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290 - 302  

고진경 (숭실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존감의 특정 영역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 자존감 평가 영역 척도, 공격성 질문지, 정서조절곤란 질문지가 사용되었고 총 287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구성요인별로 영향력을 검증하여 유의한 변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자존감의 특정 영역 중 사회적 및 객관적 능력과 긍정적 성품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고, 정서조절곤란 중 충동통제곤란, 명료성의 부족, 전략적 접근 제한이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정서조절곤란이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충동통제곤란은 긍정적 성품과 분노감을, 명료성 부족은 긍정적 성품과 적대감을 완전 매개하였고, 전략적 접근제한은 사회적 및 객관적 능력과 적대감을 부분 매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domains of self-esteem and aggression. Thre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287 individual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r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자존감을 단일요인이 아닌 특정영역으로 구분하여 특정 영역의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정서조절곤란이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미칠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을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 특정 영역의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존감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을 전반적 자존감 또는 자존감의 총합으로 평가하지 않고 특정 영역에 따른 만족도로 이해함으로써 전반적 자존감의 총합만으로는 구분되지 않았던 부분들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고, 전반적 자존감의 높고 낮은 수준에 따른 공격성의 양상과 매개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자존감의 특정 영역에 따른 공격성과의 관계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하고,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변인의 구성요인별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자존감의 구성요인이 4개, 정서조절곤란의 구성요인이 6 개, 공격성의 구성요인이 4개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많은 경로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먼저 독립 변수인 자존감의 구성요인이 종속변수인 공격성의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검증하여 유의한 변수를 도출하였다[표 3].
  • 그러나 전반적 자존감은 개인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삶의 영역에 따른 자존감의 측면을 반영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차원 간의 상쇄효과를 통제하여 자존감의 영역에 따른 공격성의 관계를 좀 더 분명하게 밝히고, 자존감 및 공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사회적인 부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공격성을 나타냄으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알려진 정서조절곤란이[10]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존감을 구성하는 두 가지 요인의 각 의미는 무엇인가? 이후 자존감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 자존감과 같은 단일요인이 아닌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존감은 크게 두 요인-가치감과 유능감-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12]. 가치감 요인은 사회적인 맥락에서 자신이 타인에게 얼마나 수용되는가를 경험한 것을 토대로 하며 자신이 얼마나 가치 있는 존재인지에 대한 지각을 의미하며, 유능감 요인은 현실에서의 다양한 과제를 스스로 완수할 수 있다는 자기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13]. 개인 자신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존재라는 경험과 삶의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능력이 있는 존재라는 경험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할 근거가 되며 자존감 형성의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14].
자존감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존감은 개인이 자신을 얼마나 가치 있다고 느끼는가를 나타내는 말로 개인의 주관적인 삶을 이해하고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자존감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자존감을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나타나는 태도라고 정의하였다[11].
공격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공격성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일부가 되어 온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 들어 공격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 문제가 크게 증가하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공격성은 타인에게 향할 경우 범죄와 폭력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고, 자신에게 향할 경우 자해나 자살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1]. 공격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가 자존감인데, 한동안 연구자들은 낮은 자존감이 공격성을 유발한다고 주장해 왔으나, 실제 경험적 연구 결과들은 이를 일관성 있게 지지하지 않았다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 Dumais, A. D. Lesage. M. Alda, G. Rouleau, M. Dumont, N. Chawky, M. Roy, J. J. Mann, C. Benkelfat, and G. Trecki, "Risk factors for suicide completion in major depression: A case-control study of impulsive and aggressive behaviors in me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2, No.11, pp.2116-2124, 2005. 

  2. R. F. Baumeister, L. Smart, and J. M. Boden,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Psychological Review, Vol.103, No.1, pp.5-33, 1996. 

  3. C. Salmivalli, "Feeing good about oneself, being bad to others? Remarks on self-esteem, hostility, and aggressive behavior,"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6, No.4, pp.375-393, 2001. 

  4. B. Bushman, R. Baumeister, S. Thomaes, E. Ryu, S. Begeer, and S. West, "Looking again, and harder, for a link between low self-esteem and aggression," J. of Personality, Vol.77, No.2, pp.427-446, 2009. 

  5. D. Muller, B. J. Bushman, B. Subra, and E. Ceaux, "Are people more aggressive when they are worse off or better off than others?,"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Vol.3, No.6, pp.754-759, 2012. 

  6. S. Konrath, B. J. Bushman, and W. K. Campbell, "Attenuating the link between threatened egotism and aggression," Psychological Science, Vol.17, No.11, pp.995-1001, 2006. 

  7. L. A. Kirkpatrick, C. E. Waugh, A. Valencia, and G. D. Webster, "The functional domain specificity of self-esteem and the differential prediction of aggression,"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2, No.5, pp.756-767, 2002. 

  8. 서수균, 권석만,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1권, 제4호, pp.809-826, 2002. 

  9. 김은희, 강승호,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 교정연구, 제47권, 제6호, pp.119-143, 2010. 

  10. A. Shield and D. Cicchetti,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The contribution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27, No.4, pp.381-395, 1998. 

  11.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2. C. Mruk, Self-esteem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Toward a positive psychology of self-esteem, Springer, 2006. 

  13. 김민정, "자존감 2요인 모델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5권, 제3호, pp.411-434, 2016. 

  14. 김순혜,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7권, 제4호, 2010. 

  15. J. Crocker, A. T. Brook, Y. Niiya, and M. Villacorta, "The pursuit of self-esteem: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self-regulation," J. of Personality, Vol.74, No.6, pp.1749-1771, 2006. 

  16. A. Bandura,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Printice-Hall, 1973. 

  17. L. Berkowitz,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McGraw-Hill, Inc, 1993. 

  18. 한영주, 하창순,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805-814, 2016. 

  19. A. H. Buss, and M. Perry,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No.3, pp.452-459, 1992. 

  20. N. R. Crick, and J. K. Grotpeter,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Vol.66, No.3, pp.710-722, 1995. 

  21. A. Frodi, J. Macauley, and P. R. Thome, "Are women always less aggressive than men?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Psychological Bulletin, Vol.84, No.4, pp.634-660, 1977. 

  22. 임지영, "여중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적 성향과 분열형 성격특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199-210, 2016. 

  23. R. Martin, D. Watson, and C. K. Wan, "A three-factor model of trait anger: dimensions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J. of Personality, Vol.68, No.5, pp.869-897, 2000. 

  24. J. J. Gross, "Emotion regulation: Taking stock and moving forward," Emotion, Vol.13, No.3, pp.359-365, 2013. 

  25. K. L. Gratz and L. Roemer,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26, No.1, pp.41-54, 2004. 

  26. T. Roberton, M. Daffern, and R. S. Buck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17, No.1, pp.72-82, 2012. 

  27. P. Velotti, J. Elison, and C. Garofalo, "Shame and aggression: Different trajectories and implication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19, No.4, pp.454-461, 2014. 

  28. J. P. Scott, D. DiLillo, R. C. Maldonado, and L. E. Watkins, "Negative urgenc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se: Associations with displaced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Vol.41, No.5, pp.502-512, 2015. 

  29. A. Fossati, E. Acquarini, J. A. Feeney, S. Borroni, F. Grazioli, and L. E. Giarolli, "Alexithymia and attachment insecurities in impulsive aggression,"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Vol.11, No.2, pp.165-182, 2009. 

  30. A. M. Cohn, M. Jakupcak, L. A. Seibert, T. B. Hildebrandt, and A. Zeichner, "The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men's restrictive emotionality and use of physical aggression," Psychology of Men and Masculinity, Vol.11, No.1, pp.53-64, 2010. 

  31. 이동귀, 양난미, 박현주, "한국형 자존감 평가영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2권, 제1호, pp.271-298, 2013. 

  32. 조용래, "정서조절곤란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6권, 제4호, pp.1015-1038, 2007.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Vol.51, No.6, pp.1173-1182, 1986. 

  34. T. N. Sullivan, S. W. Helms, W. Kliewer, and K. L. Goodman, "Associations between sadness and anger regulation coping, emotional expression, and physical and relational aggression among urban adolescents," Social Development, Vol.19, No.1, pp.30-51, 2010. 

  35. P. G. Nestor, "Mental disorder and violence: personality dimensions and clinical featur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9, No.12, pp.1973-197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