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속평가방법(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 및 평가항목의 개선
Wetland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ex Using Rapid Assessment Method (RAM)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3, 2017년, pp.314 - 324  

최종윤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김성기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윤종학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습지의 가치와 등급을 평가하고 적용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46개 습지를 대상으로 신속평가방법 (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습지에서 평가된 8개 대항목과 주변 피복 비율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elf-Organizing Map(SO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8개의 항목 중,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와 '미적 레크레이션' 항목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2~3등급의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SOM 분석 결과,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 항목이 높은 습지에는 대부분 어류 양서 파충류 서식처 항목이 낮은 성향을 보였는데, 이는 어류 등은 식생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습지 내 수생식물의 높은 풍부도는 미적인 부분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미적 레크레이션 점수가 높은 습지는 대부분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가 높았다. 또한, 침식조절 기능의 경우 홍수 저장 조절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침식조절 기능이 높은 습지는 홍수 저장 조절 기능 또한 높은 경향을 가진다. 국내 습지에 신속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 일부 항목이 국내 습지 특성이나 범위에 맞지 않아 개선이 요구되며, 습지 보전 측면에서 '접근성'이나 '시각적 개방성' 등 항목들은 점수 체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속평가방법을 국내 습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목 내 평가기준의 조정 혹은 세분화, 현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신속평가방법을 이용한 등급화는 습지의 보전이나 관리 방안 마련에 중요한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잔존하는 습지를 보존하여 멸종위기종 등 생물상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onsider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value and class of domestic wetland, we investigated 146 wetlands located Gyeongsangnam-do using Rapid Assessment Method (RAM). We utilized Self-Organizing-Map (SOM)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ex and land coverage ratio surrou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146개 습지를 대상으로, 신속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습지의 평가 및 등급화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해 습지의 가치평가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평가방법의 적용을 위해 특정 지역에서 대규모로 습지평가가 진행된 예가 적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신속평가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추후 다른 평가방법의 적용에 대한 사례로서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가설 설정

  • (c) Maximum depth. (d) Land use. (e) Accessibil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는 어떤 생태계인가? 습지는 전 세계적으로 작은 면적을 차지하지만, 연평균 1,000 gC m-2 yr-1 정도의 생산력을 가질 정도로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이다 (Sutton-Grier and Megonigal, 2011; Zhu et al., 2011). 습지는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 간의 전이지역으로 다양한 영양분과 먹이원이 집결되며, 수생식물이나 저질 등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서식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생물들이 서식하기 적당한 환경이다.
습지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문제가 상당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습지의 높은 생물다양성으로 인해, 현재 160개국이 국제습지협약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에 가입하여 2018개의 습지를 보호·관리하고 있다(Ramasr Convention on Wetlands homepage, 2015). 하지만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이 인식된 것은 최근이며 (약 20~30년), 과거에는 쓸모없는 지역으로 인식되어 농지개간, 제방건설, 위생 관리 등의 이유로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습지가 훼손 또는 소멸되었다 (Lehtinen et al., 1999). 특히, 습지는 수심이 얕고 비교적 작은 면적이기 때문에 농경지로 전환이 용이하다 (Verhoeven and Setter, 1989).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같은 불가항력에 가까운 교란과 함께 토지이용 변화, 외래종 침입, 경제상황 변화 등 습지의 서식처와 생물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Findlay and Bourdages, 2000; Wood et al., 2003).
국내 습지의 가치와 등급을 평가하고 적용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국내 습지의 가치와 등급을 평가하고 적용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46개 습지를 대상으로 신속평가방법 (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습지에서 평가된 8개 대항목과 주변 피복 비율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elf-Organizing Map(SO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ndor, T. 2009. A dynamic analysis of the wetland mitigation process and its effects on no net loss polic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9: 17-27. 

  2. Choi, J.Y., K.S. Jeong, S.K. Kim, G.H. La, K.H. Chang and G.J. Joo. 2014a. Role of macrophytes as microhabitats for zooplankton community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Ecological Informatics 24: 177-185. 

  3. Choi, J.Y., K.S. Jeong, G.H. La, S.K. Kim and G.J. Joo. 2014b. Sustainment of epiphytic microinvertebrate assemblage in relation with different aquatic plant microhabitats in freshwater wetlands (South Korea). Journal of Limnology 73: 197-202. 

  4. Choi, J.Y., S.K. Kim, K.S. Jeong and G.J. Joo. 2015. Distribution pattern of epiphytic microcrustaceans in relation to different macrophyte microhabitats in a shallow wetland (Upo wetlands, South Korea). Oceanological and Hydrobiological Studies 44(2): 151-163. 

  5. Dekeyser, E.S., D.R. Kirby and M.J. Eii. 2003. An index of plant community integrity: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y for assessing prairie wetland plant communities. Ecological Indicators 3: 119-133. 

  6. Findlay, C.S. and J. Bourdages. 2000. Response time of wetland biodiversity to road construction on adjacent lands. Conservation Biology 14: 86-94. 

  7. Grace, J.B. 1999. The factors controlling species density in herbaceous plant communities: an assessment. Perspectives in Plant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2: 1-28. 

  8. Hauer, F.R. and R.D. Smith. 1998.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to functional assessment of riparian wetlands: evaluating impacts and mitigation on river floodplains in the U.S.A. Freshwater Biology 40: 517-530. 

  9. Jeong, K.S., G.J. Joo, D.K. Kim, M. Lineman, S.H. Kim, I. Jang, S.J. Hwang, J.H. Kim, J.K. Lee and M.S. Byeon. 2008. Development of habitat-riparian quality indexing system as a tool of stream health assessment: case study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Limnology 41: 499-511. 

  10. Jeong, K.S, D.K. Kim, D.K. Hong, J.Y. Choi, J.D. Yoon and G.J. Joo. 2009. Relationships among a habitat-Riparian indexing system (HIS), water quality and coverage: a case study in the main channel of the tangsan stream (South Korea). Korea Journal of Limnology 42: 502-509. 

  11. Kang, E.O., Y.E. Choi and C.H. Kim. 2012. Study on function and vegetational assessment values of man-made wetland in Gunsan c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 997-1007. 

  12.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 21-27. 

  13. King, A.J., P. Humphries and P.S. Lake. 2003. Fish recruitment on floodplains: the roles of patterns of flooding and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60(7): 773-786. 

  14. Kim, Y.J. and S.D. Lee. 2009. Studies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introducing no wetland los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8: 235-243. 

  15. Kohonen, T., J. Hynninen, J. Kangas and J. Laaksonen. 1996. Sompak: The self-organizing map program package. Report A31,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Laborator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16. Koo, B.H. and K.G. Kim. 2001. A Study on the Assessment for the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RAM (Rapid Assessment Method).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4(3): 38-48. 

  17. Kuczynska-Kippen, N. and B. Nagengast. 2006. The influence of the spatial structure of hydromacrophytes and differentiating habitat on the structure of rotifer and cladoceran communities. Hydrobiologia 559: 203-212. 

  18. Kwak, T.J. 1988. Lateral movement and use of floodplain habitat by fishes of the Kankakee River, Illinoi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241-249. 

  19. Lehtinen, R.M., S.M. Galatowitsch and J.R. Tester. 1999. Consequences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for wetland amphibian assemblages. Wetlands 19: 1-12. 

  20. Manatunge, J., T. Asaeda and T. Priyadarshana. 2000. The influence of structural complexity on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A study using artificial submerged macrophyte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58: 425-438. 

  21. Mitsch, W. J. and J.G. Gosselink. 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1): 25-33. 

  22. Park, M.O., B.H. Koo and H.N. Kim. 2009.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5): 92-100. 

  23. Robertson, M. 2000. No net loss: wetland restoration and the incomplete capitalization of nature. Antipode 32: 463-493. 

  24. Salzman, J. and J.B. Ruhl. 2005. 'No net loss' - instrument choice in wetlands protection. Technology & Innovation Research Paper Series 1: 1-24. 

  25. Semlitsch, R.D. and J.R. Bodie. 1998. Are small isolated wetlands expendable? Conservation Biology 24(5): 1129- 1133. 

  26. Sutton-Grier, A.E. and J.P. Megonigal. 2011. Plant species traits regulate methane production in freshwater wetland soils. Soil Biology & Biochemistry 43: 413-420. 

  27. Tilton, D.L., K. Shaw, B. Ballard and W. Thomas.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Rouge River National Wet Weather Demonstration Protect. 

  28. Turner, R.E., A.M. Redmond and J.B. Zedler. 2001. Count it by acre or function-mitigation adds up to net loss of wetlands. National Wetlands Newsletter 23: 5-16. 

  29. Verhoeven, J.T.A. and T.L. Setter. 1989. Agricultural use of wetland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Annals of Botany 105: 155-163. 

  30. Warfe, D.M. and L.A. Barmuta. 2004. Habitat structural complexity mediates the foraging success of multiple predator species. Oecologia 141: 171-178. 

  31. Wood, P.J., M.T. Greenwood and M.D. Agnew. 2003. Pond biodiversity and habitat loss in the UK. Area 35: 206-216. 

  32. Zhu, G.B., S.Y. Wang, X.J. Feng, G.N. Fan, M.S. M. Jetten and C.Q. Yin. 2011. Anammox bacterial abundance, biodiversity and activity in a constructed wetland.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 9951-9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