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채색 무늬가 포함된 배경색의 파스텔색상에 따른 뇌파반응
Brain Waves Evoked by the Changes of Background Pastel Colors with a Pattern of Achromatic Color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9 no.5, 2017년, pp.653 - 660  

이희란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소영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김기성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  홍경희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onsumers' evaluation and purchase of online desig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designing through personal computers,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studies on consumers' brain wave responses depending on the change of PC monitor's colo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회색 무늬에 여러 바탕색들을 조합하였을 때의 뇌파 변화를 분석한 연구로 텍스타일 디자인이나 의복 디자인에 있어 보다 안정감이나 집중력을 주는 의복 등의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무채색인 회색과 흰색을 조합한 무늬에 기본 흰색 및 다섯 종류의 파스텔 톤 배경색 자극에 대한 전반적인 뇌파 반응을 연구한 것으로 명도와 채도가 복합적으로 조합되었을 때의 배경색 변화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배경색의 톤을 일치시킨 상태 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다른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명도차이나 채도차이에 따른 뇌파 반응에 대한 연구, 즉 무늬특성과 바탕 색상의 명암변화에 따른 뇌파나 채도 변화에 따른 뇌파, 그리고 무늬와 바탕색상의 명도나 채도 차이에 대한 심층 연구가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디자인 작업에 많이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동일한 무늬일 경우 배경색채가 다른 자극 들을 피험자에게 제시하였을 때 뇌파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회색 무늬의 배경색으로서 톤이 동일한 파스텔 계열 5가지 색과 흰색을 선정하여 이들 자극을 컴퓨터 모니터를 이용하여 제시할 때 뇌파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추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유발하고자하는 감성에 따라 바탕색을 선택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회색 무늬의 배경색으로서 톤이 동일한 파스텔 계열 5가지 색과 흰색을 선정하여 이들 자극을 컴퓨터 모니터를 이용하여 제시할 때 뇌파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추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유발하고자하는 감성에 따라 바탕색을 선택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색채는 어떻게 뇌파의 신호로 나타나고 심리적은 반응도 일으키는가? 색채는 고유한 파장을 가지고 있고 이 파장의 차이는 시신경을 통하여 인간의 뇌 안에서 여러 가지 파장 정보로 복합적으로 정산이 되어(Hong et al., 2009) 뇌파의 신호로 나타나고 심리적인 반응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색자극과 인체 반응에 대해서는 일찍이 조명이나 인테리어, 광고, 컬러 테라피, 뷰티 산업, 학습효과 등의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감성 언어를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색상 자극에 의하여 활성된 뇌의 부위는? (2007)도 다양한 색상의 종이 자극을 이용하여 뇌활성도를 분석하였는데 적색과 청색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적색은 불안상태를 유발하여 청색보다 인지 및 주의 영역 에서 뇌의 중심 피질의 활성도가 높았다. 색상 자극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표는 알파감쇠계수(Alpha attenuation coefficient)이었으며 뇌의 활성 부위는 Fp1, F7, F8, Cz이었다. 컬러테러피의 측면에서 연구한 예로는 한색 계열인 청색과 녹색에서 알파파가 상승하여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한 보고(Hong et al.
색자극은 환경에 따라 뇌파에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데 조도가 밝을 경우에는 어떤 색에서 알파파 활성 빈도가 높게 나타났는가? 선행연구의 예를 보면, 흰색, 초록, 파란 색을 칠한 방에서 D65 표준 광원을 사용하여 조도를 달리하면서 페인트 색에 따른 뇌파를 측정한 연구(Ryu et al., 2013)결과, 방안의 조도가 밝을 때는(100 l×) 초록색 방이 알파파의 활성 빈도가 가장 높아 이완이 잘 되었고 그 다음은 파란색 방이었다. 흰색은 SEF50(Spectral edge frequency)이 가장 낮아서 이완의 깊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ng, W. S., Hong, C. U., & Kim, N. G. (2004). A study on human responses to color light stimula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 7(4), 51-56. 

  2. Hong, G, Kim, S., Lee, B. Yi, D., & An, S. (2009). The effect of color therapy on stress and electroencephalogram variation. The Korean Society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7(1), 51-58. 

  3. Hwang, Y. S., Kim, S. Y., & Kim, J. Y. (2013). An analysis of youth EEG based on the emotional color scheme images by different space of community facilitie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2(5), 171-178. doi:10.14774/JKIID.2013.22.5.171 

  4. Jalil, N. A., Yunus, R. M., & Said, N. S. (2012). Environmental colour impact upon human behaviour: A Review.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35, 54-62. doi:10.1016/j.sbspro.2012.02.062 

  5. Jasper, H. (1958). Report of the committee on methods of clinical examination in electroencephalography.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0, 370-375. doi:10.1016/0013-4694(58)90053-1 

  6. Kang, S. Y., Kim, M. K., & Ryu, H. W. (2013).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of lavender oil on brain activit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1(11), 1099-1107. 

  7. Kim, J. Y., & Lee, H. S. (2009). A study on interior wall color based on measurement of emotional response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2(2), 205-214. 

  8. Kim, K. (2016, March 17). The abbreviated word of EEG analysis index and its definition. Biobraininc. Retrieved June 19, 2017, from http://biobraininc.blogspot.kr/. 

  9. Lee, E., & Suk, H. (2011). The effect of color contrast between text and background on human comfort-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investigations. In Midterm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lour Association (AIC 2011). 

  10. Lee, J., Ryu, J., & Lee, H. (2016). An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on the effect of lighting colors on the brain wave respon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30(2), 111-120. 

  11. Lee, J., Ryu, J., Kim, H., & Lee, H. (2014). An analysis of human physiological responses to apply color to the indoor living sp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8(1), 96-105. 

  12. Li, M. (2017). Perfect interpretation of the influence of color background on animation art in my neighbor Totoro directed by Miyazaki Hayao. DEStech Transactions o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 Science, (icsste). doi:10.12783/dtssehs/icsste2017/9392 

  13. Ryu, J., Kim, H., Seo, E., & Lee J. (2013). A study on evaluation of huma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due to changes in illumination.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pp. 23-26. 

  14. Wolfson, S., & Case, G. (2000). The effects of sound and colour on responses to a computer game. Interacting with Computers, 13(2), 183-192. doi:10.1016/S0953-5438(00)00037-0 

  15. Yoto, A., Katsuura, T., Iwanaga, K., & Shimomura, Y. (2007). Effects of object color stimuli on human brain activities in perception and attention referred to EEG alpha band response.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26(3), 373-379. doi:10.2114/jpa2.26.373 

  16. Zhang, H., & Tang, Z. (2011). To judge what color the subject watched by color effect on brain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ork Security, 11(2), 80-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