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3, 2016년, pp.71 - 91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by surveying the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The numbers of flora were summarized as 575 taxa; 99 families, 333 genera, 507 species, 4 subspecies, 56 varieties and 8 forms. The threatened spe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전체 식물상은 99과 333속 507종 4아종 56변종 8품종 등 575분류군이며, 양치식물은 11과 28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6과 443분류군, 단자엽식물은 9과 99분류군이다.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다만, 분석된 식물상 자료가 주로 생태적 가치에 집중된 경향이 있기 때문에 향후 탐방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관상용, 약용, 식용 등 실생활과 밀접한 자원발굴과 자료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주왕산국립공원의 식물상에 대한 자원적 및 생태적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생물종다양성 보전 관점에서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국립공원의 자연자원을 지속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산림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산림은 국토의 생태적 거점과 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 무생물을 포함한 자연자원과 인문자원이 공존하는 생태계로써 국토의 약 65%를 차지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자연환경이다. 또한 산림은 시각적으로 신록, 녹음, 단풍 등 계절적 변화와 함께 교목, 관목, 초본의 군락뿐만 아니라 계곡, 능선 등 지형적 요소도 포함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생태계의 모습을 가진다.
산림의 기능은 무엇인가? 따라서 산림은 생물과 무생물의 조화가 있고 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인자들이 있으며, 생물과 무생물 자원을 통해 인간의 생활과 자연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Yu and Park, 2015). 또한 목재생산, 산림휴양, 산지재해방지,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자연환경보전의 기능이 있기 때문에(Lee, 2011) 산림은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중 산림휴양과 자연환경보전 기능이 높은 지역이 국립공원이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주요 현존식생은 무엇인가? , 2011b). 주요 현존식생은 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 등이며, 소나무군락과 참나무류 군락이 대부분을 형성하고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속한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KH.Yoo KH.Kim JA and Yoon ES. 2014. In vitro propagation of endangered species,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 J. Plant Biotechnol. 41: 38-4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Ferris R and Humphrey JW. 1999. A review of potential biodiversity indicators for application in British forests. Forestry 72(4): 313-328. 

  3. Jang CS.Yang SG.Park MS.Kim KH.Seo SW and Oh BU. 2011. Floristic study of So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4): 398-41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Jung JY.Gwon JH and Song HK. 2013.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population. J. Korean Env. Res. Tech. 16(5): 27-3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 Environ. Biol. 18(1):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Kim SY.Choi HW.Koo DH.Kim CS and Bang JW. 2005. Karyotype analysis and physical mapping of rDNAs using McFISH in Jeffersonia dubia Benth..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1): 48-5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im YS.Kang GH and Park DG. 1995. Floristic study o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8(2): 81-9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o SC.Choi DS.Son DC.Park BK and Kim TH. 2013.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hwang(Gyeongsangnam-do). Korean J. Pl. Taxon. 43(2): 146-16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4.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8. The Investigation of Natural Resource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Namwon. (in Korean) 

  15. Lee HC.Hwang IC.Lim DO and Chung CU. 2011.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5(4): 498-5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Seoul: Hyangmunsa. 

  17. Lee WS. 2011. An evaluation of natural-ecological function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n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1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Lee YM.Park SH.Jung SY.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2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Data Book of Biological Resource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Invasive Alien Animals and Plants Sourcebook.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23. Moon AR.Han JW.Park JM and Jang CG. 2013. The flora of Mt. Eungbongsan(Prov. Gangwon, Youngwol). Korea J. Plant Res. 26(2): 234-24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Nam Y.You JH and Heo SH. 2015.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condition on the trail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9(4): 605-61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26. Oh HK.Kim SC and You JH. 2015. Study on flora distributed around Mt. Hwangseok, Gyeongsangnam-do for selecting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J. Environ. Impact Assess. 24(1): 51-6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Park BC.Oh CH and Cho CW. 2009.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Carpinus laxiflora communities in Seoul. Kor. J. Env. Eco. 23(4): 333-34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29. Sim KW and Kwon HK. 2011.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forest recreation demand.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 35-4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0.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1. Yoon JW.Kim YS.Shin HT.Kim GS.Sung JW.Lee CH.Park KH and Yi MH. 2013. Vascular flora of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7(2): 170-1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2. You JH and Kwon SY. 2015. Flora distributed in Mt. Gumi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J. Plant Res. 28(4): 511-5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3. You JH.Jeon SK and Seol JW. 2013.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6(1): 109-13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You JH.Jung SC.Chung CU and Mun SJ. 2012.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Jusan Reservoir watersh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n Env. Res. Tech. 15(1): 89-10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5. You JH.Mun SJ and Lee WS. 2011a.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4(5): 17-3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6. You JH.Mun SJ.Chung CU and Jung SC. 2011b. Characteristics and vascular plants around trail in Juwangsan National Par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3): 49-6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7. You JH.Mun SJ.Chung CU and Seol JW. 2011c. Flora and vegetation of special protected area in Juwa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3): 142-15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8. You JH.Seo JK and Jung SG. 2013.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specific plant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7): 873-88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9. Yu JR and Park CM. 2015. The influence of forest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nges in the awareness of forest. Korean J. Environ. Ecol. 29(3): 462-4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