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자녀 맞벌이 남녀의 일-가족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f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dual-earner men and women: 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with children under 12year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2, 2017년, pp.51 - 72  

박연숙 (중앙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박정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men with children under 12 years.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relative influence between objective time variabl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unlike p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이 일을 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은 무엇인가? 맞벌이 가구의 증가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데 여성이 일을 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육아 부담을 꼽는 연구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통계청, 2012). 저출산이 우리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특히 일-가족생활의 갈등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을 위해서는 두 영역의 갈등의 수준을 낮추고 해소하는 것, 나아가 일-생활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족구성원 대다수가 당면한 과제라 할 수 있겠다.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발생하는 사회문제는 무엇인가? 맞벌이 가구의 증가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데 여성이 일을 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육아 부담을 꼽는 연구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통계청, 2012). 저출산이 우리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특히 일-가족생활의 갈등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을 위해서는 두 영역의 갈등의 수준을 낮추고 해소하는 것, 나아가 일-생활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가족구성원 대다수가 당면한 과제라 할 수 있겠다.
맞벌이 가족의 비율이 증가하는 이유? 여성의 교육수준은 향상되고 있고 여성 경제활동 참여의 가계소득에 대한 기여, 법 제도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 등의 영향으로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증가하면서 맞벌이 가족의 비율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에 따르면 국내 맞벌이 가구의 규모는 4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1(2), 163- 186. 

  2. 강혜련. 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 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6(1), 23-42. 

  3. 고광만. 이숙현. 권영인(2012). 아버지의 직무 스트레스가 양육 참여 수준 및 부모 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113-137. 

  4. 김경화(2013). 영 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가족과 문화, 25(4), 30-90. 

  5. 김미령(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5-61. 

  6. 김선희(2010). 공공조직에서 여성의 일-가정 갈등(WFC) 결정요인 분석. 행정논총, 36(1), 171-196. 

  7. 김성경(2011).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33(9), 69-94. 

  8. 김혜진. 정영금. 윤소영(2013).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균형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9. 박기남(2009). 기혼취업여성의 일. 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갈등연구. 한국여성학, 25(2), 37-71. 

  10. 박홍주. 이은아(2004). 기혼여성노동자의 일. 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 20(2), 141-178. 

  11. 배지혜. 서혜영. 이숙현(2012). 사무직 남성 의 일. 가족 경험과 직업의식. 한국여성학, 20(2), 141-178. 

  12. 송다영. 장수정. 김은지(2010). 일 가족 양립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복지정책, 37(3), 27-52. 

  13. 신윤정(2013). 영. 유아 보육정책의 전망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195, 76-86. 

  14. 원숙연. 박지원(2007).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학논집, 26(2), 3-32. 

  15. 유계숙(2008).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37. 

  16. 윤소영(2009). 가족여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89-201. 

  17. 윤소영. 김혜진(2012).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 -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 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18. 이은희(2000). 일과 가족 갈등의 통합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19(2), 1-42. 

  19. 이재경. 이은아(2003).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생활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여성학논집, 20, 36-69. 

  20. 이재경. 장미혜(2004). 고용조건이 일과 가족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제와 사회, 64, 172-208. 

  21. 장영은. 박정윤. 이승미. 권보라(2011).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22. 장재윤. 김혜숙(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9(1), 23-42. 

  23. 전서영. 박정윤. 김양희(2008). 기혼 남녀의 일-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24.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 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 (4), 113-122. 

  25. 정영금(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 가족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26. 조희금. 서지원(2009). 맞벌이 가정의 일. 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27. 최혜지(2007). 기혼취업여성의 성분화적 노동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이 인지된 시간부족위 기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국제학술발표대회자료집. 

  28. 한경혜. 김진희(2003). 일 가족 상호작용에서의 서열차이: 전이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7(3), 57-81. 

  29. 한지숙. 유계숙(2007). 기혼근로자의 성 역할 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30.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7). 2007 여가백서. 

  31. 보건복지부(2013).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32. 통계청(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33. 통계청(2015). 사회조사통계. 통계청. 

  34. Arynee, S., Luk, V. & Stone, R.(1998). Family-responsive variables & retentionrelevant outcomes among employed parents. Human Relations, 51(1), 73-87. 

  35. Beutell, N. J., Wittig, B. & Ursula.(1999). Predictors of work-family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job, career & life. Psychological Reports, 85(3), 893-903. 

  36. Byron, K. (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 169-198. 

  37. Cohen, E. & Rosenbaum, E.(1999). Equalitarian marriage, spousal support, resourcefulness &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Israeli working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102-113. 

  38. Daphne E. Pedersen(2014). Spillover and crossover Work-to-Family conflict and the Health Behaviors of dual-earne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Sociological Focus, 47, 45-60. 

  39. Diener,E.(198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103-157. 

  40. Ford, M. T., Heinen, B. A. & Langkamer, K. L.(2007). Work &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57-80. 

  41. Frone, M. R., Russel, M. & Cooper, M. L.(1992). Prevalenc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 723- 729. 

  42. Frone, M. R., Yardley, J. K. & Markel, K. S.(1997). Developing and testing an inter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enrich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 145-167. 

  43. Greenhaus, J. & Beutell, N.(1985). Source of conflict between work &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 98. 

  44. Grzywacz, J. G., Almeida, D. M. & McDonald, D. A.(2002).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 51, 28-36. 

  45. Gutek, B. A., Searle, S. & Klepa, L. (1991).Rational versus gender-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560-568. 

  46. Kopelman, R. E., Greenhaus, J. H. & Connolly, T. F.(1983). A model of work, family and interrole conflic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98-2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