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회마을 담장 형태의 변화양상
Changing Aspects of the Wall Types of Hahoe Villag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5, 2017년, pp.87 - 96  

김동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197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담장의 형태적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소재 및 형태, 분포 중심의 변화과정을 4시기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 하회마을이 문화재로 지정되기 이전인 1970년대는 마을 중심부의 토담에 기와를 얹은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마을 외곽부에서는 토담에 볏짚이나 솔잎 등을 올리거나 담장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싸리담을 두르기도 하였다. 둘째, 1980년대 문화재 지정 이후에는 초기단계의 문화재 정비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퇴락가옥 보수나 기반시설 정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담장에 대해서는 문화재 지정 이전의 분포와 큰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과거 하회마을의 입지 특성상 담장에 돌을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토석담으로의 대거 교체가 확인되었으며, 이전시기에 비해 머리부에 기와를 사용한 사례가 증가되었다. 이전시기 주를 이루던 토담의 비중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2000년대까지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현장조사를 통해 오늘날 하회마을의 담장을 살펴본 결과, 마사토에 시멘트, 강회, 자갈 등을 섞은 몸체가 마을 대부분의 담장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엉을 얹은 담장과 싸리담의 범위는 마을 외곽부의 일부로 축소되었다. 다섯째,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하회마을 담장의 변화특성으로 새로운 소재의 사용빈도 증가와 기존 가옥의 담장교체에 따라 머리부에 기와를 얹은 가옥 범위의 확대 등이 도출되었으며, 그 요인은 풍수적 가치 퇴조, 원형 기록에 대한 부족, 건축물 외 시설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결여, 기타 담장 정비에 대한 마을 주민간의 관계 등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Andong Hahoe Village and seeks to identify the shape of the walls since the 1970s. The change of walls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hape and distribut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In the 1970s, when And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197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담장의 형태적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소재 및 형태, 분포 중심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성과 요인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담장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그간 수행되었던 조사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Lee and Son(2011)에 의하면 하회마을 연구는 Kim(1964)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나 건축, 역사․문화경관, 풍수, 환경, 보존방안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본격적인 연구는 1979년 하회 마을 조사보고서가 발간된 이후로 보고 있다.
  • 현재까지도 하회마을의 담장은 근대기에 들어서면서 민속마을로 지정되기 이전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고, 민속마을 지정 이후에도 그 변화과정이 모호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하회마을이 민속마을로 지정되기 이전인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 소재 및 형태, 분포 등 하회마을 담장이 변화되어온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따른 경향과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동 하회마을의 특징은? 국가민속문화재 제122호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의 씨족 마을로 유교의 전통과 함께 전통마을의 경관을 보존해온 곳이며, 오랜 세월에 걸쳐 조선시대 초기 마을의 구조를 유지해온 결과, 2010년에는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하회마을의 비지정가옥들을 개방하지 않는 이유는? 오늘날 하회마을은 화경당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84호, 북촌댁)을 포함하여 문화재로 지정된 8개 가옥을 제외한 비지정 가옥들은 사생활 보호 및 훼손방지 등의 목적으로 대부분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하회마을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이 담장 너머로 어렴풋이 보이는 가옥의 모습 외에 접할 수 있는 마을의 풍경은 마을길을 따라 둘러진 담장과 수목 등 수직적 경관이 주를 이루게 된다.
문화재로 지정된 하회마을을 이용객들은 어떻게 접하게 되는가? 오늘날 하회마을은 화경당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제84호, 북촌댁)을 포함하여 문화재로 지정된 8개 가옥을 제외한 비지정 가옥들은 사생활 보호 및 훼손방지 등의 목적으로 대부분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하회마을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이 담장 너머로 어렴풋이 보이는 가옥의 모습 외에 접할 수 있는 마을의 풍경은 마을길을 따라 둘러진 담장과 수목 등 수직적 경관이 주를 이루게 된다. 이중 담장은 단일 조형물 자체로서가 아니라, 주변 환경과 함께 인지되며(Jung and Lee, 1994), 특히 전통마을에서의 담장은 길을 따라 연속적으로 둘러져 마을의 토속적 인상을 부여하고 있다(Lim,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dong City(2001)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of Hahoe Village. Andong City. 

  2. Andong City(2013) A Comprehensive Plan of Management and Preservation for Hahoe Village. Andong City. 

  3. Bureau of Cultural Property(1983) A Research Report of Hahoe Folk Village. Bureau of Cultural Property. 

  4. Bureau of Cultural Property(1989) A Research Report of Management and Preservation for Hahoe Village. Bureau of Cultural Property. 

  5.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2007) Design Guide Line of Hahoe Village.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6. Gyeongsangbuk-do Province(1979) A Survey on the Hahoe Village. Gyeongsangbuk-do Province. 

  7. Han, P. W. and J. O. Lee(2005) The effect of the change of living space on the external appearance in the traditional houses of Yangdong Village. Jouran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Design) 21(10): 85-96. 

  8. Han, P. W. (2011) In Quest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Humanist; Seoul. 

  9. Jung, S. G. and J. Lee(1994) Analysis on th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the fe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3): 65-78. 

  10. Kim, T. G.(1964) A Study on the Living Structure in Cognate Village, Cheongdo Collage Publishing; Daegu. 

  11. Kim, Y. M.(2012), An Intelligible Dictionary of Traditinal Landscape Facility. Dongnyok Publishing; Paju. 

  12. Lee, H. S. and Y. H. Son(2011) A study on the changes of landscape elements in Hahoe Villag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2(1): 21-40. 

  13. Lee, S. H. and S. M. Jeong(2007) Hahoe Village. Seoul; Solbook. 

  14. Lee, W. H.(2017) Influence of tourism utilization trend before and after world heritage list on heritag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2017 ICO-Form Workshop Journal. pp. 9-37. 

  15. Lim, J. H.(1992) Hahoe Village, Andong City. Daewonsa; Seoul. 

  16. Tripadvisor Website www.tripadvisor.co.kr 

  17. Kyunghyang Newspaper Published March 17, 1981. pp. 5. 

  18. Kyunghyang Newspaper Published December 11, 1983. pp. 7. 

  19. Hankyoreh Newspaper Published October 20, 1989. pp. 7. 

  20. Maeil Business Newspaper Published October 21, 1992. pp. 23. 

  21. Yonhap Newspaper Published February 8, 201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530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