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s and distributions of diseases in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of Korean medicine in 2012-2016 and compare the result with previous studies. Methods :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2012-2016년 한방안이비인후과 환자의 최근 동향 및 질환군의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과거의 연구 결과4,5)와 비교하여 인구학적 변화 및 질환 분포 양상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과질환의 발생 요인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인구가 점차 늘어가고 정보화시대를 맞아 질환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가 증가하였으며 건강검진을 받는 비율이 높아지고 의료기술 및 진단 기술이 발달하면서 안이비인후과 질환의 분포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근거리 작업의 증가,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당뇨 및 고혈압 등의 성인병 증가, 자외선 노출, 텔레비전 및 컴퓨터 사용시간 증가 등으로 인하여 안과질환의 발생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1).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증가는 삶의 질 저하와 의료 비용의 증가를 초래2)하는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복잡한 사회 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 산업 발달에 의한 소음 증가, 인구 노령화의 원인으로 이명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3).
이명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근거리 작업의 증가,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당뇨 및 고혈압 등의 성인병 증가, 자외선 노출, 텔레비전 및 컴퓨터 사용시간 증가 등으로 인하여 안과질환의 발생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1).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증가는 삶의 질 저하와 의료 비용의 증가를 초래2)하는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복잡한 사회 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 산업 발달에 의한 소음 증가, 인구 노령화의 원인으로 이명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3).
망막병증, 결막염, 녹내장 등의 질환이 진료를 보기 어려운 이유는? 이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증가한 질환은 망막병증이며 그 외에 결막염, 녹내장 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질환들은 전문적인 검사 장비의 활용및 결과 해석이 필요한 질환으로 단순히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환자의 호소만을 통하여 진료를 보기 어려운 질환이다. 이러한 변화를 고려해 볼 때 최근 질환 군의 변화로 인하여 양방 병원으로 안과 환자의 유입이 증가하고 한방병원으로의 안과 환자 유입이 감소 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hin SH, Kim JH, Kim MH, Yoon HJ, Ko WH. A Clinical Analysis of Ophthalmologic Diseas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6;19(3):171-9. 

  2. Park JH. Factors Influencing Allergy related Disease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 Content Assoc. 2006;16(3):596-606. 

  3. Kim HY, Choi YJ, Sung EJ, Jo EH, Kim HY, Park MC. A Clinical Study of Tinnitu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2):139-52. 

  4. Kim YB. A Statistics Study of Surgery,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0;13(1):280-90. 

  5. Cha JH, Kim YB, Nam HJ. The Statistical Analysis of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New Outpatient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7;20(3):169-80. 

  6. Jeong WY, Moon YK, Kang SH, Kim KS, Nam HJ, Kim YB. A Statistical Analysis of Outpatients in Dermatology of Korean Medicine at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in 2011-2015.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3):50-8. 

  7. Ahn HY. Clinical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nd ed. Seoul:Koon Ja Publishing Inc. 2008:7, 24-7. 

  8. Cho SH, Park YS, Yeo SW, Kim MS, Park YH, Park YJ, et al. Current Principles and Clinical Practice of Otolaryngology Head & Neck Surgery. 1st ed. Seoul:Koon Ja Publishing, Inc. 2011:616-7. 

  9.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Statistics of frequent diseases from Healthcare Bigdata Hub. 2017. Available from: URL: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htm 

  10. Um SB, Kim NH, Lee HK, Song JS, Kim HC. Spatial epidemiology of dry eye disease: findings from South Korea. Int J Health Geogr. 2014;13(31):1. 

  11. Yun CM, Kang SY, Kim HM, Song JS.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505-9. 

  12. Lee JJ, Sung JY, Lee SB. Prevalence of Dry Eye Syndrome and Association sith Life Behaviors in Adolesc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4):391. 

  13. Jang JU, Prak IJ. The Study of Prevalence Rate of Refractive Error among the Primary Students in Jeollanamdo.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3):311. 

  14. Yeom DJ, Oh HS, Yu HG, Song SJ. The Prevalence of Vitreoretinal Diseases in a Screened Korean Population 50 Years and Older.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1(11):1645-7. 

  15. Ye KH, Lee WS. A Study on the Macular Degeneration Prevalence according to Social Indicator and Predictive Value. Korean J Vis Sci. 2014;16(3):410. 

  16. Kim CG, Park YG, Park SM. Factors Associated with Senile Macular Degenaration in Elders within Communitie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24(1):1. 

  17. Heo EJ, Kim JH, Kang DH, Kwon K. The Statistical Analysis on Outpatients Who Had Visitied Chuncheon Oriental Medical Hospital With Otolaryngology and Respiratory Disease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0;23(3):202-15. 

  18. Baguley D, McFerran D, Hall D. Tinnitus. Lancet. 2013;382(9904):1600-7. 

  19. Kim CY, Jeong SW, Seo JY, Lee YJ, Park SC, Choi HS.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innitus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4. 

  20. Gilles A, Van Hal G, De Ridder D, Wouters K, Van de Hyning P. Epidemiology of Noise-Induced Tinnitus and the 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Noise and Hearing Protection in Adolescents. PLoS One. 2013;8(7):1-8. 

  21. Stew BT, Fishpool SJ, Williams 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Br J Hosp Med (Lond). 2012;73(2):86-9. 

  22. Von Brevern M.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Semin Neurol. 2013;33(3):204-11. 

  23. Jeong SH, Kim HJ, Kim JS. Vestibular neuritis. Semin Neurol. 2013;33(3):185-94. 

  24. Klein JO. Epidemiology of otitis media. Pediatr Infect Dis J. 1989;8(Suppl 1):S9. 

  25. Harmes KM, Blackwood RA, Burrows HL, Cooke JM, Harrison RV, Passamani PP. Otitis media: diagnosis and treatment. Am Fam Physician. 2013;88(7):435-40. 

  26. Hwang SH, Jung SY, Lim DH, Son BK, Kim JH, Yang JM, et al. Epidemiology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n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1(4):321-32. 

  27. Lee EH, Cha SH, Kim U. Socioeconomic Burden due to Allergic Disease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6:70. 

  28. Bousquet J, Schunemann HJ, Zuberbier T, Bachert C, Baena-Cagnani CE, Bousquet PJ,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guidelines in Allergic Rhinitis-an ARIAGALEN paper. Allergy. 2010;65:1212-21. 

  29. Hong SC, Ahn JY, Cho JH, Lim DJ, Park GH. Clinical Analysis of the Etiology of Korean Olfactory Disorder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8;51:720. 

  30. Hummel T. Perspectives in olfactory loss following viral infections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0;126(6):802-3. 

  31. Bae WY. Postviral Olfactory Disorder.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 53:672. 

  32. Wessels MR. Streptococcal pharyngitis. N Engl J Med. 2011;264(7):648-50. 

  33. Altman KW, Stephens RM, Lyttle CS, Weiss KB. Changing impact of gastroesophagel reflux in medical and otolaryngology practice. Laryngoscope. 2005;115:114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