skin wettednes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6(1), 15-24. doi:10.1007/s00421-009-0983-z 

  4. Gagge, A. P., Stolwijk, J. A. J., & Saltin, B. (1969). Comfort and thermal sensations and associated physiological responses during exercise at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Environmental Research, 2(3), 209-229. doi:10.1016/0013-9351(69)90037-1 

  5. Gwosdow, A. R., Stevens, J. C., Berglund, L. G., & Stolwijk, J. A. J. (1986), Skin friction and fabric sensations in neutral and warm environments. Textile Research Journal, 56 (9), 574-580. doi:10.1177/004051758605600909 

  6. Hong, K. H. (2014). Preparation of rayon filament based woven fabric and PCM treatment for developing cool touch summer clothing materia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2), 326-332. doi:10.5805/SFTI.2014.16.2.326 

  7. Jeon, E., Yoo, S., & Kim, E. (2010). Evaluation of moisture management properties and moisture perception of highperformance shirts fabr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17(3), 302-307. 

  8. Jeong, J. R., & Kim, H. E. (2009). Evaluation of the wear comfort of outdoorwear by skin wettedness analy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11(6), 947-952. 

  9. Kang, N., & Na, Y. (2010).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 jective sensation of human body wearing cool mapsi in air-conditio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2), 359-370. 

  10. Kawabata, S., & Akagi, Y. (1977). Relation between thermal feeling and thermal absorption property of clothing fabric. Sen'i Kikai Gakkaishi (Journal of the Textile Machinery Society of Japan), 30(1), T13-T22. doi:10.4188/transjtmsj.30.T13 

  11. Kim, H. A., Woo, J. Y., & Kim, S. J. (2014). The physical property of PET coolness knitted fabric for high emotional garmen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6(2), 114-123. doi:10.5764/TCF.2014.26.2.114 

  12. Kim, S., & Hong, K. (2012). Engineering design process of tight-fit sportswear using 3D information of dermatomes and skin deformation in dynamic postur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3), 551-565. doi:10.5934/KJHE.2012.21.2.551 

  13. Korea Global Atmosphere Watch Center. (2017, June 2). 5월 기온 4년 연속 최고 1위 경신 [ Top-ranked May temperature updates over the past four years]. Climate Information Portal. Retrieved June 16, 2017, from http://www.climate.go.kr/home//n_search/search_view.html 

  14. Kwon, E. S., & Lee, M. S. (2014). 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design preference of summer clothes using cooling textile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2), 55-70. 

  15. Lee, B. S., Nam, S. I., Song, J. W., & Rho, Y. H. (2012). 냉감/발열(보온) 기능성 섬유소재 기술 개발 동향 [Trend in technology development of cool/warm (thermal) touching functional fiber].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6(2), 77-88. 

  16. Li, Y. (2001). The science of clothing comfort. Textile Progress, 31(1-2), 1-135. doi:10.1080/00405160108688951 

  17. Sato, M., & Chu, M. S. (2016). End-use properties of coolness fabric for inner wear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2(4), 329-337. doi:10.18208/ksdc.2016.22.4.329 

  18. Shon, S. K. (2015). 냉감기능성 섬유기술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 of functional fiber technology].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9(2), 142-151. 

  19. Tamura, T. (1994). 기초피복위생학 [Basic Clothing Hygienics] (E. Kim & S. J. Park, Trans.). Seoul: Kyungchu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20. Yang, J. S., Park, H. S., & Jeon, Y. M. (2015). 온감/냉감 의류 제품의 기능성 평가법 동향 [Functional evaluation method trend of warm/cool feeling apparel products].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9(4), 262-270. 

  21. Ziegert, B., & Keil, G. (1988). Stretch fabric interaction with action wearables: Defining a body contouring pattern system.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4), 54-64. doi:10.1177/0887302X88006004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