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시와 비강우시 BOD 유출 특성 조사 및 원단위 평가
Characteristics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Export from Paddy Fields during Storm and Non-storm Period and Evaluation of Unit Load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3 no.5, 2017년, pp.531 - 537  

최동호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조소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황태희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김영석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정재운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  최우정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박현규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윤광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logic Oxygen Demand (BOD) is a reliable and generally accepted indicator of water pollution by organic pollutants. Accordingly, estimation of BOD export from paddies carries important implications fwith regard to water management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hydrology and BOD concentr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조사된 논에서의 강우시와 비강우시의 유출량 및 BOD 농도자료를 활용하여 강우시와 비강우시 (관리손실 포함) BOD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 논 비점오염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질오염총량제이란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오염원 관리를 위해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제를 도입하여 하천의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며,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을 하천의 관리대상 물질로 규정하고 있다(MOE, 2013). 제 2차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Relevant Ministerial Consortium, 2012)에 따르면, 2010년 BOD 비점배출부하량은 전체의 68.
제 2차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비점배출부하량에 대해 어떻게 예측하는가? 국내에서는 오염원 관리를 위해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제를 도입하여 하천의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며,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을 하천의 관리대상 물질로 규정하고 있다(MOE, 2013). 제 2차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Relevant Ministerial Consortium, 2012)에 따르면, 2010년 BOD 비점배출부하량은 전체의 68.3 %를 차지하였으며, 2020년에는 71.2 %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이되었다. 특히, 다양한 오염원(생활계, 산업계, 토지계, 축산계, 양식계) 중 토지계(도시, 논, 밭, 산림, 기타)의 기여도가 63.
BOD 부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농가에서 실천해야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상대적으로 관리가 용이한 10 mm 이하의 강우계급에서 물꼬관리 등을 통해 강우시 유출되는 양을 저류할 경우 강우시 BOD 부하량의 29 %까지 저감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논에서 비강우시와 작은 강우에서 관리 손실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부하량의 저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논에서의 유출되는 오염부하 저감을 위해서는 농민의 관심과 노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농민의 교육 및 홍보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및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 H., Yun, S. L., and Kim, S. K. (2012).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According to Cultivation Activity in River Distric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4(7), 480-487. [Korean Literature] 

  2. Gu, B. W. and Park, S. J. (2016). Effects of Fertilization on Ponded Water and Soil Quality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24(5). 139-152. [Korean Literature] 

  3. Hwang, H. S. (2001). Mass Balance Analysis and Loading Estimate of Nutrients in Paddy Fields Area,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1-67. [Korean Literature] 

  4. Hwang, H. S., Kong, D. S., Shin, D. S., and Jeon, J. H. (2004). Characteristics of Nutrient Export from Paddy Rice Fields with Irrigation Pract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0(6), 597-602. [Korean Literature] 

  5. Jeon, J. H., Yoon, C. G., and Hwang, H. S. (2003), Water Quality Model Development for Loading Estimates from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3), 344-355. [Korean Literature] 

  6. Jin, S. H., Jung, J. W., Yoon, K. S., Choi, W. J., Choi, D. H., Kang, J. H., and Choi, Y. J. (2010). Probability Distribution of BOD EMC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19(9), 1153-1159. [Korean Literature] 

  7. Jung, J. H., Sin, B. W., and Yoo, C. H. (2001). Effect of the Successiv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Soil Properties and Rice Yield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4(2),129-133. 

  8. Jung, J. W., Yoon, K. S., Choi, W. J., Joo, S. H., Lim, S. S., Kwak, J. H., Lee, S. H., Kim, D. H., and Chang, N. I. (2008). Improvement Measures of Pollutants Unit-Loads Estimation for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3), 291-296. [Korean Literature] 

  9. Kim, H. S., Kim. J. S., Kim. Y. I., and Cheong, B. H. (2004).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Loading and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n the Paddy-fields,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11(1), 36-44. [Korean Literature] 

  10. Kim, K. U., Kang, M. S., Song, I. H., Song, J. H., Park, J. H., Jun, S. M., Jang, J. R., and Kim, J. S. (2016). Effects of Controlled Drainage and Slow-release Fertilizer on Nutrient Pollutant Loads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1), 1-10. [Korean Literature]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7). http://kosis.kr/ (assessed Feb. 2017). [Korean Literature] 

  12. Lee, J. B., Lee, J. Y., Li, S. H., Jang, J. R., Jang, I. G., and Kim, J. S. (2014). Nutrient Balance in the Paddy Fields Watershed with a Source of River 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5), 11-19. [Korean Literature] 

  13. Lee, K. B., Park, C. W., Park, K. L., Kim, J. G., Lee, D. B., and Kim, J. D. (2005) Nitrogen Balance in Paddy Soil of Control 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8(3), 157-163. [Korean Literature] 

  14. Lee, K. S., Jung, J. W., Choi, D. H., Yoon, K. S., Choi, W. J., Choi. S. M., Lim, S. S., Park, H. N., Lim, B. J. and Choi, G. W. (2011).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 Export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Quality, 27(6), pp. 868-876.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1995). Research on Survey Monitoring for Non-point Source Discharg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04). Official Testing Method with Respect to Water Pollution Process, 2004-188,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3). Act on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9). Rainfall-runoff Survey Method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 [Korean Literature]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Public Hearing for Unit Load of Nonpoint Sourc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2. [Korean Literature] 

  20. Relevant Ministerial Consortium. (2012). The 2nd Comprehensive Plan on Nonpoint Source Management, 11-1480000-001222-01,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n Literature] 

  21. Yoon, C. G., Hwang, H. S., Jeon, J. H., and Ham, J. H. (2003). Analysis of Nutrients Balance during Paddy Rice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66-73.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