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단석산지구를 대상으로 2011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으로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8분류군, II등급은 12분류군, I등급은 24분류군 등 총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단석산지구를 대상으로 2011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으로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8분류군, II등급은 12분류군, I등급은 24분류군 등 총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vascular plants in Mt. Danseok (827 m)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y 2011 to October 2016. The flora on Mt. Danseok District was classifi...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vascular plants in Mt. Danseok (827 m)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y 2011 to October 2016. The flora on Mt. Danseok District was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flora of this site consisted of 97 families, 331 genera, 489 species, 4 subspecies, 48 varieties and 11 forms. The 11 taxa of rare plants and 14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found in this site 50 taxa comprising 1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VI, 8 taxa of grade III, 12 taxa of grade II and 24 taxa of grade I. The 37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2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vascular plants in Mt. Danseok (827 m)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y 2011 to October 2016. The flora on Mt. Danseok District was classified as follows. Based on voucher specimens, the flora of this site consisted of 97 families, 331 genera, 489 species, 4 subspecies, 48 varieties and 11 forms. The 11 taxa of rare plants and 14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found in this site 50 taxa comprising 1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VI, 8 taxa of grade III, 12 taxa of grade II and 24 taxa of grade I. The 37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2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were investigat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또한 단석산 지구는 8개 지구 중 해발고도가 가장 높고 낙동정맥 상에 위치하여 경주국립공원에서 생태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 중 하나인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단석산지구의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제안 방법
조사경로는 법정 및 비법정 탐방로, 계곡, 능선, 사면, 산정 등 다양한 지형이 포함되었으며, A경로는 방내저수지→계곡→비지고개→산정, B경로는 송선저수지→계곡→산정, C경로는 우중골→신선사→능선→산정, D경로는 당재→능선→산정, E경로는 OK그린청소년수련원→능선→산정이다(Fig. 1).
생태적 중요성과 특이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희귀식물(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한국특산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2000;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귀화식물(Park, 2009, Lee et al., 2011;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생태계교란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4)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대상지인 단석산지구는 경북 경주시 건천읍 방내리, 송선리에 위치하며, 면적 12.85 ㎢로써 단석산(827 m)를 중심으로 입암산(688 m) 등의 능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법정 탐방로는 4개소, 연장길이 13.5 ㎞이다(Mun et al., 2013). 또한 산간계류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그 주변으로 소규모 저수지가 산재해 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1. The survey routes in Mt. Danseok District.
현장조사는 조사경로 주변 반경 약 5 m 내외에 분포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된 식물은 Lee (2003)와 Lee (2006)의 문헌을 통해 동정하였다. 또한 식물의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에 의거하여 기재하였으며, 분류군 배열은 Engler (Melchior, 1964)의 체계를 따랐고 과내 학명은 알파벳 순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식물의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에 의거하여 기재하였으며, 분류군 배열은 Engler (Melchior, 1964)의 체계를 따랐고 과내 학명은 알파벳 순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상기 문헌 이외에 벼과 및 사초과(Cho et al., 20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양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Lee and Lee, 2015)은 해당 전문 문헌도 함께 이용하였다. 식물의 채집은 국립공원관리공단 경주사무소의 허가를 득한 후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은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식물상 목록을 작성하였다.
, 20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양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Lee and Lee, 2015)은 해당 전문 문헌도 함께 이용하였다. 식물의 채집은 국립공원관리공단 경주사무소의 허가를 득한 후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은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식물상 목록을 작성하였다. 석엽표본은 국립공원관리공단 경주사무소의 수장고 및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에서 보관하였다.
이론/모형
현장조사는 조사경로 주변 반경 약 5 m 내외에 분포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된 식물은 Lee (2003)와 Lee (2006)의 문헌을 통해 동정하였다. 또한 식물의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에 의거하여 기재하였으며, 분류군 배열은 Engler (Melchior, 1964)의 체계를 따랐고 과내 학명은 알파벳 순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상기 문헌 이외에 벼과 및 사초과(Cho et al.
성능/효과
식물상은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 등 552분류군이며, 양치식물은 11과 15속 19종 1변종 등 20분류군(3.6%), 나자식물은 2과 3속 6종 등 6분류군(1.1%),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5과 249속 371종 4아종 35변종 10품종 등 420분류군(76.1%), 단자엽식물은 9과 64속 93종 12변종 1품종 등 106분류군(19.2%)이다(Table 2).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분류군의 약 11.
분류군이 많은 상위 10개 과는 국화과 62분류군(11.2%), 벼과 52분류군(9.4%), 콩과 33분류군(6.0%), 장미과 및 백합과 각 25분류군(4.5%), 꿀풀과 23분류군(4.2%), 미나리아재비과 18분류군(3.3%), 마디풀과 15분류군(2.7%), 십자화과 및 제비꽃과 각 14분류군(2.5%), 석죽과 및 사초과 각 13분류군(2.4%), 범의귀과 및 산형과 각 10분류군(1.8%)의 순으로 나타났다.
, 2013), 서악지구 2분류군․ 3분류군(You, 2014), 구미산지구 6분류군․ 9분류군(You and Kwon, 2015)이다. 본 지역의 경우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으로 다른 지구보다 분류군수가 많았다. 이는 단석산지구가 다른 지구보다 생태적 중요성 및 종다양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나 다른 지구에 비해 장기간 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으로, 다른 지구도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한다면 신규 분류군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희귀식물은 계곡에서 7분류군, 가장자리 2분류군, 묘지 및 사면 각 1분류군이 생육하였다. 변산바람꽃, 너도바람꽃, 만주바람꽃은 A와 B경로의 계곡에서 소군락 형태로 연속하여 출현하였으며, 미치광이풀은 B경로의 계곡 최상류에서만 확인되었다. 꼬리말발도리는 A경로의 단석산 정상부로 가는 계곡 상류부 암석틈에서, 쥐방울덩굴과 가침박달은 A, D 및 E경로의 산림가장자리에서 관찰되었다.
꼬리말발도리는 A경로의 단석산 정상부로 가는 계곡 상류부 암석틈에서, 쥐방울덩굴과 가침박달은 A, D 및 E경로의 산림가장자리에서 관찰되었다. 단풍박쥐나무, 덩굴꽃마리는 A, B 및 C경로의 계곡부 평탄지에서, 노랑무늬붓꽃과 솜양지꽃은 D경로에서 나타났다. 특히 A와 B경로는 단석산에서 계곡의 유량이 많고 깊은 계곡을 형성하며, 다양한 식물상이 관찰되어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이들 중 관속식물분포도(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와 비교 검토해보면, 외대으아리는 주로 중부지방에 분포하나 일부 전북, 경남북부권역에서 확인되어 본 지역이 포함된 주변 지역이 남방한계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이며, 노각나무는 주로 전남북, 경남, 경북남부를 포함한 남부지방에 집중하여 노각나무는 남부지방이 생육적지라고 생각된다. 꼬리말발도리는 경남북의 5개 지역에서 확인된 바, 향후 본 지역의 자생지도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해변싸리는 주로 남부지방에 집중하여 본 지역을 포함한 인근 지역이 북방한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특산식물은 지리적 분포역이 좁고 희소성이 있는 식물이며, 지역 유전형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지내 보전과 함께 종자 등을 수집하여 증식할 수 있는 현지외 보전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방내저수지 주변의 미국가막사리 종자가 탐방객이나 야생동물에 의해 이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장에서 제거하였다. 하지만 미국가막사리에 대한 전수조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상부를 포함한 산림습지로 확산이 우려되므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석산지구의 위치는?
본 연구대상지인 단석산지구는 경북 경주시 건천읍 방내리, 송선리에 위치하며, 면적 12.85 ㎢로써 단석산(827 m)를 중심으로 입암산(688 m) 등의 능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법정 탐방로는 4개소, 연장길이 13.
희귀식물 분류군들은 어디에서 생육하였나?
또한 희귀식물은 계곡에서 7분류군, 가장자리 2분류군, 묘지 및 사면 각 1분류군이 생육하였다. 변산바람꽃, 너도바람꽃, 만주바람꽃은 A와 B경로의 계곡에서 소군락 형태로 연속하여 출현하였으며, 미치광이풀은 B경로의 계곡 최상류에서만 확인되었다.
단석산지구의 식생 특징은?
, 2013). 또한 산간계류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그 주변으로 소규모 저수지가 산재해 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단석산의 주요 식생은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졸참나무(Quercus serrata)군락 4.
참고문헌 (37)
Byeon, J.G., J.K. Shin, S.H. Oh and D.K. Kim. 2016. The plant distribution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Korea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Gyeongsangbuk-do, South Korea. Korean J. Plant Res. 29(2):204-224 (in Korean).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27 (in Korean).
Choi, C.H., J.H. You and S.G. Jung. 2013. Estimation of danger zone by soil erosion using RUSLE model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7(5):614-624 (in Korean).
Gyeongju City. 2016.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ju. Gyeongju City, Gyeongju, Korea. pp. 52-53 (in Korean).
Hong, S.H., J.S. Kim, S.H. Choi and J.W. Cho. 2012. Characteristics of the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6(6):934-940 (in Korean).
Jung, J.Y., J.H. Pi, J.G. Park, M.J. Jeong, E.H. Kim, G.U. Seo, C.H. Lee and S.W. Son. 2016.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s an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KJEE 49(1):31-41 (in Korean).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Kim, J.S., S.H. Choi, S.H. Hong, H.M. Kang and J.N. Bae. 2013.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3):381-395 (in Korean).
Kim, J.W., I.Y. Lee and J.R. Lee. 2017.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Weed Turf. Sci. 6(2): 117-123 (in Korean).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809 (in Korean).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65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6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47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6.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09 (in Korean).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Investigation on the Natural Resource of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Namwon, Korea. pp. 19-130 (in Korean).
Lee, C.S. and K.H. Lee.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71 (in Korean).
Lee, S.C., H.M. Kang, S.H. Choi, S.H. Hong, S.D. Lee, W. Cho and J.S. Kim. 2014.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ohamsan (Mt.) wetland area of the surrounding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8(1):33-44 (in Korean).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in Korean).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 666.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85-215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The Conservation Plan of Ecosystem According to Inflow of Exotic Species.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30 (in Korean).
Mun, S.J., J.H. You, K.P. Hong and S.H. Heo. 2013. Analysis of deterioration status on the trails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focused on Mt. Toham, Mt. Nam, Mt. Danseok and Mt. Gumi district-. J. Korean Inst. Landscape Archit. 41(3):31-42 (in Korean).
Oh, H.K. and J.H. You. 2016.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aebong (Mungyeong and Yecheon), Gyeongbuk.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0(1):32-44 (in Korean).
Oh, H.K., S.C. Kim and J.H. You. 2015. Study on flora distributed around Mt. Hwangseok, Gyeongsangnam-do for selecting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J. Envrion. Impact Assess. 24(1):51-65 (in Korean).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75 (in Korean).
Son, H.J., C.H. Ahn, S.I. Ahn, N.Y. Kim, Y.S. Kim and W.G. Park.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and urban forest of Chuncheon City. Jour. Korean For. Soc. 100(2):184-201 (in Korean).
Son, S.W., K.S. Choi, K.T. Park, E.H. Kim and S.J. Park. 2013.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Korean rare and endemic species, Deutzia paniculata Nakai, as revealed by ISSR markers. Korean J. Plant Res. 26(5): 619-627 (in Korean).
Yoon, J.W., H.T. Shin, M.H. Yi, G.S. Kim, J.W. Sung, K.H. Park, C.H. Lee and Y.S. Kim. 2012. Status and management proposal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ithin in cultural treasury are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6(4):550-558 (in Korean).
Yoon, J.W., Y.S. Kim, H.T. Shin, G.S. Kim, J.W. Sung, C.H. Lee, K.H. Park and M.H. Yi. 2013. Vascular flora of Gyeongju National Park-focused on Mt. Nam, Mt. Toham, Mt. Danseok-. Korean J. Environ. Ecol. 27(2):170-195 (in Korean).
You, J.H. 2014. Vascular plants of Seoak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7(3):13-33 (in Korean).
You, J.H. and S.Y. Kwon. 2015.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 Plant Res. 28(4):511-525 (in Korean).
You, J.H., S.J. Mun and W.S. Lee. 2011.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4(5):17-35 (in Korean).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