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 교수의 교육업적평가 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Faculty in Engineering College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0 no.4, 2017년, pp.38 - 50  

강소연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최금진 (청주대학교 교직과) ,  박선희 (한남대학교 교직부) ,  한지영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이혜미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조성희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s on faculty performance at Korean engineering colleges and develop teach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faculty performance. We investigated the faculty performance cases in engineering colleges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변화가 요구되는 현실에서 우리나라 공과대학의 교육역량 개발 제고를 위한 교육업적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국내외 공학교육영역 교육업적 평가 사례를 조사하고 둘째, 공과대학 교원의 교육업적 평가요소에 대한 인식 및 지표 요소별 적정비율을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대학의 교수의 역할은 무엇을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었는가? 전통적으로 국내외 대학의 교수의 역할은 부여된 학문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 교육, 봉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2년부터 ‘고등교육의 질 향상’을 목표로 국가적 차원에서 교수업적평가제에 대한 논의가 공개적으로 시작되었다.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엔지니어는 공학적 지식과 기술 이상의 언어적 능력과 문화이해에 대한 역량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학에서 이용하는 지식은 점점 더 역동적이고 복잡해져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식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어야 하며, 엔지니어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뿐 아니라 다른 분야의 지식과 기술도 알아야 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글로벌 노동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엔지니어는 공학적 지식과 기술 이상의 언어적 능력과 문화이해에 대한 역량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다른 배경과 문화적 가치를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는 능력이 현장에서 요구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수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시작되고, 확대되었는가? 전통적으로 국내외 대학의 교수의 역할은 부여된 학문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 교육, 봉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2년부터 ‘고등교육의 질 향상’을 목표로 국가적 차원에서 교수업적평가제에 대한 논의가 공개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1986년에 포항공대가 교수업적평가제를 시범적으로 도입하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고, 1990년대 중반 대학자체평가가 실시되면서 대부분의 4년제 대학으로 교원업적평가제가 확대되었다(박남기 외,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병운.백정하(2005). 한국, 미국, 영국의 대학평가 비교연구: 대교협, CHEA, QAA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5(2), 1-32. 

  2. 교육인적자원부(2007). 고등교육의 전략적 발전방안. 2007.6.26. 대학총장토론회 발표자료. 교육인적자원부. 

  3. 김성열 외(2001). 대학 학사과정 강의평가제 실태분석을 통한 교육업적 평가모형 개발연구. 

  4. 민경찬(2008). 대학교육개혁의 과제와 지향. 대학교육개발센터 협의회 제6회 하계워크숍 발표자료, 17-27. 

  5. 박남기 외(2006). 대학별 교수업적평가 현황분석 및 교수업적평 가모형개발. 교육인적자원부. 

  6. 박인우 외(2007). 학회와 공동 교수업적 평가기준 개발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고등교육정책연구센터. 

  7. 박준완(2000). 전략적 교수업적평가제도 구축 사례. 산경논총, 18, 33-59. 

  8. 오희철 외(1999). 교육부문 교수평가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 11(2), 297-312. 

  9. 유정아(2014). 싱가포르 국립대학 CTL과 교수개발프로그램 사례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15 (1), 165-187. 

  10. 이영호(2004). 대학교수개발의 주요지표 분석과 교수개발에 대한 평생학습원리적용의 기대효과. 교육학연구, 42(4), 615-651. 

  11. 이현진(2016). [ACE특집/건양대] 일류.강소.글로컬 대학을 향한 학부교육 혁신.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2732 

  12. 이혜정.이지현(2008). 대학 '교수(teaching)'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 평가지표개선방안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9(3), 173-204. 

  13. 이혜정(2014).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다산에듀. 

  14. 정문종(2005). 성과관리시스템으로서 대학교수 연봉제: 한국대학의 도입 타당성을 중심으로. 회계저널, 14(1), 151-172. 

  15. 최성해.김운회(2000). 교수평가와 연봉제. 선학사. 

  16. 한국공학한림원(2015). 차세대 공학교육혁신방안연구. 한국공학 한림원 차세대공학교육위원회. 

  17. Arreola, R. A., Theall, M. & Aleamoni, L. M. (2003). "Beyond Scholarship: Recognizing the Multiple Roles of the Professoriat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April 22. Available at: http://www.cedanet.com /meta/Beyond%20Scholarship.pdf 

  18. Berk R. A. (2006). Thirteen Strategies Measures College Teaching. Stylus Publishing. Virginia. 

  19. Boyer, E. L. (1990). Scholarship Reconsidered: Priorities of the Professoriate. N.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 Glassick, C. E., Huber, M. T., and Maeroff, G.I. (1997). Scholarship Assessed: Evaluation of the Professoriate. San Francisco: Jossey-Bass. 

  21. Davidovitch, N., Soen, D. & Sinuani-Stern, Z. (2011). Performance measures of academic faculty: A case study.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35 (3), pp. 355-373. 

  22. Jill, B. et al. (1997). A Competency framework for effective teaching. from http://www.planning.murdoch.edu.au/docs/acfet. 

  23. Latha Pillai & Ponmudiraj B. S. (2001). Making Meaning of Assessment Outcomes: The Indian Context. INQAAHE Conference 2001: Quality, Standard and Recognition. 

  24.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7). Developing Metrics for Assessing Engineering Instruction: What Gets Measured is What Gets Improved.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p.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