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의 1837년 「혼수발기」 속 부마 편복(便服) 고찰
Namnyeong-wie, Yun Eui-Seon's Everyday Clothes included in Wedding Gift List in 1837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4 no.3, 2021년, pp.68 - 89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헌종 3년(1837)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는 막내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의 8월 가례를 맞아 부마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 1823~1887)에게 혼수품을 내렸다. 그 물목을 적은 「혼수발기」가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혼수발기」를 통해 19세기 전기의 부마 편복에 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기」 속 편복 품목을 대략 36종으로 정리하고 용도별로 ① 상의류 9종, ② 하의류 8종, ③ 관모와 수식 10종, ④ 허리띠와 주머니 4종, ⑤ 부채 3종과 신발 2종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남녕위의 편복 중 가장 중요한 의복은 남광사 도포와 남광초 창의(대창의)로 구성된 통상예복이었다. 그 외에 창의 2점(남광수사·청저포), 중치막 1점(남생경광주), 쟁친 상침긴옷 1점(옥색 쌍문초), 모시 홑창옷 1점(소창의), 겹저고리 2점(보라색 설사, 저포), 당포적삼에 생경광주한삼과 저포한삼이 있었고 하의류로는 겹바지와 고의(홑바지), 당포 행전과 버선 2켤레, 초록사 요대, 옥색사 대님이 있었다. 셋째, 관모와 부속품으로 밀화영과 사영을 갖춘 흑립, 정자관·동파관, 받침모 탕건과 복건이 있었으며 수발(修髮)에 필요한 상투관과 세 종류의 동곳(산호·밀화·순금), 옥관자를 갖춘 망건이 있었다. 특히 정자관과 동파관은 18세기 이후 신분별 구분이 있던 관모인데 남녕위에게는 정자관과 동파관을 함께 보냈다. 넷째, 홍색 계통의 세조대와 부싯돌을 담을 쌈지와 사낭, 그리고 옥선추를 장식한 선자, 사직물로 만든 모선, 소접(小摺) 등의 부채류, 운혜와 당혜 신발도 포함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덕온공주가례등록』의 복식 기록과는 달리 「혼수발기」의 복식 기록이 당시의 실제적인 복식 명칭임을 확인하였으며 19세기 전기 부마 편복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ugust 1837, a list of wedding gifts was given by Queen Sunwon (1789-1857) to her son-in-law, Namnyeong-wie, Yun Eui-Seon (1823-1887) at the wedding of Princess Deok-on (1822-1844). This Honsubalgi is now kept at the National Hangeul Museum. This text was used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the ...

주제어

표/그림 (36)

참고문헌 (58)

  1. 「각양건제(各樣巾製)」 

  2. 「무명자집(無名子集)」 

  3. 「방언유석(方言類釋)」 

  4. 「벽계영유록(碧鷄榮遊錄)」 

  5. 「삼재도회(三才圖會)」 

  6. 「상서기문(象胥紀聞)」 

  7. 「순조실록(純祖實錄)」 

  8.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9.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10.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11.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12. 「육전조례(六典條例)」 

  13.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14. 「재물보(才物譜)」 

  15. 「정재집(定齋集)」 

  16. 「정조실록(正祖實錄)」 

  17. 「조선기문(朝鮮紀聞)」 

  18. 「존재집(存齋集)」 

  19. 「청파극담(靑坡劇談)」 

  20.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 하(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 下)」 

  21. 강명관, 2008, 「한양가」, 신구문화사, pp.75, 79. 

  22. 경기도박물관, 2003, 「동래 정씨 묘 출토 복식 조사보고서」, p.171. 

  23. 국립고궁박물관, 2010, 「영친왕 일가 복식」, pp.22, 24, 40, 108~109. 

  24. 국립고궁박물관, 2019, 「궁중 서화 II : 소장품 도록 제14책」, pp.94~95. 

  25. 국립국악원, 2003, 「조선시대 음악 풍속도 II」, 민속원, p.154. 

  26. 국립대구박물관, 2020, 「선비의 멋, 갓」, pp.81, 166. 

  27.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민족역사문화도감」, pp.64~65. 

  28. 국립민속박물관, 2007, 「수복」, p.109. 

  29.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 風俗畵」, pp.43, 224. 

  30. 국립중앙박물관, 2011a, 「조선시대 초상화 I」, p.66. 

  31. 국립중앙박물관, 2011b, 「초상화의 비밀」, pp.48, 87, 119. 

  32. 국립중앙박물관, 2020, 「평안, 어느 봄날의 기억」, pp.43, 56. 

  33. 김원모.정성길(1997), 「사진으로 본 백년 전의 한국」, 가톨릭출판사, p.46. 

  3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4, 「韓國服飾」 12, pp.126, 132, 133, 134, 135, 136. 

  3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a, 「名選 中」, p.30. 

  3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b, 「靴.鞋.履」, p.62. 

  3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名選 下」, p.200. 

  3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4, 「유당 신태관 일가 유물」, p.156. 

  39. 대전선사박물관, 2010, 「동츈당뎐」, p.128. 

  40. 박선희, 2011, 「18세기 이후 통신사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58. 

  41. 서울역사박물관, 2020, 「한양을 지켜라」, p.58. 

  42. 孫貞圭, 1948, 「朝鮮裁縫」, 三中堂, pp.53~54. 

  43. 온양민속박물관, 1989, 「安東 金氏 墳墓 發掘調査報告書」, p.422. 

  44. 육군박물관, 2012, 「군사복식」, p.26. 

  45. 이명은, 2003, 「「궁중ᄇᆞᆯ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83, 195, 249. 

  46. 이옥, 2008, 「연경, 담배의 모든 것」, 안대회 옮김, 휴머니스트, pp.202~203. 

  47. 이은주, 2019,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의 1837년 「혼수발기」 속 冠服 고찰」, 「文化財」 52(3), pp.211, 216, 200~221. 

  48. 이은주.이경희, 2015, 「1877년 완화군(完和君)의 관례복식(冠禮服飾)에 대한 연구」, 「韓服文化」 18(2), p.39. 

  49.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17, 129. 

  50. 이주영, 2018, 「조선 후기 정자관(程子冠)의 용도와 형태」, 「服飾」 68(5), p.190. 

  51. 이훈종, 1992, 「민족생활어사전」, 한길사, p.69. 

  52. 韓國民族美術硏究所, 2011, 「澗松文華」 81, pp.70, 74. 

  53. 황문환 외, 2010,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42후, 43전, 52전. 

  54. 國立故宮博物院, 1971, 「故宮圖像選萃」, 臺北: 國立故宮博物院, p.32. 

  55. 中??史博物館保管部, 2003, 「中國歷代名人?像譜」, 福州: 海峽文?出版社, p.26. 

  56. Terry Bennett, 1997, Korea : Caught in Time, Reading, UK: Garnet, p.87. 

  57. 한국고전번역원 https://www.itkc.or.kr 

  58.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http://jsg.aks.ac.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