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낙엽성 조경수종의 탄소저장 및 흡수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Deciduous Tree Species for Urban Landscap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5, 2012년, pp.160 - 168  

조현길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안태원 ((주)수프로 식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접수확법을 통해 도시 낙엽성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계량화에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도시조경수로 흔히 식재되는 단풍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및 은행나무이었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한 수목을 구입하여,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산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4개 수종별 생장에 따른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4~0.99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단목의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은 모두 직경생장과 더불어 증가하였고, 직경급간 그 차이도 대개 직경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동일 직경에서는 느티나무가 가장 높은 경향이었고, 다음으로 왕벚나무, 은행나무 등의 순이었다. 유도한 회귀식을 적용하면,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단목은 약 54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연간 7kg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는 정부나 지자체의 도시녹지 사업과 관련하여 조경수목의 탄소저감을 평가하는 공공기반기술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generated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the carbon storage and uptake from the urban deciduous landscape trees through a direct harvesting method, and established essential information to quantify carbon reduction from urban greenspace. Tree species for the study included Acer palmatum, 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도시수목의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중요한 기반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낙엽성 도시조경수들에 한정하여 그들의 탄소저감을 계량화하는 산정식들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상록성 조경수들의 탄소저장 및 흡수도 산정하여, 낙엽수종의 경우와 비교하고 도시녹지 탄소저감 계량화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 이와 같이, 국내 조경수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한 기반자료가 매우 미흡한 상황이며, 소수의 기존 연구도 간접적인 접근방법에 따른 한계점 보완과 그 결과의 비교 검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낙엽성 도시조경수를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고, 수종별로 탄소저장량과 탄소흡수량을 용이하게 추정하는 수식을 개발하여 도시녹지의 탄소저감을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조경수목의 수종별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직접 벌목 및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국내 도시녹지 탄소저감 계량화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수목과 자연산림수목의 차이는 무엇인가? 즉, 국립산림과학원(2010b)에서 11개 산림수종을 대상으로 목재기본밀도, 생체량 확장계수, 뿌리함량비, 탄소함량비 등 탄소흡수계수와 상대생장식을 도출한 바 있다. 도시수목은 자연산림과 환경조건이 상이한 도시환경에서 인위적 관리, 수목 간 경합조건의 차이 등으로 인해 생장에 의한 생체량 축적의 특성이 산림수목과 다르며, 일부 도시활엽수의 경우 탄소흡수량이 수종에 따라 산림수목의 1/2 수준에서 2배의 범위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조현길과 조동하, 1998; 조현길, 1999). 또한, 국내 도시공원 수목의 개체당 탄소저장량은 미국 도시수목의 재적식을 적용한 산정치와 적지 않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국립산림과학원, 2010a).
도시녹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대기 CO2 농도 증가와 기후변화의 심각성으로 그 영향을 지연 혹은 완화하는 탄소흡수원으로서 도시녹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녹지는 교토의정서(3.
도시녹지에 대한 국내 기존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org/how/protocols). 그러나, 국내에서는 도시 조경수목의 탄소 저감 효과를 계량화하기 위한 수종별 상대생장식이나 탄소흡 수량 산정식에 관한 연구가 소수에 불과하며(조현길과 조동하, 1998; 조현길과 안태원, 2001; 국립산림과학원, 2010a; 박은진과 강규이, 2010), 주로 산림부문의 탄소흡수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즉, 국립산림과학원(2010b)에서 11개 산림수종을 대상으로 목재기본밀도, 생체량 확장계수, 뿌리함량비, 탄소함량비 등 탄소흡수계수와 상대생장식을 도출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립산림과학원(2007) 산림 바이오매스 및 토양탄소 조사?분석 표준. 

  2. 국립산림과학원(2010a) 도시녹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서울시를 대상으로.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pp. 10-19. 

  3. 국립산림과학원(2010b) 산림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위한 주요 수종별 탄소배출계수.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pp. 10-25. 

  4. 농업과학기술원(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5. 박은진, 강규이(2010) 경기도 도시가로수의탄소저장량과연간이산화탄 소 흡수량 산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5): 591-600. 

  6. 박인협, 김준선(1989)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천연림의 물질현존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8(3): 323-330. 

  7. 박인협, 이석면(1990)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림의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9(2): 196-204. 

  8. 방광자, 이종석(1995) 우리나라 조경 수목의 식재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1): 67-94. 

  9. 손영모, 이경학, 정영교(1997) 비선형 생장함수를 이용한 임분생장 추정. 한국임학회지 86(2): 135-145. 

  10. 송칠영, 장관순, 박관수, 이승우(1997)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의 탄소고정량 분석. 한국임학회지 86(1): 35-45. 

  11. 정성호, 최문길, 이근수(1983) 중부지방 주요활엽수의 직경성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임학회지 60: 24-29. 

  12. 조현길, 이경재, 권전오(1998a) 서울시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2(1): 30-41. 

  13. 조현길, 이기의, 윤영활, 서옥하(1998b) 강원도 일부 도시들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한국조경학회지 25(4): 171-183. 

  14. 조현길(1999) 강원도 일부도시의 경관내 탄소흡수 및 배출과 도시녹지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7(1): 39-53. 

  15. 조현길, 안태원(2000) 자연생태계 수목의 생장에 따른 탄소저장 및 흡수량 지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3): 175-182. 

  16. 조현길, 안태원(2001) 도시 침엽수에 의한 연간 $CO_{2}$ 흡수 및 대기정화-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118-124. 

  17. 조현길, 조동하(1998) 도시 주요조경수종의 연간 $CO_{2}$ 흡수. 한국조경학회지 26(2): 38-53. 

  18. 한국조경학회(2007) 조경설계기준. 서울: 기문당. 

  19. Ajtay, L. L., P. Ketner and P. Duvigneaud(1979) Terrestrial production and phytomass. In Bolin, B., E. T. Degens, S. Kempe, and P. Ketner, eds., The Global Carbon Cycle, SCOPE Report No.13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129-181. 

  20. Chow, P. and G. L. Rolfe(1989) Carbon and hydrogen contents of short rotation biomass of five hardwood species. Wood and Fiber Science 21(1): 30-36. 

  21. Nowak, D. J. and D. E. Crane(2002)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urban trees in the USA. Environmental Pollution 116: 381-389. 

  22. Ovington, J. D.(1956) The composition of tree leaves. Forestry (British Journal) 29: 22-29. 

  23. Pingrey, D. W.(1976) Forest products energy overview. In Energy and the Wood Products Industry. Madison, WI: Forest Products Research Society. pp. 1-14. 

  24. Reichle, D. E., B. E. Dinger, N. T. Edwards, W. F. Harris and P. Sollins(1973) Carbon flow and storage in a forest ecosystem. In Woodwell, G. M. and E. V. Pecan, eds., Carbon and the Biosphere. Proceedings of the 24th Brookhaven Symposium in Biology. Upton, NY: US Atomic Energy Commission, Office of Information Services. pp. 345-365. 

  25. Whittaker, R. H. and P. L. Marks(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 In Lieth, H. and R. H. Whittaker, eds., Primary Productivity of the Biosphere. New York: Springer-Verlag. pp. 55-118. 

  26. http://co2.kemco.or.kr 

  27. http://www.climateactionreserve.org/how/protocols 

  28. http://www.forest.go.kr 

  29. http://www.fs.fed.us/ccrc/topics/urban-forest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