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진단 시 F파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Validity of F wave for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290 - 298  

박종권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강지혁 (대전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혜정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정중신경(median nerve)과 자신경(ulnar never)의 및 F파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여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에서 F파가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경전도검사 결과의 주요 지표인 말단잠복기, 말단진폭, 손바닥-손목 구간의 감각신경전도속도 및 F파 잠복기를 대조군과 t-test 검정으로 비교분석하고, 또한 주요 지표간의 상관성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과 초기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의 정중신경 말단잠복기 비교에서 두 군 간에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정중신경의 감각신경전도속도 비교에서는 대조군과 손목터널증후군 간의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p<0.001). 후기반응검사인 F파 잠복기 분석에서 정중신경의 경우 대조군과 손목터널증후군간 높은 유의성(p<0.001)을 보였으나, 자신경의 경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감각신경전도속도와 말단잠복기, F파와 말단잠복기에서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F파는 말단잠복기, 감각신경전도속도와 같이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median nerve, ulnar never, and F wav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early Carpal Tunnel Syndrome to a control group to determine whether F waves could be a useful indicator in the diagnosis of early CTS. The terminal motor latency (TML), terminal motor amplitude and sensory 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정중신경(median nerve)과 자신경(ulnar never)의 운동신경, 감각신경 및 F파를 대조군과 비교·분석하여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에 서 F파가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정중신경(median nerve)과 자신경(ulnar never)의 운동신경, 감각신경 및 F파를 대조군과 비교·분석하여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의 진단에서 F파가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기 손목터널증후군을 진단하는데 말단잠복기, 감각신경전도를 제외한 다른 검사(F파)로 진단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정중신경 (median nerve)과 자신경(ulnar never)의 운동신경, 감각 신경 및 F파를 대조군과 비교·분석한 결과, 손목터널증 후군 환자의 정중신경에서 말단잠복기와 감각신경전도 검사는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목터널증후군은 무엇인가?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CTS)은 정중신경(median nerve)이 횡수근 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에 의해 압박되어 정중신경 분포지역에 통증, 저림, 무감각, 단무지 외전근(abductor pollicis brevis muscle) 약화와 위축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포착신경병증이다[1]. 손목터널증후군은 과도한 손목사 용이나 외상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비특이적인 건초염, 임신, 당뇨병, 갑상선 기능이상, 류마티스관절염, 말단비 대증 환자에서도 호발한다[2,3].
손목터널증후군의 임상적인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손목터널증후군은 과도한 손목사 용이나 외상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비특이적인 건초염, 임신, 당뇨병, 갑상선 기능이상, 류마티스관절염, 말단비 대증 환자에서도 호발한다[2,3]. 임상적인 증상은 초기에 정중신경이 분포하는 부위를 따라 통증, 저림, 감각 둔화 등이 발생하며, 이후 점차 악화되어 수지근력 약화, 심한 감각 저하 등이 나타나게 된다[4,5].
F파는 무엇인가? F파는 해당신경에 최대상자극(supramaximal stimulation)을 줄 때 역방향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척수전각세포 (anterior horn cell)들의 역점화에 의해 발생하는 후기 근전위로 신경계 질환에 많은 연구와 임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다[12,13]. F파는 이미 많이 알려진 바와 같이 최초 잠복기가 주로 전기생리학적 진단에 이용되고 있으나, 가장 빠른 전도 속도를 가진 섬유만 반영한다는 제한이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M. Dawson, "Entrapment neuropathies of the upper extremities", N Engl J Med, vol. 329, no. 27, pp. 2013-2018, 1993. DOI: https://doi.org/10.1056/NEJM199312303292707 

  2. G. S. Phalen, "The carpal tunnel syndrome. Seventeen years' experien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six hundreds fifty four hands", J Bone Joint Surg Am, vol. 48, no. 2, pp. 211-228, 1966. DOI: https://doi.org/10.2106/00004623-196648020-00001 

  3. S. H. Lee, Y. C. Cho,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KAIS, vol. 16, no. 10, pp. 6627-6640,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0.6627 

  4. H. A. Frederick, P. R. Carter, J. W. Little, "Injection injuries to the median and ulnar never at the wrist", J Hand Surg, vol. 17, no. 4, pp. 645-647, 1992. DOI: https://doi.org/10.1016/0363-5023(92)90309-D 

  5. C. W. Seo, C. S. Kim, "Evaluation of nerve conduction study result in carpal tunnel syndrome before and after operation in eastern area of Jeonnam", KAIS, vol. 13, no. 11, pp. 5305-5310, 2012. DOI: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5305 

  6. C. K. Jablecki, M. T. Andary, M. K. Floeter, R. G. Miller, C. A. Quartly, M. J. Vennix, J. R. Wilson, "Practice parameter: Electrodiagnostic studies in carpal tunnel syndrome.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Electrodiagnostic Medicin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Neurology, vol. 58, no. 11, pp. 1589-1592, 2002. DOI: https://doi.org/10.1212/WNL.58.11.1589 

  7. S. H. Lim,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 microvascular decompression surgery of hemifacial spasm", Korean J Clin Lab Sci, vol. 48, no. 3, pp. 262-268, 2016. DOI: https://doi.org/10.15324/kjcls.2016.48.3.262 

  8. E. B. Bodofsky, S. J. Cohen, R. J. Kumar, A. Schindelheim, J. Gaugha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latency and amplitude", J Electromyogr Kinesiol, vol. 31, no. 4, pp. 1-6, 2016. DOI: https://doi.org/10.1016/j.jelekin.2016.08.008 

  9. R. K. Sethi, L. L. Thompson, "The electromyographer's handbook. 2nd ed.", pp. 107,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Toronto, 1989. 

  10. Y. H. Hong, "Carpal tunnel syndrome techniques", J Korean Society for Clinical Neurophysiology, vol. 9, no. 2, pp. 103-105, 2007. 

  11. S. H. Kim, B. G. Yoo, K. S. Kim, K. M. Yoo, "F-Wave analysis in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carpal tunnel syndrome", Ann Clin Neurophysiol, vol. 4, pp. 108-113, 2002. 

  12. J. H. Kang, H. J. Kim, E. R. Lee, "Electrophysiological evalu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and charcot-marie-tooth type 1: disper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J Phys Ther Sci, vol. 25, no. 10, pp. 1265-1268, 2013. DOI: https://doi.org/10.1589/jpts.25.1265 

  13. S. H. Bae, K. Y. Kim, "Effects of vibration stimulation method on upper limbs spasticity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 KAIS, vol. 12, no. 7, pp. 3109-3116,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7.3109 

  14. E. Chroni, C. P. Panayotopoulas, "F tacheodispersion: Quantative analysis of motor fiber conduction velocities in patients with polyneuropathy", Muscle Nerve, vol. 16, no. 8, pp. 1302-1309, 1993. DOI: https://doi.org/10.1002/mus.880161206 

  15. S. J. Oh, "Anatomical guide for common nerve conduction studies. clinical electromyography-nerve conduction studies. 2nd ed.", pp. 56-77, William & Wilkins, Baltimore, 1933. 

  16. D. Simovic, D. H. Weinberg, "The median nerve terminal latency index in carpal tunnel syndrome: a clinical case selection study", Muscle Nerve, vol. 22, no. 5, pp. 573-577, 1999. DOI: https://doi.org/10.1002/(SICI)1097-4598(199905)22:5 3.0.CO;2-A 

  17. B. T. Shahani , R. R. Young, F. Potts, P. Maccabee, "Terminal latency index and late response studies in motor neuron disease, peripheral neuropathies and entrapment syndromes", Acta Neurol Scand, vol. 60(Suppl 73), pp. 118, 1979. 

  18. D. Simovic, D. H. Weinberg, "Terminal latency index in the carpal tunnel syndrome", Muscle Nerve, vol. 20, no. 9, pp. 1178-1180, 1997. DOI: https://doi.org/10.1002/(SICI)1097-4598(199709)20:9 3.0.CO;2-P 

  19. W. K. Paek, S. H. Koh, H. Y. Kim, K. Y. Lee, Y. J. Lee, H. T. Kim, S. H. Kim, J. H. Kim, "Median wrist-to-palm motor conduction velocity and median-ulnar latency differences in carpal tunnel syndrome", J Korean Neurol Assoc, vol. 23, no. 5, pp. 650-654, 2005. 

  20. T. N. Monga, G. L. Shanks, B. J. Poole, "Sensory palmar stimulation in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vol. 66, no. 9, pp. 598-600, 1985. 

  21. R. Cioni, S. Passero, C. Paradiso, F. Giannini, N. Battistini, G. Rushworth, "Diagnositc specificity of sensory and motor nerve conduction variables in early detec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J Neurol, vol. 236, no. 4, pp. 208-213, 1989. DOI: https://doi.org/10.1007/BF00314501 

  22. T. Kuntzer, "Carpal tunnel syndrome in 100 patients: sensitivity, specificity of multi-neurophysiological procedures and estimation of axonal loss of motor, sensory and sympathetic median nerve fibers", J Neurol Sci, vol. 127, no. 2, pp. 221-229, 1994. DOI: https://doi.org/10.1016/0022-510X(94)90076-0 

  23. F. Buchthal, A. Rosenfalck, W. Trojaborg,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in entrapment of the median nerve at wrist and elbow", J Neurol Neuro surg Psychiatry, vol. 37, no. 3, pp. 340-360, 1974. DOI: https://doi.org/10.1136/jnnp.37.3.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