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안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분석: 1인가구와 한부모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Family Safety of One-Person and Single-Parent Househol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2, 2017년, pp.25 - 50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oncern about family safety is rising again as an important issue with the context of family healthiness and well-being in Korean society despite of the dramatic economic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family safety of singles and single-parent households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 국가와 비교하여 기초적 생존을 위한 복지재정 현실은? 지난 2016년 전체 국가재정 지출에서 복지 보건 분야 지출은 OECD 국가의 GDP 대비 복지재정 규모로 볼 때 여전히 평균의 절반 수준에 해당하는 10.4%에 불과한 실정이다(보건복지부, 2017). 과거 1990년대에 약 2% 수준에 불과하였던 복지재정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선진국 수준의 보장에는 미흡하다 하겠다.
우리사회 가정이 과연 얼마나 안전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최근 가정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야기된 가정범죄 사건이 여러 차례 매체에 의해 보도된 이후 우리사회 가정이 과연 얼마나 안전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례없이 급진전한 산업화가 가져온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계층의 양극화와 가족기능의 저하를 야기하는 요인들이 존재한다.
급진전한 산업화가 가져온 경제성장 이면에는 무엇이 존재하는가? 최근 가정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야기된 가정범죄 사건이 여러 차례 매체에 의해 보도된 이후 우리사회 가정이 과연 얼마나 안전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례없이 급진전한 산업화가 가져온 경제성장의 이면에는 계층의 양극화와 가족기능의 저하를 야기하는 요인들이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현숙(2016). 한부모가정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성별, 한부모기간, 교급에 따른 차이. 학교사회복지, 35, 275-302. 

  2.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3. 나영선. 이재열. 한준상. 이경묵. 한성안 (2005).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노영주. 허정원. 서지원. 서선희(1999). '가정 복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가정학의 재개념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1-11. 

  5. 박경숙. 김미선(2016). 노인 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율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학, 50(1), 221-253. 

  6. 보건복지부(2016). www.mohw.go.kr. 

  7. 서울특별시(2016). http://citybuild.seoul.go.kr. 

  8. 서지원(2006). 사회자본으로서의 가족자원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14. 

  9. 서지원(2013). 한부모가족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03-124. 

  10.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181. 

  11. 여성가족부(2015).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2. 여성가족부(2016). www.mogef.go.kr. 

  13. 임채원(2006). 신자유주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 파주 : 한울. 

  14. 장지연(2012). 복지국가의 고용과 사회안전망. 노동리뷰, 34-44. 

  15. 장후석(2016). 나눔의 경제학: 영미와 비교한 한국 나눔 문화의 7대 특징 및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6. 정순희. 임은정(2014). 청년 1인 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4), 1-19. 

  17. 정태식 역(2016). 우리 아이들: 빈부격차는 어떻게 미래 세대를 파괴하는가, Putnam, D. R.(2016). Our Kids: The American Dream in Crisis, 서울 : 페이퍼로드. 

  18. 조희금. 김경신. 정민자. 송혜림. 이승미. 성미애. 이현아(2006). 건강가정론. 서울 : 신정. 

  19.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10).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20. 최일섭(1999). 제3사회안전망과 지역사회복지.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 7-21. 

  21. 통계청(2016). e-나라지표(www.index.go.kr). 

  22. 통계청(각년도). 사회조사. 

  23. 보건복지부(2017).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6. 

  24. Bourdieu, P.(1986). The form of capital. In J. G. Ricah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 Greenwood Press. 

  25. Coleman, J. S.(2000).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In P. Dasgupta & I. Serageldin (Eds.), Social capital : A multifaceted perspective, 13- 39. Washington, D. C. :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26. Field, J.(2003). Social capital. London & New York : Routledge. 

  27. Grootaert, C. & Basterleaer, T.(2001). Understanding and measuring social capital : A multidisciplinary tool for practitioners. Washington, D. C. : World Bank. 

  28. Knack, S. & Keeper, P.(1997). Does social capital have an economic payoff? : A crosscountry investig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2(4), 1251-1288. 

  29. Parcel, T. L. & Menaghan, E. G.(1994). Early parental work, family social capital, and early childhood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9(4), 972-1009. 

  30. Portes, A.(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1-24. 

  31. Putnam. R. D.(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32. Whiteley, P. F.(2002). Economic growth and social capital. Political Studies, 48(3), 443-466. 

  33. World Bank(2012). www.worldbank.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