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5, 2017년, pp.966 - 976
노상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현철승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주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earing latex gloves with inner gloves on the skin hydration of the hands. Fifteen young males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bare hand (BH), latex glove (LG), and latex glove with inner glove condition (LGIG) at an air temperature of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장갑 내 면장갑의 추가 착용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Ramsing and Agner(1996b)는 14일간 매일 6시간씩 장갑을 착용하게 하는 동안 피부수분도가 증가하였는데 장갑 내 면장갑의 추가 착용에 의해 증가 정도가 어느 정도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흡습성이 우수한 소재의 속장갑 착용을 통해피부수분증발 촉진, 즉 손이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보조할 수 있으나, 손의 섬세한 동작이 요구되는 수술이나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속장갑의 추가 착용은 쾌적감 향상이라는 장점보다 기민성 저하로 인한 작업효율 손실이 더 클 수 있다. Wells et al. | |
피부수분도는 무엇인가? | 피부각질층을 통한 수분손실은 ‘경표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로 불리며 이는 삼투에 의해 각질층을 통과하여 발산된 수분량을 의미한다. 피부수분도는 TEWL과는 달리 피부의 각질층이현재 함유하고 있는 수분보유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부의 습윤 혹은 건조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광범위하게사용된다. TEWL이 높다는 것은 피부각질층 내 보유된수분의 외부 방산이 활발한 것으로 이해되며 이 경우 보유수분의 손실로 인해 피부수분도는 낮아지게 되나, 환경 온습도나 보호복 착용 등의 영향으로 이러한 관계가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 |
피부수분도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 TEWL이 높다는 것은 피부각질층 내 보유된수분의 외부 방산이 활발한 것으로 이해되며 이 경우 보유수분의 손실로 인해 피부수분도는 낮아지게 되나, 환경 온습도나 보호복 착용 등의 영향으로 이러한 관계가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피부수분도는 나이나 인종등에 따라 다르며, 측정부위, 피부온도, 발한, 일주기 리듬, 피부세척, 피부혈관 폐색, 피부질환, 카페인 섭취, 흡연, 기온, 습도, 기류, 기압, 계절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알려져 있다. 피부수분도는 고령이 될수록 저하하여 건조해지고, 이마나 손바닥이 배나 넓적다리, 종아리보다높으며, 땀이 나면 증가하고, 아토피 환자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으며, 피부를 물에 자주 노출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일 경우 높고, 초건조환경(ultra-low humidity)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경우 피부수분도는 낮으며, 흡연자인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피부수분도가 보고된다(du Plessis et al. |
Baker, H. (1972). The skin as a barrier. In A. Rook, D. S Wilkinson, & F. J. G. Ebling (Eds.), Textbook of dermatology Volume 2 (2nd ed., pp. 249-255). Oxfor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Berardesca, E. (1997). EEMCO guidance for the assessment of stratum corneum hydration: electrical methods. Skin Research & Technology, 3(2), 126-132. doi:10.1111/j.1600-0846.1997.tb00174.x
Bucks, D., & Maibach, H. I. (1999). Occlusion does not uniformly enhance penetration in vivo. In R. L. Bronaugh & H. I. Maibach (Eds.), Percutaneous absorption: Drug-cosmetics-mechanisms-methodology (3rd ed.) (pp. 81-105). New York, NY: Marcel Dekker, Inc.
Candas, V., & Dufour, A. (2005). Thermal comfort: Multisensory interactions?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and Applied Human Science, 24(1), 33-36.
Cao, W., & Cloud, R. M. (2011). Balancing comfort and function in textiles worn by medical personnel. In G. Song (Ed.), Improving comfort in clothing (1st ed.) (pp. 370-384). Philadelphia, PA: Woodhead Publishing Limited.
Choi, B. M., Kim, Y. G., Choung, J. T., & Tockgo, Y. C. (1994). Clinical study of allergic reaction to latex gloves in hospital personnel.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4(1), 30-37.
du Plessis, J., Stefaniak, A., Eloff, F., John, S., Agner, T., Chou, T. C., Nixon, R., Steiner, M., Franken, A., Kudla, I., & Holness, L. (2013).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the in vivo assessment of skin properties in non-clinical settings: Part 2.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skin hydration. Skin Research & Technology, 19(3), 265-278. doi:10.1111/srt.12037
Hwang, K. (1992). Distribution of hairs and sweat glands in body regions of Korean adults: A morphometric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Jang, H. Y., Park, C. W., & Lee, C. H. (1996). A study of transepidermal water loss at various anatomical sites of the skin.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34(3), 402-406.
Kezic, S., & Nielsen, J. B. (2009). Absorption of chemicals through compromised skin.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82(6), 677-688. doi:10.1007/s00420-009-0405-x
Kligman, A. M. (2000). Hydration injury to human skin: A view from the horny layer. In L. Kanerva, P. Elsner, J. E Wahlberg, & H. I. Maibach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dermatology (pp. 76-80). Heidelberg: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Koh, J. S., Chae, K. S., & Kim, H. O. (1998). Skin charcteristics of normal Korean subjects according to sex and site using non-invasive bioengineering method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36(5), 855-864.
Kopka, A., Crawfored, J. M., & Broome, I. J. (2005). Anaesthetists should wear gloves-touch sensitivity is improved with a new type of thin glove.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49(4), 459-462. doi:10.1111/j.1399-6576.2004.00571.x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6차 인체치수조사 [The 6th Size Korea 3D scan & measurement technology report]. Size Korea. Retrieved March 14, 2014, from http://www.sizekorea.org/page/report/2
Krylov, O. A., & Deryugina, E. G. (1957). The sweating reactions of the palm. Bulletin of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43(2), 152-155. doi:10.1007/BF00786348
Kuno, Y. (1956). Human perspiration. Springfiedl, IL: Thomas.
Lee, J. Y. (2005). A study on the body surface area of Korea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Lee, S. H., Chung, J., Ahn, S. K., Kang, J. S., & Kwon, O. K. (1994). Comparative measurement of skin surface hydration using a hydrometer and corneometer.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32(4) 599-608.
Min, P. K., Kim, D. W., Jun, J. B., & Chung, S. L. (1996). The changes of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the recovery rate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ccording to the skin surfac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in a diffusion chamber.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34(6), 875-885.
Park, S. J., & Tamura, T. (1994). Change of evaporation rate on local skin by posture for designing comfortable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2), 245-253.
Ramsing, D. W., & Agner, T. (1996a). Effect of glove occlusion on human skin (I). Short-term experimental exposure. Contact Dermatitis, 34(1), 1-5. doi:10.1111/j.1600-0536.1996.tb02102.x
Ramsing, D. W., & Agner, T. (1996b). Effect of glove occlusion on human skin (II). Long-term experimental exposure. Contact Dermatitis, 34(4), 258-262. doi:10.1111/j.1600-0536.1996.tb02196.x
Roberts, A. D., & Brackley, C. A. (1996). Comfort and frictional properties of dental gloves. Journal of Dentistry, 24(5), 339-343. doi:10.1016/0300-5712(95)00080-1
Vorih, D. C., Bolton, L. D., Marcelynas, J., Nowicki, T. A., Jacobs, L., & Robinson, K. J. (2009). Comparison of nitrile gloves and nitrile over nomex gloves. Air Medical Journal, 28(6), 288-290. doi:10.1016/j.amj.2009.06.001
Wells, R., Hunt, S., Hurley, K., & Rosati, P. (2010). Laboratory assessment of the effect of heavy rubber glove thickness and sizing on effort, performance and comfort.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0(4), 386-391. doi:10.1016/j.ergon.2010.03.002
Zhai, H., & Maibach, H. I. (2002). Occlusion vs. skin barrier function. Skin Research & Technology, 8(1), 1-6. doi:10.1046/j.0909-752x.2001.10311.x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