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해역에서 비선형 조석으로 인한 해수면 변화
Sea Level Change due to Nonlinear Tides in Coastal Region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9 no.5, 2017년, pp.228 - 238  

정태성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조사된 조위 조화상수를 수집하여 조석 분포와 비선형 조석특성의 분포를 조사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목포항과 군산외항의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여 비선형 조석의 경년변화와 비조화상수(고조위, 저조위, 조차)의 경년변화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비선형 조석의 발생과 조석형태수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 분조의 변화는 고조위와 저조위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목포항에서는 해안개발로 인해서 비선형 분조의 진폭과 위상이 크게 변화하고, 이로 인해서 고조위가 상승하고, 저조위는 하강하여 조차가 증가하였다. 군산외항에서는 새만금방조제 준공이후에 비선형 조석의 영향으로 고조위는 하강하고, 저조위는 상승하여 조차가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astal region, tidal harmonic constants of semi-diurnal tides and nonlinear tides were collected. The observed tide data of KHOA were analyzed by a tide harmonic analysis method. In the southwestern coasts and Han river estuary, nonlinear tides are clearly generated. The generation of tide non-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관측된 조석 조화 상수를 수집하여 조석특성과 비선형 조석의 공간분포를 파악하고, 비선형 조석이 뚜렷하게 나타는 목포항과 군산 외항에서 관측된 국립해양조사원의 장기간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여 조석 조화상수의 시간변화를 조사하고, 비조화상수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비선형 분조의 조화상수의 공간분포 분석에는 기존 연구(Jung and Jeong, 2013)에서 활용한 자료에 추가로 국립해양조사원의 국가해양관측망 연간 백서(KHOA, 2012~2016)에 수록된 자료, 환경영향평가서보고서, 풍수해저감종합계획보고서, 설계보고서 등에 수록된 자료를 수집하여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해역의 조석특성이 변화함에 따라 어떤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가? 최근 해수면 상승과 이로 인한 해안재해가 전국 연안에서 발생하고 있으며(Korea Maritime Institute, 2012; Yoon and Kim, 2012), 지구온난화와 해안개발로 인해서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조석특성도 변화하고 있다(Jung, 2016). 조석특성의 변화로 인해서 서해안 저지대의 침수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1996; Kang et al., 2005a; Jang and Kim, 2009).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바닥마찰과 분조간의 비선형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는 비선형 조석의 분포와 변화에 대해서는 그 동안 다수의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주로 조석 수치모형(Suh, 1999; Jung, 2011)을 이용하여 연구되어 왔다.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특성은 무엇에 따라 나타나는가? 우리나라 연안해역은 해역에 따라 서로 다른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석특성도 해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 수심이 얕고, 넓은 조간대가 분포하는 서해 연안해역에서는 비교적 높은 조차가 발생하고 있고, 수심이 깊은 동해 연안에서는 조차가 매우 적다.
서해 연안해역의 조차 특성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연안해역은 해역에 따라 서로 다른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석특성도 해역에 따라 크게 다르다. 수심이 얕고, 넓은 조간대가 분포하는 서해 연안해역에서는 비교적 높은 조차가 발생하고 있고, 수심이 깊은 동해 연안에서는 조차가 매우 적다. 많은 섬들이 분포하고 있는 남해안은 서해안과 유사하게 조간대가 분포하고 있으나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운 동해안 보다는 조차가 크지만 서해안 보다는 조차가 작다(Lee,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yun, D.S., Wang, X.H. and Holloway, P.E. (2004). Tidal characteristics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stuarine, Coastal & Shelf Research, 59, 185-196. 

  2. Jang, D.H. and Kim, J.-S. (2009). Vulnerability assessment under the sea level rise based on climate change in Chungnam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2), 1-13. 

  3. Jung, T.S. (2011). Numerical modeling of tide asymmetry in the southeast coastal zone of yellow s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6), 429-441. 

  4. Jung, T.S. (2014). Change of mean sea level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6(3), 120-130. 

  5. Jung, T.S. (2016). Inter-annual variation of tides on the western coast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8(2), 81-91. 

  6. Jung, T.S. and Jeong, J.K. (2013). Spatial distribution and time variation of M2 tide and M4 tid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5(4), 255-265. 

  7. Kang, J.W. (1996). Tide/tidal currents changes by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near the coastal zone of Mokpo. Journal of Water, Coast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SCE, 16(II-6), 611-619. 

  8. Kang, J.W., Moon, S.R. and Oh, N.S. (2005a).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Journal of Water, Coast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SCE, 25(2B), 151-157. 

  9. Kang, J.W., Moon, S.R. and Park, S.J. (2005b). Effects of tidal flat enlargement induced by tidal ampl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7(1), 47-54. 

  10.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2). Annual Report of Korean Oceanographic Observation Network. 

  11.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3). Annual Report of Korean Oceanographic Observation Network. 

  12.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4). Annual Report of Korean Oceanographic Observation Network. 

  13.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5). Annual Report of Korean Oceanographic Observation Network. 

  14.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6). Annual Report of Korean Oceanographic Observation Network. 

  15. Korea Maritime Institute (2012).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Coastal Areas' Climate Change Response Capabilities: with focu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capability of coastal municipalities. 

  16. Lee, S.W. (1983). Physical Oceanography. Jipmoondang, Korea. 

  17. Min, B.I., Kim, K.O., Lee, H.S., Yuk, J.-H. and Choi, B.H. (2011). Disturbances in tidal and sedimentation regimes at saemangeum due to a dike. J. of Coastal Research, SI 64, 576-580. 

  18. Nishida, H. (1980). Improved tidal charts for the western part of the north pacific ocean. Report of Hydrograhic Researches, No. 15. 

  19. Pugh, D.T. (1987). Tides, Surges and Mean Sea-Level. John Wiley & Sons Ltd. 

  20. Speer, P.E. and Aubrey, D.G. (1985). A study of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I: Theo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21, 207-224. 

  21. Suh, S.W. (1999). Shallow tides generation in the yellow sea by using a nonlinear three-dimensional harmonic finite element model. Journal of Water, Coast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SCE, 19(II-3), 389-399. 

  22. Yoon, J.J. and Kim, S.I. (2012).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J.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2(3), 299-305. 

  23. Yoon, B.B. and Woo, S.-B. (2012). Analysis of tidal asymmetry and flood/ebb dominance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9), 915-928. 

  24. Yoon, B.I., Woo, S.-B., Kim, J.W. and Song, J.I. (2015). The regional classification of tidal regime using characteristics of astronomical tides, overtides and compound tides in the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7(3), 149-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