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 방과후과정과 특성화활동 이용 현황
The survey of use of after-school courses and specialization programs at Kindergart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490 - 498  

이진화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진아 (육아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치원을 이용하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방과후과정과 특성화활동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정책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693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면담원이 부모와 대면 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먼저 방과후과정 이용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첫째, 방과후과정 이용에 따른 추가 부담 지출 비율이 전체 조사 대상의 약 38.2%이며, 추가 비용의 평균액은 약 62,850원이었다. 비용부담과 만족도를 5점 만점 기준으로 볼 때,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과정 참여 이유로는 부모의 맞벌이, 자녀가 친구들과 시간을 함께 보내게 하고 싶어서 등과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방과후특성화활동 이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특성화활동 이용 유아 비율은 조사 대상의 약 68.2%이며, 그 중에서 비용 지출 유아는 약 79.0%, 평균 이용 개수는 약 2.69개이며, 평균 비용은 83,540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선호하는 교육프로그램은 영어가 압도적인 비율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들이 활동을 좋아해서 참여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방과후특성화활동 개선요구 사항으로는 교육내용의 내실화가 1순위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방과후특성화활동으로 인해 부모의 사교육비 지출이 감소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방과후과정 및 특성화활동 성격에 맞는 적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등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any kindergarten parents use after-school programs and specialization activities and to suggest effective policy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results. After 693 parents were interviewed by the investigators, the collected data were presented by 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 방과후과정과 방과후 특성 화활동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방과후과정 운영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치원 재원아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방과후과정 및 특성화활동 이용 현황을 비용, 개선사항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효과적인 운영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자료로서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그 경향성을 이해하는 데는 기여하였다. 추후 본 연구를 토대로 유치원 운영자, 정책입안자 등의 입장을 포함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유치원 재원아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방과후과정 및 특성화활동 이용 현황을 비용, 개선사항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효과적인 운영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자료로서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그 경향성을 이해하는 데는 기여하였다.
  • 유치원 방과후과정 및 방과후 특성화 활동 비용 및 이용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운영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원 방과후과정은 어떤 프로그램이 운영되나요? 방과후과정 프로그램은 각 시도교육청의 지침과 유치원의 특성에 따라 구성되나, 학부모와 유아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질적으로 우수한 방과후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내용, 우수한 강사진 등 여러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다[4-7]. 일반적으로 유치원 방과후과정은 정규 교육과정의 심화·확대한 내용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거나, 연령에 따라 휴식이 포함된 돌봄의 특성이 보다 강조될 수 있으며, 또한 방과후특성화 활동이란 이름으로 문화 예술, 생활체육, 과학창의, 언어 등의 영역에서 유아의 다양한 흥미에 기초하고 부모의 요구를 수렴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4]. 이 같은 유치원 방과후과정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기대에 부응함과 동시에 유치원에서의 돌봄 기능을 강화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방과후특성화활동 비용관련 가격규제 정책이 지자체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게 지역교육청이나 정부에서 일괄적으로 해야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이유는? 특히 방과후특성화활동 비용관련하여 현재 어린이집의 특별활동 등 가격규제 정책이 지자체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게[15], 본 조사에서 지역교육청이나 정부에서 일괄적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는 기관유형별 지출액에 차이가 있고, 일부 프로그램에 따라 지출 비용에 대비 만족도가 낮기 때문이다. 기관유형별 지출비용의 차이를 유형별로 단순하게 비교분석하여 논의하기는 어렵다.
방과후과정이 운영되는 시간은? 유아교육법 상으로 방과후과정은 교육과정 이후에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활동과 돌봄이며, 정규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이 종료한 시각 이후부터 시작하여 저녁돌봄이 시작 시각까지 혹은 돌봄을 운영하지 않는 유치원의 경우는 방과후과정 종료 시각까지 운영된다[2-3]. 이 같은 방과후과정은 박은혜, 박신영, 최혜윤(2013)의 연구에 의하면 유치원마다 차이는 있으나 하루 3~5시간 이상 운영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Byeon, & H. S. Jo, "A Study on Job Performance Difficulties of After-school Instructors in Public Kindergarten", Journal of Education Innovation Research, vol. 24, no. 2. pp. 1-28, 2014. 

  2. J. W. Lee, J. A. Park, and, K. W. Park, "Estimation study on children's education and childcare expenses III,.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no. 2015-28, 2015. 

  3. E. H. Park, S. Y. Park, and H. Y. Choi, "A Study of the Status of Kindergartens' Operating Hours by Using Information Disclosure Data",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44, no. 2, pp. 97-118 2013. 

  4. E. Y. Kim, J. S. Kim and Y. J Yang, " Research on the policies development ways and the estimation of cost of Kindergarten's After School Program",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Report, 2013 

  5. J. S, Kim, Y. J. Lee and Y. Cho,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ways of Kindergarten's After School Program",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Research Report, 2016. 

  6. J. Bae, B. S Lee, and O. Tak, " The Ethnographic quiry of Full-Day Kindergarten Progra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5, No. 1, pp. 237-258, 2005. 

  7. Y-H. Hong, K. Y, Kim, K. A. Kang and S. J. Kim, "Effective Ways to Administer the Full-day Kindergarten Program",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7, no. 5, pp. 335-355, 2007. 

  8. S. Lee,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course teachers-focusing on public kindergartens in chungcheongbukdo",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8, no. 1, pp. 1-28, 2016. DOI: http://doi.org/10.15409/riece 

  9. M. H. Suh, M. S., Yang and C. Son, "An Analysis of expenditure on childcare and education, and related policy suggestion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Report 2012. 

  10. M. S. Yang, J. A. Park, C. Son, and J. H., Lim, "Infants Education and Child-care Cost Estimate Research",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Report, 2013. 

  11. M. S., Yang, G. S. Kim C. Son and J. M. Kim, "Estimation Study on children's education and childcare expensesII",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Report, 2014. 

  12.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Guidebook of After-school program at kindergartens", Seoul Education, 2015. 

  13. Ministry of Education, " Plan for curriculum and after-school course to enhancing kindergarten educational competency", 2015. 

  14. Y. J. Lee, G. Lee and A. Cho, "Operation Status and Substantiality Enhancement Plans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 Old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Report, 2014. 

  15. J. Lee and H. Lee, "Achievement of the chilcare policy in 2014 and future task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Research Report, 2014. . 

  16. H. Baek and S. Y. Ahn,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n the change of consumption structure of households depending on income bracket", Korea Social Policy Review, vol. 19, no. 3, pp. 9-47, 2012. DOI: https://doi.org/10.17000/kspr.19.3.201209.9 

  17. G. S. Lee and J. Kim,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for Young Children by Family Characteristic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hood Education, vol. 17, no. 1, pp. 21-38, 2010. 

  18. Y. Kim, S. Yang and S. Park, "An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ransitions and trends: analysis of the "Household Survey" data",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 39, no. 1 pp. 261-284.2012. 

  19. T. J. Lee et al, "The 2014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escriptive Report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Research Report, 2014. 

  20. Statistics Korea, "Sample design fo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survey 2013". 

  21. E. H. Park, S. Y. Park and S. J. Choi,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an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5, no. 3. pp. 241-26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