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성능위주설계의 시행현황 분석 - 화재시나리오 및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5, 2017년, pp.32 - 40  

안성호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문선여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류일현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최준호 (부경대학교 소방공학과)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Based Design (PBD) implemented in 4 wide areas (Seoul, Gyeonggi, Incheon and Busan) over the past 5 years was reviewe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PBD implementation and target buildings. Then, detailed status related to fire scenarios, input information for fi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 적으로 화재시나리오에 따른 화재공간의 분류, 그리고 이에 따른 최대 열발생률, 화원 및 가연물의 종류 그리고 주요 연소물성에 대한 현황이 분석되었다. 또한 열 및 연기감지기 수치모델 입력정보에 대한 활용 현황이 검토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해 적용된 평균 격자크기 및 천장 방향의 격자크기에 대한 현황이 분석되었다.
  • 또한 천장 높이방향으로의 격자 크기 선정이 갖는ASET의 불명확성을 언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이후 국내에서 실시된 PBD의현황을 분석하고 화재시나리오 및 화재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국내 PBD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4개의 광역(서울, 경기, 인천, 부산)에서 시행된 성능위주설계(PBD)를 대상으로 시행 횟수 및 주요 대상 건축물의 용도에 대한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후 화재공간에 따른 최대 열발생률, 화원 및 가연물의 종류 그리고 주요 연소물성에 대한 적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상대적으로 많은 PBD 심의를 개최한 4개의 광역(서울, 경기, 인천, 부산)을 대상으로 대상 건축물의 용도를 포함한 PBD 시행현황을 검토하였다. 또한 PBD 심의를 위한 사전 검토서를 분석하여, 화재시나리오, 최대 열발생률, 화원 및 가연물의 종류 그리고 주요 연소물성에 대한 적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 이때 가연물의 선택은 화재 시뮬레이션에서 연료의 성분, 연소열, CO 및 Soot yields의 입력정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우선 화원이 차량으로 선정되었을 때 적용되고 있는 가연물의 종류를 살펴보자. 대부분의 PBD 사전 검토서에서는 차량 화재의 주요 가연물을 차량 의자를 포함한 내장 재에 해당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적용하고 있으며, 일부 연료에 해당되는 옥탄이 적용되고 있다.

가설 설정

  • Table 2는 PBD 사전 검토서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화재시나리오에 의해 적용되는 화재공간에 따른 화원 종류를 분류한 것이다. 주차장 화재의 경우, 모든 PBD 사전 검토서에서는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오피스텔을 포함한 업무시설의 경우 에는 침대 > 책상 > 소파 > 싱크대 = 의자 > 냉장고의 순서대로 화원이 설정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건축물의 고층화, 복합화 및 대형화에 따른 화재 예방 및 피해규모의 최소화를 위하여 국내에서 무엇이 시행되고 있나? 최근 건축물의 고층화, 복합화 및 대형화에 따른 화재 예방 및 피해규모의 최소화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2011 년 7월부터 개정된 「소방시설공사업법」을 근거로 소방안전에 대한 성능위주설계(performance-based design, PBD)가 시행되고 있다. 기존의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법규위주설계(prescriptive-based design)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PBD에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구조, 수용 인원, 가연물의 종류 및 양 등을 고려하여 공학기반의 화재안전 성능평가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PBD의 현실적인 어려움은? 그러나 화재안전의 목적과 설계목표의 이해를 시작으로 화재발생 및 성장과 관련된 화재의 특성평가 그리고 최종 정량적 근거에 의한 화재안전성 평가를 요구하는 PBD에서는 시행 초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문제점들이 인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PBD 대상 및 대안설계와 관련된 법체계의 정비,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의 신뢰성 확보 방안, 성능위주설계의 검증방법 부재, 제연설비 및 수계소화설비를 포함한 소방시스템의 문제점, 피난용 승강기의 활용방안 부재 그리고 심의위원 선정 문제 및 복잡한 PBD 행정절차의 등이 최적화된 화재안전설계를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PBD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언급되고 있다1) .
폴리우레탄의 특징은? 폴리우레탄은 우레탄 결합으로 주요 구성요소를 가지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가공방법 및 사용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화학식을 갖고 있으며, Table 3에서와 같이 유연성(flexible)이 있는 폼(foam) 형태로는 GM21, GM23, GM27, GM29 등이 존재한다11) . 그 결과 화재시뮬레이 션의 주요 입력인자인 연소열, CO 및 Soot yields 역시 다양한 값을 갖으며, 주요 가연물로 폴리우레탄을 선정하더라도 실제 적용되는 연소물성은 PBD 설계자의 임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J. Kwon, "The Investigation of the Overseas Trends for PBD and the Analysis of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PBD for Fire Safety Law", Fire Magazine, Vol. 8, No. 2, pp. 12-22, 2016. 

  2. Y. J. Lee, K. C. Ko and W. C. Park, "A Study on Performance-Based Design Enforce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6, No. 1, pp. 68-73, 2012. 

  3. J. S. Nam,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erformance-Based Design", Proceedings of 2017 KIFSE Annual Spring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57-58, 2017. 

  4. H. M. Jeong, W. H. Hong, J. Y. Son and G. Y. Jeon, "A Study on Improvement in Performance-Based Design through Expert Survey", Proceedings of 2017 KIFSE Annual Spring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463-466, 2017. 

  5. C. W. Lee and H. S. Shin, "Improvements for Critical Issues of Performance Based Design", Proceedings of 2017 KIFSE Annual Spring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59-60, 2017. 

  6. K. H. Jang, "Proposals on the Input Data Standardization Needs of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in Performance Based Desig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5, pp. 18-25, 2016. 

  7. S. C. Kim, "Application of Numerical Model for the Effective Design of Large Scale Fire Calorimet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4, No. 6, pp. 28-33, 2010. 

  8. K. McGrattan,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Fire Dynamic Simulator; User's Guide", NIST SP 1019, Sixth Edition, NIST, Gaithersburg, MD, 2015. 

  9. S. Y. Mun, J. H. Cho, C. H. Hwang and S. H. Park, "Sensitivity Analysis of Soot Yield on Fire Characteristics in the Fire Modeling using FDS", Proceedings of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573-576, 2012. 

  10. J. H. Cho, C. H. Hwang, J. Kim and S. Lee, "Sensitivity Analysis of FDS Results for the Input Uncertainty of Fire Heat Release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1, pp. 25-32, 2016. 

  11. NFPA,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4th ed.,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2008. 

  12. H. W. Park, J. H. Cho, S. Y. Mun, C. H. Park, C. H. Hwang, S. C. Kim and D. G. Nam,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 for the Fire Model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1, pp. 37-43, 2014. 

  13. K. H. Kim and C. H. Hwang,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a Ionization Smoke Detector to Improv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Fire Model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7, No. 4, pp. 27-34, 2013. 

  14. J. H. Cho, S. Y. Mun, C. H. Hwang and D. G. Nam,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for the Fire Model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6, pp. 62-68, 2014. 

  15. H. Y. Jang and C. H. Hwang, "Revision of the Input Parameters for the Prediction Models of Smoke Detectors Based on the FD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2, pp. 44-51, 2017. 

  16. H. S. Han, C. H. Hwang, K. L. Baik and S. Lee, "Application of FDS for the Hazard Analysis of Lubricating Oil Fires in the Air Compressor Room of Domestic Nuclear Power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1, No. 2, pp. 1-9, 2016. 

  17. A. Bounagui, N. Benichou, C. McCartney and A. Kashef, "Optimizing the Grid Size Used in CFD Simulations to Evaluate Fire Safety in Houses", In: 3rd NRC Symposium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High Performance Computing and Virtual Reality, Ottawa, pp. 1-8, 2003. 

  18. U.S. NRC and EPRI, "Nuclear Power Plant Fire Modeling Analysis Guidelines", NUREG-1934 and EPRI 1023259, Finial Report, 2012. 

  19. K. McGrattan, J. Floyd, G. Forney, H. Baum and S. Hostikka, "Improved Radiation and Combustion Routines for a Large Eddy Simulation Fire Model", In: Fire Safety Science -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Symposium, Worcester, MA, pp. 827-83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