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농형태별 영농기간 동안 비강우시 논 유출수의 수질 항목별 확률분포 추정
The Estima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 by Water Quality Constituents Discharged from Paddy Fields during Non-storm Period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2 no.1, 2019년, pp.21 - 27  

최동호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허승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김민경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  엽소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최순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농기간 동안 비강우시에 영농형태에 따른 논에서 유출되는 T-N, T-P, COD, SS의 적정 확률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2016년 전라북도 부안군 논 유역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확률분포모형 선정을 위해 Kolmogorov-Smirnov 검정방법을 적용한 결과 Weibull 분포모형에서 대조구, 완효성비료처리구, 물꼬관리처리구의 모든 수질 항목에서(T-N, T-P, COD, SS)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우시에 모든 수질 항목에서 Log-Normal 분포모형과 Gamma 분포모형에서 적합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시기별 적합한 확률분포모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분석된 비강우시 영농형태별 (대조구, 완효성비료처리구, 물꼬관리처리구) 확률분포모형에 의해 선정된 수질 항목별 중앙값과 하천의 수질을 연계 분석한다면 논에서 유출되는 수질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of water quality distribution is very important for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reduction methods of nonpoint pollu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probability dis...

주제어

참고문헌 (18)

  1. Choi, D.H., S.H. Cho, J.W. Jung, H.K. Park, W.J. Choi, K.S. Yoon and Y.S. Kim. 2017a. Variations of Dissolved and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Irrigation, Flooding, and Drainage Water of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3(4): 434-440. 

  2. Choi, D.H., S.H. Cho, T.H. Hwang, Y.S. Kim, J.W. Jung, W.J. Choi, H.K. Park and K.S. Yoon. 2017b. Characteristics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Export from Paddy Fields during Storm and Non-storm Period and Evaluation of Unit Load. Journal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5): 531-537. 

  3. Choi, K.S. and J.R. Jang. 2014. Selection of Appropriation Plant Species of VFS (Vegetative Filter Strip) for Reducing NPS Pollution of Uplan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10): 973-983. 

  4. Chung, J.B. 2009. Effect of Nitrate on Iron Reduction and Phos-phorus Release in Flooded Paddy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8(2): 165-170. 

  5. Cooke, R. 1993. VTFIT: A Routine for Fitting Homogeneous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Software Help.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Blocks Burg, VA. 

  6. Han, K.H., J.H. Kim, K.S. Yoon, J.Y. Cho, W.I. Kim, S.G. Yun and J.T. Lee. 2007. Effluent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t Paddy Fields during Cropping Period.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zier 40(1): 18-24. 

  7. Jin, S.H., J.W. Jung, K.S. Yoon, W.J. Choi, D.H. Choi, S.D. Kim, J.H. Kang and Y.J. Choi. 2010. Probability Distribution of BOD EMC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9): 1153-1159. 

  8. Joo, S.H. 2018. Implementation Effect of Paddy Best Management Practice on Non-point Source Pollutant Reduction. Ma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9. Jung, J.W., D.H. Choi and K.S. Yoon. 2014. Selec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vent Concentrations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4): 285-295. 

  10. Jung, J.W., K.S. Yoon, W.J. Choi, S.H. Joo, S.S. Lim, J.H. Kwak, S.H. Lee, D.H. Kim and N.I. Chang. 2008. Improvement Measures of Pollutants Unit-Loads Estimation for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Environment 24(3): 291-296. 

  11. Kim, K.U., M.S. Kang, I.H. Song, J.H. Song, J.H. Park, S.M. Jun, J.R. Jang and J.S. Kim. 2016. Effects of Controlled Drainage and Slow-release Fertilizer on Nutrient Pollutant Loads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1): 1-10. 

  12. Lee, J.B., J.Y. Lee, S.H. Li, J.R. Jang, I.G. Jang and J.S. Kim. 2014. Nutrient Balance in the Paddy Fields Watershed with a Source of River 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5): 11-19. 

  13. Lee, J.B., J.Y. Lee and J.S. Kim. 2017. SS and COD Runoff from Rice Field Watershed during Storm Events in the Growing and Non-growing Seas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2): 91-99. 

  14. Lee, K.S., J.W. Jung, D.H. Choi, K.S. Yoon, W.J. Choi, S.M. Choi, S.S. Lim, H.N. Park, B.J. Lim and G.W. Choi. 2011.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 Export from Paddy Fie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Quality 27(6): 868-876. 

  15. Melcing, C.S. and C.G. Yoon. 1996. Key Sources of Uncertainty in QUAL2E Model of Passaic River.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22(2): 105-113. 

  16. Relevant Ministerial Consortium. 2012. The 2nd Comprehensive Plan on Nonpoint Source Management, 11-1480000-001222-0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7. Seo, J.Y., B.K. Park, W.J. Park, K.S. Yoon, D.H. Choi, Y.S. Kim, J.C. Ryu and J.D. Choi. 2016. Evaluation of SRI Water Management on the Reduction of Irrigation Supply and NPS Pollution in Padd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183-190. 

  18. Yeongsan and Seomjin River Management Committee. 2014. Development of Water Contamination Source Tracing Technology in Multi-Land Use Watershed Using Stable Isotope Techniqu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