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대학의 학술논문 연구업적평가기준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 Journal Publicatio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2, 2017년, pp.295 - 322  

이혜경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양기덕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교원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국내 대학의 교원업적평가 기준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업적평가기준, 그리고 여러 계량서지학 지표를 비교하여 국내의 교원연구업적평가 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 27곳의 교원업적평가기준과 한국연구재단 연구업적평가기준을 수집하였으며, 183명의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2001년부터 2015년 사이 발표된 학술논문 3,863편과 16,978건의 인용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선 현재 시행중인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들을 비교 한 후, 대학지표들과 저자기여도 산정식을 가중한 계량서지학적 지표들을 수집한 데이터에 적용하여 산출한 저자와 대학별 순위들을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의 연구업적평가지표는 연구업적의 생산성과 영향성을 고루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h-index처럼 이와 유사한 계량서 지학 지표와 다른 평가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평가지표가 평가결과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first step in developing a more effective and robust approach to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xisting faculty research assessment methods by comparing Korean universities' research evaluation standard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KRF) standar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자의 타당한 평가를 위한 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연구자의 연구환경개선 및 학술활동 장려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이러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연구자들이 보편적이고 타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확립되어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이에 따른 결과가 차후 국내 교원업적평가를 개선 및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 그 목적이며, 궁극적으로 계속적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의 연구 환경 개선 뿐 아니라 학문을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술연구에 매진중인 교원들의 객관적이고 안정적인 교원연구업적평가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대학에서 시행 중인 학술논문평가기준을 파악하였고, 총 논문수, 인용수, 학술지 영향력지수, h-index등의 계량서지학 지표들과 대학의 학술논문평가기준에 공동연구 기여도를 적용한 대학별·저자별 순위를 도출하여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기관의 학술논문평가기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종욱, 양기덕(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국내 종합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전임강사 이상의 교원들의 국제학술회의 발표문을 포함한 국·내외 학술논문 데이터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 참여에 따른 업적평가에서의 순위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집한 학술논문 편당의 저자의 기여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적용한 기여도 산정식은 총 5종류로 Inflated방식, Fractional 방식, Hagen의 Harmonic 방식(2008), Harmonic 방식을 개량한 이종욱, 양기덕의 Harmonic+ 방식(2015), 수집한 국내대학의 연구업적평가에서 적용하는 기여도산정식의 평균(School+)으로 <표 2>와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원업적평가제도 중 학술논문평가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차후에 연구업적평가도구 개발 및 개선 시에 적용할 수 있는 모색점이나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에 선행연구로서 연구업적평가제도 및 연구업적·실적물 관련 평가 개선을 위한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를 종합하면 국내 종합대학의 학술논문평가기준은 대부분 유사하였으나, 기관별로 평가의 분별력을 가늠하기 위하여 학술지 영향력 지수 사용 등의 변별성을 추구 하고자 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대학 학술논문평가기준과 기존의 계량서지학지표들 사이의 관계는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자 개인별로 연구업적을 평가할 시에는 평가지표에 따라 통계적으로 상이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외적으로 학문의 성과 및 업적을 평가 하고자 할 때 보다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교원업적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 개발과 표준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여, 국내 종합대학들의 교원업적평가부문 중 가장 비중이 높은 연구영역, 특히 학술논문부문을 중심으로 각 대학들의 연구업적평가지표와 한국연구재단에서 연구용역 사업선정 시 활용하는 연구업적평가지표를 비교하고,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우선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종합대학 27개교 및 한국연구재단 연구업적평가지표까지 총 28개 평가지표를 비교하였다.
  • 이에 선행연구로서 연구업적평가제도 및 연구업적·실적물 관련 평가 개선을 위한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원업적평가제도란 무엇인가 ? 교원업적평가제도란 각 대학에 소속된 교원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내 쌓아온 교원의 업적을 대학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규정한 지표를 토대로 평가하는 제도이다. 평가 내용으로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교원의 책무로 여기는 교육, 연구, 봉사를 주된 평가의 영역으로 설정한다.
교원업적평가는 어떻게 시행 되고 있는가 ? 현재의 교원업적평가 대부분은 각 대학의 비전과 목표에 따라 자체적인 지표를 개발하여 시행 중이다. 또한 교원의 평가는 소속기간 뿐 아니라 대외적으로 시행되기도 한다.
교원업적평가제도에서 평가 내용은 무엇인가 ? 교원업적평가제도란 각 대학에 소속된 교원을 대상으로 일정기간 내 쌓아온 교원의 업적을 대학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규정한 지표를 토대로 평가하는 제도이다. 평가 내용으로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교원의 책무로 여기는 교육, 연구, 봉사를 주된 평가의 영역으로 설정한다. 주로 교육영역에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수(敎授)활동을, 연구영역에서는 교원의 지식 창조 활동을, 봉사영역에서는 교원의 전문성을 사회에 환원 혹은 기여 하는 활동을 평가한다(김두범 1996; 이현청 2001). 현재까지 국내 대학에서는 세 가지 책무 중 연구업적위주로 평가되고 있는데, 즉, 연구업적만이 교수인사행정에서 객관적인 심사 자료로써 유일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ong-no Kim, Min-haeng Lee, and Tae-gyun Park. 2005. "Constructing an Evaluation Model for the Professor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umanities."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9(3): 1-20. 

  2. Eunkyung Nam and Ji-Hong Park. 2014. "Factors Influencing Research Collaboration in the Field of Informet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201-227. 

  3. Hee-Yoon Yoon and Sin-Young Kim. "An Analysis on Correlations between Journal Impact Factor and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Weight."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6(3): 1-25. 

  4. Jae Yun Lee and EunKyung Chung.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n Multiple Authorship Counting for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57-77. 

  5. Jae-Yun Lee. 2006. "Some Improvements on H-Index : Measuring Research Outputs by Ci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3): 167-186. 

  6. Jin-Sik Chung. 2001.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96-200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5(3): 55-78. 

  7. Jin-Sik Chung. 2009. "A Study on Assessment of Faculty Performance in Research Achievement : A Focu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29-142. 

  8. Jongwook Lee and Kiduk Yang. 2011. "A Bibliometric Analysis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119-140. 

  9. Jung-Pyo Sohn. 2003.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1957-2002."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3): 9-32. 

  10. Kim, Doo-Beom. 1996. "The Analytic Approach for Faculty Performances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3: 13-29. 

  11. Kim, Wang Jun, Yun, Hongju, Rah, Minjoo.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Faculty Evaluation Systems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1): 143-165. 

  12. Lee, Hyeon Cheong and Rah, Minjoo. 1995. "The Management System and Criteria for Faculty Evaluation: A Practical Guide." Korea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1): 133-154. 

  13. Pan Jun Kim. 2011. "A Study on Framework for Linkage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243-261. 

  14. Se-Hoon Oh. 2005.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by analyzing Journal articles and the Cited Liter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379-408. 

  15. So-Young Yu, Jae Yun Lee, EunKyung Chung, and Boram Lee. 2015. "A Review of Declarations on Appropriate Research Evaluation for Exploring Their Applications to Research Evaluation System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4): 249-272. 

  16. Yeon-Kyoung Chung, Yoon-Kyung Choi. 2011. "A Study on Faculty Evaluation of Research Achievem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3): 211-233. 

  17. Birnholtz, J. P. 2007. "When Do Researchers Collaborate? Toward a Model of Collaboration Propensit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4):2226-2239 

  18. Cronin, B. and Meho, L. 2006. "Using h-index to rank influential information Scientis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9): 1275-1278. 

  19. Drott, M. C. 1995. "Reexamining the role of conference papers in scholarly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of Technology, 46(4): 299-305 

  20. Egghe, L. 2006. "An improvement of the h-index: the g-index." ISSI newsletter, 2(1): 8-9. 

  21. Hagen, N. T. 2008. "Harmonic allocation of authorship credit: Source-level correction of bibliometric bias assures accurate publication and citation analysis." PLoS One, 3(12): e4021. 

  22. K. Yang and Lee J. 2013. "Bibliometric Approach to Research Assessment: Publication Count, Citation Count, & Author Rank."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1(1): 27-41. 

  23. Katz J. S. and Martin, B. R. 1997.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 1-18. 

  24. Lee, J. and K. Yang. 2015. "Co-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ethods in the Assessment of Citation Impact of Chemistry Facu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49(3): 273-289. 

  25. Lee, J. Y. and Chung. E.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n Multiple Authorship Counting for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57-77. 

  26. Lisee C., Lariviere V., and Archambault, E. 2008. "Conference proceeding as a source of Scientific information: A bibliometric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1): 1776-1784. 

  27. Meho L. and Yang, K. 2007. "Impact of data sources on citation counts and rankings of LIS faculty: Web of Science versus Scopus and Google schola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3): 2105-2125. 

  28. Seglen, P. O. 1997. "Why the impact factor of journals should not be used for evaluating research." British Medical Journal, 314: 498-502. 

  29. Vinkler, P. 1993. "Research contribution, authorship and team cooperativeness." Scientometrics, 26(1):213-230. 

  30. Vinkler, P. 2000. "Evaluation of the publication activity of research teams by means of Scientometric indicators." Current Science, 79(5): 602-612. 

  31. 왕상한. 2012. 국내외 대학의 교수업적평가 사례 분석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32. 윤석경. 1996. 연구업적 평가를 위한 인용분석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7: 155-177. 

  33. 조수련. 2006. 오픈엑세스 자원의 논문 및 저자 연구업적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4. 최기석. 2004. A대학교 교수 연구업적평가제도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