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간의 특성 및 이질적 이미지 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Disparate Image of Urban Space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7 no.6, 2017년, pp.1077 - 1085  

홍지수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공간은 거주민들의 행동과 체험, 생활방식 등을 나타내는 장소이며, 지역적 속성과 자산과의 조화에 의해 그 도시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이미지가 반영된 공간을 창출한다. 따라서 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각 공간이 가진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그 공간만이 가진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 가진 이질성의 측면에 착안하여 도시공간별 특성을 밝혀내고,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산시의 14가지 유형의 도시공간의 이미지 특성은 공간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크게 자연성-인위성, 동적공간-정적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의 선호군집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자연성, 개방성, 완만한 경사의 비교적 정적인 공간에서 긍정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space is a place that shows the behavior, experience and lifestyle of residents. Also by the combination of local attributes and assets, creating a space that reflects the unique image of the c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ity, it is important to actively reflect the identity of the spac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 특성을 밝혀내기 위해 도시공간을 총 14가지로 분류하여 심리적 요인에 대한 요인분석과 다차원척도(MDS)를 이용하여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SD분석 및 요인분석에 의해 각 공간별 이미지 특성을 도출할 수 있으며, 다차원척도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공간의 이질성을 검토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 가진 이질성의 측면에 착안하여 도시공간의 특성을 밝혀내고, 각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도시공간의 이질적 이미지 특성을 고려한 도시브랜딩 전략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공간들은 지형·지리적 여건에 있어 개별성을 바탕으로 하는 이질적 공간임을 전제하여, 각 도시공간이 가지는 이미지 특성을 밝혀내고,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요인을 파악하였다.
  •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질성 분석에 있어 도시의 지형·지리적 여건이라는 개념을 도시공간의 분류 기준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간의 특징은 무엇인가? 도시공간은 거주민들의 행동과 체험, 생활방식 등을 나타내는 장소이며, 지역적 속성과 자산과의 조화에 의해 그 도시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이미지가 반영된 공간을 창출한다. 따라서 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각 공간이 가진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그 공간만이 가진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가? 도시공간은 거주민들의 행동과 체험, 생활방식 등을 나타내는 장소이며, 지역적 속성과 자산과의 조화에 의해 그 도시만의 고유하고 독특한 이미지가 반영된 공간을 창출한다. 따라서 도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각 공간이 가진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그 공간만이 가진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 가진 이질성의 측면에 착안하여 도시공간별 특성을 밝혀내고, 공간의 이질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시공간의 이미지 특성에 대한 정성적연구는 어떤 연구가 주를 이루었는가? 우선 정성적 연구로는 케빈 린치 이론을 토대로 시민들의 설문조사 및 인지지도 작성 등을 통해 도시공간의 인지방식에 따른 유형화,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Park (2008)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도심 내 특정 문화공간 속에서 인식되는 경관의 이미지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경관이미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usan Metropolitan City (2017). Available at: www.busan.go.kr 

  2. Busan Port Authority (2017). Available at: www.busanpa.com 

  3. Byeon, J. S. (2005). A landmark model to improve urban landscape and imag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4. Do, N. Y. (2014).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landscape cognition in incheon and their effect on the city image : Focused on visitors."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 27, No. 2, pp. 147-165 (in Korean). 

  5. Hong, J. S. (2014). Analysis of the city image by derived ingredients and components of the legibility, Maste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Korean). 

  6. Joo, J. W. (1984). Urban planning and design, Hyungsul Publishing. 

  7. Joo, S. H. (2003).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s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1, No. 1, pp. 1-10 (in Korean). 

  8. Kim, C. L. (2003). "SAS&MDS conjoint analysis." Jayu Academy. 

  9. Kim, G. H. (2016).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mage for establishing the city identity : Focused on the case in Seoul,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in Korean). 

  10. Kim, J. G. (2000). "A evaluation of streetscape by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5, No. 3, pp. 141-151 (in Korean). 

  11. Kwon, J. G. (2012). "Empirical study on effective factor of city brand identity formation by city image type."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ol. 10, No. 4, pp. 15-26 (in Korean). 

  12. Kwon, Y. K. (2013). The formation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ense of place on urban streets : research on insa-dong and daehak-ro within the framework of mixed-method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3. Lee, S. B. (2016). A semiotic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meaning and the emotion of landscape image: Focus on the case of slow city joan,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4. Lee, S. M. (2011). A study on establishing the evaluative model of cityscape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planning,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5. Lim, S. B. (2003).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233-247 (in Korean). 

  16. Michel, F. and Lee, S. G. (Ver.) (2015). Heterotopia, Moonji Publishing, pp. 18-19. 

  17. Park, J. J. (2012). "Geovisualization of city image - 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representative image components of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Vol. 13, No. 1, pp. 167-180. 

  18. Park, S. H. (2008). A study of landscape image analysis about cultural space in civic center, Seoul, Doctoral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