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수목의 수령에 따른 생장율과 탄소흡수량 변화
Changes in Growth Rate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ge of Landscape Tre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5, 2017년, pp.97 - 104  

조현길 (강원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박혜미 (강원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합한 조경식재를 통한 녹지 확충은 저탄소 사회를 구현하는데 필수적 역할이다. 본 연구는 주요 조경수종의 수령에 따른 줄기 직경 생장률,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 및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수목은 중부지방에 식재된 11개 수종 및 112개체이었다. 줄기 직경 생장률과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는 근굴취를 포함한 직접수확법을 통해 측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수령에 따른 탄소흡수량 변화는 유도한 계량모델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연구대상 수목의 수령 30년에 걸친 연간 흉고직경 생장률은 낙엽수 평균 0.72cm/년 및 상록수 0.83cm/년이었다. 수령 전체의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는 낙엽수 평균 0.40 및 상록수 0.23으로서, 낙엽수의 뿌리 생체량은 상록수보다 약 1.7배 많았다. 수령별 그 생체량비는 수령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상이하였다. 수령 25년까지의 누적 탄소흡수량은 느티나무가 198.3kg으로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왕벚나무 121.7kg, 잣나무 117.5kg, 소나무 77.4kg 등의 순이었다. 느티나무의 누적 탄소흡수량은 동일 기간 가정용 전력소비에 따른 1인당 탄소배출량의 약 5%를 상쇄하는 셈이었다. 연구대상 조경수의 생장률과 탄소흡수능은 동일 수종의 산림수목보다 훨씬 양호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수종 선정, 식재밀도, 생장지반 조성 등을 포함하여 탄소흡수를 증진하기 위한 조경식재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수령에 따른 조경수의 생장 및 탄소흡수 변화를 구명하는 초석 연구로서 저탄소 도시녹지 조성에 유용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space enlargement through proper landscape planting is essential to creating a low carbo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stem diameter growth rates(DGR), ratios of below ground/above ground biomass(B/A),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ge of major landscape tree species. Landscape tree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중부지방의 주요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근굴취를 포함한 직접수확법을 통해, 수령에 따른 직경 생장률,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 및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구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와 관련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탄소흡수를 증진하기 위한 조경식재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 그러나, 동일 수령에 따른 수종 간 탄소흡수량 차이나 일정 수령에 도달하기까지 흡수한 누적탄소량을 파악할 수 없고, 어떤 수종의 탄소흡수능이 상대적으로 양호한지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수령에 따른 직경 생장률,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 및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종 선정을 비롯하여 탄소흡수를 증진하기 위한 조경식재 및 관리의 기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직경 생장률은 수령별 생장추이에 따른 탄소흡수능 분석은 물론 생장환경 관련 식재와 관리에 응용할 수 있다.
  • kr)을 상쇄할 식재밀도 요건과 바람직한 식재기법을 제안하였다. 최적 수종이라도 생장 불량은 탄소흡수능을 제한하므로, 본 연구결과와 기존 연구(Jo et al., 1998; Jo, 1999; Jo and Park, 2016)를 토대로 수목의 정상 생장을 도모할 식재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가설 설정

  • b: Deciduous species averaged across Acer spp., Fraxinus sp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수목의 탄소흡수를 도시수목에 적용하는 것에 오류가 있는 이유는? 국내의 경우, 과거 산림수목을 중심으로 수간재적이나 생체량의 측정을 통해 생장에 따른 탄소흡수를 연구하여 왔다(Jo and Ahn, 2000; KFRI, 2010). 도시수목은 관리, 경합 등 생장환경이 산림수목과 상이하므로, 산림수목의 탄소흡수를 도시수목에 적용하는 것은 상당한 오차를 야기한다(Jo and Cho, 1998; Jo and Ahn, 2001). 이러한 견지에서, 최근 도시 조경수목을 대상으로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수종별 생장에 따른 탄소흡수를 용이하게 계량화하는 모델들을 개발한 바 있다(Jo and Ahn, 2012; Jo et al.
저탄소 추구란 무엇인가? 저탄소 추구는 탄소저감과 탄소흡수를 포괄하는 활동으로서, 탄소저감은 화석연료 절약과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요구하며, 탄소흡수는 녹지조성 및 보전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조경분야에서는 적합한 조경수종 선정 및 식재기법에 의한 도시녹지의 확충을 통해 탄소흡수원 증진에 일조할 필요가 있다.
탄소흡수능을 연구하는 데 있어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경 생장률,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 자료는 각각 어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수령에 따른 직경 생장률,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 및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수종 선정을 비롯하여 탄소흡수를 증진하기 위한 조경식재 및 관리의 기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직경 생장률은 수령별 생장추이에 따른 탄소흡수능 분석은 물론 생장환경 관련 식재와 관리에 응용할 수 있다. 지하부/지상부 생체량비는 난이한 근굴취 대신 지상부 만의 생체량으로부터 수령별 지하부 생체량 및 탄소흡수를 계량화하는데 유용한 기반정보이다. 조경수의 연륜에 따른 탄소흡수량 산정을 비롯한 이들 내용은 국내의 경우, 신규 연구로서, 조경수종별 생장추이와 탄소흡수능을 이해하고, 식재효과를 증진하는데 실용적일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ay, J. R.(1963) Root production and the estimation of net productivity. Canadian Journal of Botany 41: 65-71. 

  2. Cairns, M. A., S. Brown, E. H. Helmer and G. A. Baumgardner (1997) Root biomass allocation in the world's upland forests. Oecologia 111: 1-11. 

  3. Cheong, W. D.(2016) Plan to Counteract Climate Change I. (http://opm.go.kr/pmo/news/news01.jsp?modeview&article_no92754) 

  4. Chung, S. H., M. G. Choi and G. S. Lee(1983) A study on the diameter increment of major hardwood in middle area of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60: 24-29. 

  5. Hermann, R. K.(1977) Growth and production of tree roots: A review. In J. K. Marshall, ed., The Belowground Ecosystem: A Synthesis of Plant-Associated Processes. Fort Collins, Colorado: Colorado State University, Range Science Department. pp. 7-28. 

  6.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2014) Electricity Information 2014. Paris. 

  7. Jo, H. K.(1993) Landscape Carbon Budgets and Planning Guidelines for Greenspaces in Urban Residential Land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USA. 

  8. Jo, H. K.(1999)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release from management of urban veget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2): 101-108. 

  9. Jo, H. K. and D. H. Cho(1998) Annual $CO_2$ uptake by urban popular landscape tree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38-53. 

  10. Jo, H. K. and E. G. McPherson (1995) Carbon storage and flux in urban residential greenspac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45: 109-133. 

  11. Jo, H. K. and H. M. Park(2016) Exploring planting strategies through monitoring of a greenspace established in the riparian zone -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site in Gapyeong County.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12): 1689-1699. 

  12. Jo, H. K., J. Y. Kim, and H. M. Park(2013)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evergreen trees for urban landscape -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5): 571-578. 

  13. Jo, H. K., J. Y. Kim, and H. M. Park(2014) Carbon reduction effects of urban landscape trees and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odels - For five native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13-21. 

  14. Jo, H. K., K. E. Lee, Y. H. Yun, and O. H. Seo(1998) Land use and greenspace structure in several cities of K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4): 171-183. 

  15. Jo, H. K. and T. W. Ahn(2000) Indicator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growth in natural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3): 175-182. 

  16. Jo, H. K. and T. W. Ahn(2001) Rol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by trees in urban ecosystem - In the case of Yongi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3): 38-45. 

  17. Jo, H. K. and T. W. Ahn(2012)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deciduous tree species for urban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60-168. 

  18.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0) Greenhouse Gas Inventory of Urban Green Areas - In Case of Seoul Metropolis. Research Report pp. 1-42. 

  19.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2) Volume, 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of Forest Trees. Research Report pp. 186-206. 

  20. KFRI(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4) Carbon Emission Factors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y Species in Korea. Research Report pp. 44-70. 

  21. Nowak, D. J.(1994) Atmospheric carbon dioxide reduction by Chicago's urban forest. In E. G. McPherson, D. J. Nowak, and R. A. Rowntree, eds., Chicago's Urban Forest Ecosystem: Results of the Chicago Urban Forest Climate Project. General Technical Report NE-186. Radnor, PA: USDA Forest Service, Nor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pp. 83-94. 

  22. Nowak, D. J. and D. E. Crane(2002)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urban trees in the USA. Environmental Pollution 116: 381-389. 

  23. Park, W. G.(1987) A Study on the Diameter Growth and Key Year for Pinus koraiensis and Pinus densiflora. Master Thesis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24. Whittaker, R. H.(1962) Net production relations of shrubs in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43(3): 357-377. 

  25. Whittaker, R. H. and P. L. Marks(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 In H. Lieth and R. H. Whittaker, eds.,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New York: Springer-Verlag. pp. 55-118. 

  26. http://www.itreetools.org 

  27. http://www.law.go.kr 

  28. http://www.molit.go.kr/portal.do 

  29. https://www.gir.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