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abetic neuropathy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for 2 weeks. In this case report, we report the efficacy of a complex treatment comprising various Korean medicine methods by evaluating the differences in pain scores. The patient reported improvement in both pain score and glucose i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차신기환을 비롯한 한약과 침치료를 적용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하지 및 고환부통증과 혈당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주의 치료 기간 동안 통증 감소와 더불어 혈당도 함께 개선된 바 이를 통해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의 치료와 재발 방지에 있어서 한방치료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이에 대한 치료로 삼환계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고 통증 조절에 제한적임이 한계로 밝혀져 있다3. 이에 저자들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인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에게 한약 및 침치료를 시행하여 증상 호전과 더불어 혈당 개선 효과를 관찰한 바, 이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당뇨병은 그 자체로서의 문제보다 이후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중풍,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대혈관 합병증과 당뇨병성 안구병증, 신경병증, 신장병증으로 구분되는 소혈관 합병증이 있다. 이 중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통증으로 인한 불안, 우울, 신체 활동의 제한 등을 유발하여 삶의 질 저하와도 연결2된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치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 중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통증으로 인한 불안, 우울, 신체 활동의 제한 등을 유발하여 삶의 질 저하와도 연결2된다. 이에 대한 치료로 삼환계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고 통증 조절에 제한적임이 한계로 밝혀져 있다3. 이에 저자들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인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에게 한약 및 침치료를 시행하여 증상 호전과 더불어 혈당 개선 효과를 관찰한 바, 이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당뇨병을 특별히 주의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7%이며 약 25%는 당뇨병 전단계에 해당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뇨병은 그 자체로서의 문제보다 이후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중풍,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대혈관 합병증과 당뇨병성 안구병증, 신경병증, 신장병증으로 구분되는 소혈관 합병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Korean diabetes fact sheet 2015.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p. 1-28. 

  2. Benbow SJ, Wallymahmed ME, MacFarlane IA.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nd quality of life. QJM: monthl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1998;91(11):733-7. 

  3. Abuaisha BB, Costanzi JB, Boulton AJ.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ful peripheral diabetic neuropathy: a long-term study.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998;39(2):115-21. 

  4. Vinik A. Diabetic Sensory and Motor Neuropath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6;374:1455-64. 

  5. Said G. Diabetic neuropathy-a review. Nature Reviews. Neurology 2007 Jun 1;3(6):331-40. 

  6.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PDS 33). The lancet 1998 Sep 12;352(9131):837-53. 

  7. Holman RR, Paul SK, Bethel MA, Neil HA, Matthews DR. Long-term follow-up after tight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type 2 diabe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8 Oct 9;359(15):1565-76. 

  8. Ohkubo Y, Kishikawa H, Araki E, Miyata T, Isami S, Motoyoshi S, et al. Intensive insulin therapy prevents the progression of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in Japanese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prospective 6-year study.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995 May 1;28(2):103-17. 

  9. Ismail-Beigi F, Craven T, Banerji MA, Basile J, Calles J, Cohen RM, et al.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hyperglycaemia on micr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an analysis of the ACCORD randomised trial. The Lancet 2010;376(9739):419-30. 

  10.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2017;40(suppl 1):s1-132. 

  11. Park SK, Kim YK, Oh MS. Prescription Formulation. Seoul: Younglim publisher; 2010, p. 223-4. 

  12. Tawata M, Kurihara A, Nitta K, Iwase E, Gan N, Onaya T. The effects of goshajinkigan, a herbal medicine, on subjective symptoms and vibratory threshold in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y.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994;26(2):121-8. 

  13. Ushio S, Egashira N, Sada H, Kawashiri T, Shirahama M, Masuguchi K, Oishi R. Goshajinkigan reduces oxaliplatin-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without affecting anti-tumour efficacy in rodents.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12;48(9):1407-13. 

  14. Kaku H, Kumagai S, Onoue H, Takada A, Shoji T, Miura F, et al. Objective evaluation of the alleviating effects of Goshajinkigan on peripheral neuropathy induced by paclitaxel/carboplatin therapy: a multicenter collaborative study.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12;3(1):60-5. 

  15. Hu X, Sato J, Oshida Y, Xu M, Bajotto G, Sato Y. Effect of Gosha-jinki-gan (Chinese herbal medicine: Niu-Che-Sen-Qi-Wan) on insulin resistanc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3;59(2):103-11. 

  16. Uno T, Ohsawa I, Tokudome M, Sato Y. Effects of Goshajinkigan on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5;69(2):129-35. 

  17. Abuaisha BB, Costanzi JB, Boulton AJM.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ful peripheral diabetic neuropathy: a long-term study.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998;39(2):115-21. 

  18. Zhang C, Ye YA. Clinical effects of acupuncture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30(1):13-4. 

  19. Woo JM, Kang AR, Lee MR, Kim SB, Jung WS, Moon SK, et al. Case Report of Diabetic Neuropathy Treated with Palmijihwang-t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J Int Korean Med 2016;37(2):232-6. 

  20. Cho KH, Jung WS, Lee KJ. A case of Yukmijihwang-hwan’s effect on Diabetic neuropathy. J Int Korean Med 1999;20(1):286-90. 

  21. Kwon YK, Choi KR, Lee JS, Lee BC, Ahn YM, Ahn SY, et al. Two Cases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ogantang. J Korean Oriental Med 2002;23(1):170-6. 

  22. Park SK, Kwon EH, Shin HC, Kang SB. One Case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insosan-gamibang. J Int Korean Med 2005;26(4):935-40. 

  23. Park SW, Kim CJ, Cho CS. Effects of Nerve Regeneration by Bogijetong-tang Treatment on Peripheral Nerves Damaged by Taxol and Crush Injury.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3;34(4):384-404. 

  24. Callaghan BC, Little AA, Feldman EL, Hughes RA. Enhanced glucose contro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ic neuropathy.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Jun 13;(6):CD007543. 

  25. Park SH, Kwon EH, Shin HC, Kang SB. One Case of Diabetic Peripheral Polyneuropathy Improved by Binsosan-gamibang.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5;26(4):93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