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인들은 1분에 9회 빈도의 호흡을 하였는가? : "일만삼천오백식(一萬三千五白息)"에 대한 고찰
Do ancient people have 9 breaths per minute respiratory rate? 원문보기

大韓韓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v.21 no.1, 2017년, pp.1 - 12  

김기왕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ome major Chinese medical classics like Huangdineijing (黃帝內經) and Nanjing (難經) assert that a normal person breaths 13,500 times every day. It's just half of real breathing cycles of human. So I tried to find a reasonable explanation to solve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고에서는 『황제내경·영추·오십영』, 『난경·1 난』 등에 등장하는, 인간이 하루에 13,500회의 호흡을 한다는, 즉 1분에 약 9회의 호흡을 한다는, 실제와 맞지 않는 주장이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 왜 이 같은 차이가 발생한 것일까? 이 문제는 오늘날 한의 원전 해석에서 하나의 수수께끼로 여겨지고 있으나 아직 설득력 있게 답을 제시한 연구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등장한 이유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알려진 성인의 안정 시 호흡 횟수는 몇회인가? 375회, 즉 대략 9회의 호흡을 한다는 주장이 된다. 이는 현재 알려진 성인의 안정 시 호흡 횟수인 18회(평균2) 또는 16회(중위 수3에 크게 못 미치는 횟수다. 왜 이 같은 차이가 발생한 것일까? 이 문제는 오늘날 한의 원전 해석에서 하나의 수수께끼로 여겨지고 있으나 아직 설득력 있게 답을 제시한 연구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
13500회의 호흡이 천인상응관에 의해 연역된 결과라는 주장의 결함은 무엇인가? 이러한 주장에는 결함이 있다. 첫째, 영기가 1일 50회 신체를 순환한다는 고서의 기술이 자연계의 어떤 요소와 상응하는 것인지가 확실하지 않고, 둘째,영기의 주행 속도가 1호흡에 6촌의 비율이라는 것이 실측 결과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러한 속도는 천인상응관에 의해 가정되었다고 생각하기도 어렵다.
황제내경에서 표현한 인간의 하루 호흡량은 얼마인가? 『황제내경』에는 인간이 하루에 13,500회의 호흡을 한다는 표현1이 등장한다. 이것을 1분의 호흡 횟수로 환산해 보면 1분당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彭靜山. >初探. 遼寧中醫雜誌. 15(2):34-35 (1984) 

  2. 田永衍. 敦煌文獻 >. >考論三則. 敦煌學輯刊 36(3):58-62. (2015) 

  3. 李僖如, 和貴章. >淺識. 陝西中醫. 7(05):228-230 (1986) 

  4. 梁繁榮. >新探. 世界針灸學會聯合會成立?第一屆世界針灸學術大會論文摘要選編. 24 (1987) 

  5. 張永賢, 林昭庚, 李育臣. 針灸大師黃維三敎授學術特點探略. 臺北市中醫會刊 18(1):4-13. (2012) 

  6. 成都文物考古硏究所, 荊州文物保護中心. 成都市天回津老官山漢墓. 考古 59(7):59-70. (2014) 

  7. 李繼明, 任玉蘭, 王一童, 謝濤, 葉瑩. 老官山漢墓醫簡的種類和定名問題探討. 中華醫史雜誌 46(5):303-306. (2016) 

  8. 劉小梅, 李繼明. 老官山漢墓醫簡中脈診理論學術思想初探. 中醫藥文化 32(1):4-6. (2017) 

  9. 黃龍祥. 扁鵲醫籍辨佚與?接. 中華醫史雜誌 45(1):33-4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