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용 난연 목재 개발에 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for Co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2 no.5, 2017년, pp.149 - 156  

서현정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김남균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조정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민철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fire-retardant performances and combustion/thermal characteristics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fire-retardant untreated wood from the expreimental resutls of cone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ic(TG) analyzer. Hazardousness of combustio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당 재료의 보조 약제로써의 적용은 carbonate 성분이 열에 의해 분해 시 불연성가스인 이산화탄소와 재료 표면에 char를 형성하여 열분해를 지연시키는 특성에서 기인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차적으로 국내 유용 수종 중 공시재료로 사용할 수종을 선정하여 연소 특성 및 열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2차적으로는 해당 수종들에 붕소, 인 계 및 질소계의 수용성 난연제를 처리하여 난연 성능의 향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해당 처리법을 선정한 이유는 기존 연구에서는 열방출률 및 총 방출열량 값을 낮추는 목적은 달성하였으나, 총 방출열량 값이 5분 동안 8 MJ/m2 미만의 값을 나타내어야 한다는 국내 건축법 고시 및 일본 건축법 기준 값에서는 미달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FRCs의 경우, 목재보존제의 기존 구성 성분에 제2인산암모늄과 탄산칼륨을 주 약제 및 보조 약제로 추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므로 목재 보존 공장에서 추가 공정 없이 재료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해당 공정에서는 먼저 전배기는 챔버 내부에 시험편을 일렬로 배치하고 진공상태로 15분 동안 챔버 내부 및 시험편 공극의 공기를 제거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실내 마감 재료 중 목재의 난연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 중 난연성 화학종의 처리 방법 및 적정 혼합 비율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재는 크게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선행 연구에 의하면 목재는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200~300°C의 온도 대에서 연소가 시작된다6-8,37). 또한 목재는 크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그리고 리그닌 등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10,36), 그 성분들은 각각의 열분해 되어 휘발성 가스를 방출하는 온도 대가 서로 다르다. 그 성분들 중 리그닌의 경우, 열분해 시 char를 형성하여 초기 점화 후 목재 연소 시 화재의 확산이 일시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11).
목재는 어느 온도에서 연소가 새작되는가? 선행 연구에 의하면 목재는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200~300°C의 온도 대에서 연소가 시작된다6-8,37). 또한 목재는 크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그리고 리그닌 등 세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10,36), 그 성분들은 각각의 열분해 되어 휘발성 가스를 방출하는 온도 대가 서로 다르다.
난연제로 사용되기 위한 화학종의 화학적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화재 안전에 대한 규정이 점차 엄격해지고 있는 추세이며, 난연제로 사용되기 위한 화학종은 그 화학적 특성을 명화하게 파악되어야 한다. 난연 도료의 표면 처리 시 도료의 베이스 물질의 화학 성분에 따라 화재 시 다량의 연기, 독성 가스가 방출되거나 폭발 등의 반응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Liang 등12)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난연 도료 등 코팅 재료에 대한 연구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화학종을 활용한 재료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 G. Eom, "Wood and Engineered Wood as The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Air Cleaning Technology, Vol. 20, No. 2, pp. 26-49, 2007. 

  2. H. J. Seo, J. E. Park and D. W. Son, "Combus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ood Species", Bioresources, Vol. 11, No. 3, pp. 7537-7550, 2016. 

  3. Y. Park, B. Jun, J. Seo and S. Kim, "The Improv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of Wood-based Panel for Laminated Flooring Used the Exfoliated Graphite for Heating Energy Conserva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orea, Vol. 18, No. 6, pp. 650-655, 2011. 

  4. H. J. Seo, S. Kim, D. W. Son and S. B. Park, "Review on Enhancing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Building Materials using Carbon Nanomaterials", Journal of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orea, Vol. 20, No. 4, pp. 514-526, 2013. 

  5. H. J. Seo, M. R. Kang, J. E. Park and D. W. S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Useful Imported Woods", J. Korean Wood Sci. Technol., Vol. 44, No. 1, pp. 19-29, 2016. 

  6. L. A. Lowden and T. R Hull, "Flammability Behaviour of Wood and a Review of the Methods for Its Reduction", Fire Science Reviews, Vol. 2, No. 4, pp. 1-19, 2013. 

  7. H. Yang, R. Yan, H. Chen and H. S. Yang, "Thermal Properties of Bio-flour-Filed Polyolefin Composites with Different Compatibilizing Agent Type and Content", Thermochimica Acta, Vol. 451, No. 1-2, pp. 181-188, 2006. 

  8. M. Delichatsios, B. Paroz and A. Bhargava, "Flammability Properties for Charring Materials", Fire Safety Journal, Vol. 38, No. 3, pp. 219-228, 2003. 

  9. Y. J. Chung, "Comparis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the Pinus Regida, Castanea Sativa and Zelkoa Serr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3, No. 4, pp. 73-78, 2009. 

  10. Y. J. Chung, "Comparis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Native Wood Species used for Fire Pots in Korea",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 16, No. 1, pp. 15-19, 2010. 

  11. M. Gao, B. Ling, S. Yang and M. Zhao, "Flame Retardance of Wood Treated with Guanidine Compouns Characterized by Thermal Degradation Behavior",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Vol. 73, No. 1, pp. 151-156, 2005. 

  12. S. Liang, N. M. Neisius and S. Gaan, "Recent Developments i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ating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Vol. 76, No. 11, pp. 1642-1665, 2013. 

  13. T. Randoux, J. Vanovervelt, H. V. Bergen and G. Camino, "Halogen-free Flame Retardant Radiation Curable Coating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Vol. 45, No. 2-3, pp. 281-289, 2002. 

  14. B. Li, "Influence of Polymer Additives on Thermal Decomposition and Smoke Emission of Poly(Vinyl Chlorid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82, No. 3, pp. 467-476, 2003. 

  15. A. P. Mouritz, Z. Mathys and A. G. Gibson, "Heat Release of Polymer Composites in Fire", Compo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Vol. 37, No. 7, pp. 1040-1054, 2006. 

  16. J. I. Kim, J. Park, Y. T. Kong, B. H. Lee, H. J. Kim and J. K. Roh, "Performance on Flame-Retardant Polyurethane Coatings for Wood and Wood-based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0, No. 2, pp. 172-179, 2002. 

  17. H. J. Seo, S. Kim and D. W. Son, "The Evalu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the Wood-based bUilding Materials Applied to Carbon Materials", Journal of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orea, Vol. 21, No. 5, pp. 514-526, 2014. 

  18. H. J. Park, M. Wen, S. H. Cheon, J. Hwang and S. W. Oh,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Wood Treated with Flame Retardant Chemical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0, No. 5, pp. 311-318, 2012. 

  19. B. W. Shin and K. S. Chu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Thermal Properties for Wood Flour-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Vol. 26, No. 1, pp. 89-95, 2012. 

  20. J. Jiang, J. Li, J. Hu and D. Fan,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Flame Retardants on Thermal Degradation of Wood",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4, No. 12, pp. 2633-2637, 2010. 

  21. C. Branca and C. D. Blasi, "Semi-global Mechanisms for the Oxidation of Diammonium Phosphate Impregnated Wood",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Vol. 91, No. 1, pp. 97-104, 2011. 

  22. S. Liodakis, D. Vorisis and I. P. Agiovlasitis, "Testing the Retardancy Effect of Various Inorganic Chemicals on Smoldering Combustion of Pinus Halepensis Needles", Thermochimica Acta, Vol. 444, No. 2, pp. 157-165, 2006. 

  23. K. Ozkaya, A. C. Ilce, E. Burdurlu and S. Aslan, "The Effect of Potassium Carbonate, Borax and Wolmanit on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Oriented Strandboard (OSB)",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1, No. 7, pp. 1457-1462, 2007. 

  24. K. C. Tsai, "Orientation Effect on Cone Calorimeter Test Results to Assess Fire Hazard of Materia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172, No. 2-3, pp. 763-772, 2009. 

  25. J. Luche, T. Rogaume, F, Richard and E. Guillaume, "Characterization of Thermal Properties and Analysis of Combustion Behavior of PMMA in a Cone Calorimeter", Fire Safety Journal, Vol. 46, No. 7, pp. 451-461, 2011. 

  26. KS F ISO 5660-1, "Reaction to Fire Test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3. 

  27. J. Yang and C. Roy, "Using DTA to Quantitatively Determine Enthalpy Change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by the "Mass-Difference Baseline Method"", Thermochimica Acta, Vol. 333, No. 2-3, pp. 131-140, 1999. 

  28. KS F 2271,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Internal Finish Material and Element of Building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6. 

  29. A. D. Cavdar, "Effect of Various Wood Preservatives on Limiting Oxygen Index Levels of Fir Wood", Measurement, Vol. 50, pp. 279-284, 2014 

  30. A. D. Cavdar, F. Mengeloglub and K. Karakus, "Effect of Boric Acid and Borax on Mechanical, Fire and Thermal Properties of Wood Flour Fill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Measurement, Vol. 60, pp. 6-12, 2015. 

  31. J. A. Drysdale, "Boron Treatments for the Preservation of Wood - a Review of Efficacy Data for Fungi and Termites", IRG/WP 94-30037, 1994. 

  32. P. D. Evans, P. J. Beutel, C. F. Donnelly, and R. B. Cunningham, "Fire Resistance of Preservative Treated Fence Posts", IRG/WP 94-30033, 1994. 

  33. H. J. Seo, S. Kim, W. Huh, K. W. Park, D. R. Lee, D. W. Son, and Y. S. Kim, "Enhancing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of Wood-based Materials using Carbon-based Materials,"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Vol. 123, pp. 1935-1942, 2016. 

  34. G. Camino, "Fire Retardant Polymer Materials New Perspectives", Fire Safety Science-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SYMPOSIUM, pp. 101-110, 2005. 

  35. L. Zhou, Y. Jia, T. H. Nguyen, A. A. Adesina, and Z. Liu, "Hydropyrolysis cHaracteristics and Kinetics of Potassiumimpregnated Pine Wood", Fuel Processing Technology, Vol. 116, pp. 149-157, 2013. 

  36. Y. J. Park, H. P. Lee, and C. S. Baek, "A Study on the Emissions of $CO_2$ /non- $CO_2$ for the Crown Layer and Surface Layer of Pine Tre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0, No. 1, pp. 111-118, 2015. 

  37. H. J. Seo, J. K. Baek, and M. C. Lee,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Useful Imported Wood for Building Materials - Focusing on the North American species (Douglas-fir, Western Red cedar) and African species (Makore, Padauk, Bubing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2, No. 3, pp. 8-14, 2017. 

  38. H. J. Seo, W. Hwang, and M. C. Lee, "Fire Properties of Pinus densiflora Utilizing Fire-retardant Chemicals based on Borated and Phosphorus (I) - Combustion Characteristics", Bioresources, Vol. 12, No. 3, pp. 5417-542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