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of Knowledge about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410 - 422  

방윤이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COPD)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 세요인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질병관련 지식은 대상자의 교육과 월수입,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MRC), 흡입형 기관지 확장제, 항생제 치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병태도는 월수입, mMRC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삶의 질은 연령, 결혼상태, 월수입, 입원상태, 입원경험, 산소사용, 동반질환, mMRC, 흡입형 스테로이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관련 지식과 삶의 질(r=-.438, p<.001), 질병태도와 삶의 질(r=.279, p=.001)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요인에 공통적으로 상관성을 보인 변수인 월수입과 mMRC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임상에서 COPD환자의 상태평가시, 객관적 검사결과 뿐만 아니라 mMRC의 사정에 관심을 가지고, 저소득계층을 중심으로 질병관련 지식향상과 긍정적인 태도함량을 위한 다학제간 접근과, 헬스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related to disease(KRD),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QOL) in relation to th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KRD in 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한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질병의 완치보다는 관리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는 질병으로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수준정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를 대상으로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정도와 세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MRC)와 월수입은 질병지식, 질병태도, 삶의질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병관련 지식과 삶의 질, 질병태도와 삶의 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및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 규명을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하고 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를 대상으로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정도와 세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는?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를 대상으로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정도와 세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MRC)와 월수입은 질병지식, 질병태도, 삶의질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병관련 지식과 삶의 질, 질병태도와 삶의 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유해입자나 유해가스의 흡입을 통해 발병하며, 기관지 내 만성적인 염증과 호흡곤란, 기침, 객담이 나타나고 점차적으로 폐기능이 감소하는 질환이다[1]. 세계보건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2030년에는 심혈관 질환 및 뇌질환과 더불어 전 세계사망원인 3위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2][3].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환경적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질병의 완치를 기대하기 어려운 진행성 질환이므로 특히 질병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질병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문제, 위험요소 및 악화요소, 질병관련 지식수준과 질병에 대한 태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환경적 위험요인으로는 흡연, 직업, 심한 분진노출, 화학물질, 대기 오염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흡연이 가장 주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4]. 흡연자 중 10~26%에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발생하며, 처음 흡연하는 나이가 빠를수록, 흡연량이 많을수록 사망률도 증가한다고 하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R. A. Pauwels, A. S. Buist, P. M. Calverley, C. R. Jenkins, and S. S. Hurd,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HLBI/WHO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Workshop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Vol.163, No.5, pp.1256-1276, 2001. 

  2. http://www.who.int/respiratory/copd/en/ 

  3. E. S. Ford, J. B. Croft, D. M. Mannino, A. G. Wheaton, X. Zhang, and W. H. Giles, "COPD surveillance--United States, 1999-2011," Chest, Vol.144, No.1, pp.284-305, 2013. 

  4. R. Faner, N. Gonzalez, T. Cruz, S. G. Kalko, and A. Agusti,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to smoking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vidence of a gender effect," PLoS One, Vol.9, No.5, p.e97491, 2014. 

  5. R. E. Schane, L. C. Walter, A. Dinno, K. E. Covinsky, and P. G. Woodruf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in person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Gen Intern Med, Vol.23, No.11, pp.1757-1762, 2008. 

  6. R. P. Benzo, B. Abascal-Bolado, and M. M. Dulohery,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Patient Educ Couns, Vol.99, No.4, pp.617-623, 2016. 

  7. Y. Nagatani, K. Murata, M. Takahashi, N. Nitta, Y. Nakano, A. Sonoda, H. Otani, H. Okabe, and E. Ogawa, "A new quantitative index of lobar air trapping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ethods," Eur J Radiol, Vol.84, No.5, pp.963-974, 2015. 

  8. Y. S. Punekar, S. H. Landis, K. Wurst, and H. Le, "Characteristics, disease burden and costs of COPD patients in the two years following initiation of long-acting bronchodilators in UK primary care," Respir Res, Vol.16, p.141, 2015. 

  9. 남궁은하, "의료보장제도별 노인의료비 증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Vol.30, pp.519-556, 2010. 

  10. T. N. Bonten, M. J. Kasteleyn, C. Taube, and N. H. Chavannes, "The clinical management of COPD exacerbations: an update," Expert Rev Clin Pharmacol, Vol.9, No.2, pp.165-167, 2016. 

  11. P. Hernandez, M. Balter, J. Bourbeau, and R. Hodder, "Living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urvey of patients' knowledge and attitudes," Respir Med, Vol.103, No.7, pp.1004-1012, 2009. 

  12. 안민희, 최자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지식, 태도, 정확한 정량식 분무기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 성인간호학회지, Vol.24, No.2, pp.160-170, 2012. 

  13. T. Reema, R. Adepu, and T. Sabin, "Impact of clinical pharmacist intervention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 J Pharm Pharm Sci, Vol.2, No.4, pp.54-57, 2010. 

  14. A. C. Akinci, R. Pinar, and T. Demir, "The relation of the subjective dyspnoea perception with objective dyspnoea indicators,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capacity in patients with COPD," J Clin Nurs, Vol.22, No.7-8, pp.969-976, 2013. 

  15. R. H. Lehto and K. F. Stein, "Death anxiety: an analysis of an evolving concept," Res Theory Nurs Pract, Vol.23, No.1, pp.23-41, 2009. 

  16. S. Peruzza, G. Sergi, A. Vianello, C. Pisent, F. Tiozzo, A. Manzan, A. Coin, E. M. Inelmen, and G. Enzi,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elderly subjects: impact on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Respir Med, Vol.97, No.6, pp.612-617, 2003. 

  17.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 Res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18. R. White, P. Walker, S. Roberts, S. Kalisky, and P. White, "Bristol COPD Knowledge Questionnaire (BCKQ): testing what we teach patients about COPD," Chron Respir Dis, Vol.3, No.3, pp.123-131, 2006. 

  19. R. Kellner, "Hypochondriasis and somatization," Jama, Vol.258, No.19, pp.2718-2722, 1987. 

  20. 이인혜, "질병태도 척도의 요인구조: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Vol.9, No.1, pp.203-216, 2004. 

  21. P. W. Jones, F. H. Quirk, and C. M. Baveystock,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Respir Med, Vol.85, Suppl.B, pp.25-31, discussion 33-7, 1991. 

  22. 김영삼, 변민광, 정우영, 정재희, 최상봉, 강신명, 문지애, 한숙정, 남정모, 박무석, 김세규, "한국어판 세인트조지 호흡기설문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지, Vol.61, No.2, pp.121-128, 2006. 

  23. T. Hajiro, K. Nishimura, M. Tsukino, A. Ikeda, T. Oga, and T. Izumi, "A comparison of the level of dyspnea vs disease severity in indica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OPD," Chest, Vol.116, No.6, pp.1632-1637, 1999. 

  24. J. Y. Choi, H. I. Chung, and G. Han, "Patient outcomes according to COPD action plan adherence," J Clin Nurs, Vol.23, No.5-6, pp.883-891, 2014. 

  25. Q. Zhang, J. Liao, X. Liao, X. Wu, M. Wan, C. Wang, and Q. Ma, "Disease knowledge level is a noteworthy risk factor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cross-sectional study," BMC pulmonary medicine, Vol.14, No.1, p.92, 2014. 

  26. R. L. DiSantostefano, T. Sampson, H. V. Le, D. Hinds, K. J. Davis, and N. D. Bakerly, "Risk of pneumonia with inhaled corticosteroid versus long-acting bronchodilator regimen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new-user cohort study," PLoS One, Vol.9, No.5, p.e97149, 2014. 

  27. 이종경, 양영희, "폐쇄성 폐질환자의 흡입기 사용 정확성 정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6, No.1, pp.111-120, 2010. 

  28. G. S. Gaude, B. P. Rajesh, A. Chaudhury, and J. Hattiholi,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requiring hospitalization," Lung India, Vol.32, No.5, pp.465-472, 2015. 

  29. L. Dignani, A. Toccaceli, C. Lucertini, C. Petrucci, and L. Lancia,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OPD: A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Clin Nurs Res, Vol.25, No.4, pp.432-447, 2016. 

  30. 김은진, 박재형, 윤석진, 이승준, 차승익, 박재용, 정태훈, 김창호,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질병중증도 및 삶의 질을 비롯한 사회적 요인과 호흡곤란과의 관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지, Vol.60, No.4, pp.397-403, 2006. 

  31. C. Garvey, "Recent update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ostgrad Med, Vol.128, No.2, pp.231-238, 2016. 

  32. 송현주, 김균희, "60대 고령자의 노후 인식 유형별독립적 경제력 유무에 미치는 영향 요인," 노인복지연구, Vol.61, pp.383-403, 2013. 

  33. B. Huang, R. Willard-Grace, D. De Vore, J. Wolf, C. Chirinos, S. Tsao, D. Hessler, G. Su, and D. H. Thom, "Health coaching to improve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for low incom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lm Med, Vol.17, No.1, p.90, 2017. 

  34. K. L. Chou, I. Chi, and N. W. Chow, "Sources of income and depression in elderly Hong Kong Chines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strain," Aging Ment Health, Vol.8, No.3, pp.212-221, 2004. 

  35. 이흥자, 김현실, 정영미, "일 지역 재가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0, No.1, pp.12-22, 2009. 

  36. M. L. Moy, J. J. Reilly, A. L. Ries, Z. Mosenifar, R. M. Kaplan, R. Lew, and E. Garshick, "Multivariate models of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Rehabil Res Dev, Vol.46, No.5, pp.643-654, 2009. 

  37. K. Fitch, K. Iwasaki, B. Pyenson, C. Plauschinat, and J. Zhang, "Variation in adherence with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drug therapy guidelines: a retrospective actuarial claims data analysis," Curr Med Res Opin, Vol.27, No.7, pp.1425-1429, 2011. 

  38.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Vol.32, No.1, pp.289-303, 2012. 

  39. 김민희, 이주일,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pp.100-113, 2017. 

  40. 김제선, 한연주, "초고령사회 진입 지방자치단체 노인의 의료비부담과 가구 유형의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pp.610-621, 2017. 

  41. 이해정, 임연정, 정희영, 박혜경,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수면장애, 신체활동 및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노년학, Vol.31, No.3, pp.607-621, 2011. 

  42. 강경숙, 나순옥, 유영법, 신준호,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기초한 만성 폐쇄성폐질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질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6, No.2, pp.61-68, 2015. 

  43. S. K. Park and J. L. Larson, "Symptom cluster, healthcare us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Clin Nurs, Vol.23, No.17-18, pp.2658-2671, 2014. 

  44. P. M. Calverley, J. A. Anderson, B. Celli, G. T. Ferguson, C. Jenkins, P. W. Jones, J. C. Yates, J. Vestbo, and TORCH investigators, "Salmeterol and fluticasone propionate and survival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Vol.356, No.8, pp.775-789, 2007. 

  45. M. B. Drummond, E. C. Dasenbrook, M. W. Pitz, D. J. Murphy, and E. Fan, "Inhaled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Vol.300, No.20, pp.2407-2416, 2008. 

  46. P. Ernst, A. V. Gonzalez, P. Brassard, and S. Suissa, "Inhaled corticosteroid us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 risk of hospitalization for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Vol.176, No.2, pp.162-166, 2007. 

  47. E. O. Efraimsson, C. Hillervik, and A. Ehrenberg, "Effects of COPD self-care management education at a nurse-led primary health care clinic," Scand J Caring Sci, Vol.22, No.2, pp.178-185, 2008. 

  48. F. Gallefoss, "The effects of patient education in COPD in a 1-year follow-up randomised, controlled trial," Patient Educ Couns, Vol.52, No.3, pp.259-26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