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 상징물과 도시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Image of the Landmarks in Daeje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10년, pp.53 - 63  

변재상 (신구대학 환경조경과) ,  김대수 (혜천대학 도시환경조경과) ,  이정수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미래 모습을 결정하는 도시경관계획의 단계에서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행과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다차원척도법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전시 이미지는 주로 역사성, 역동성, 규모성 등에 의해 평가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대전시는 전체적으로 새롭고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한 도시로 인식되었으며, 공무원들에게는 소박한 느낌의 도시, 전문가들에게는 평범한 느낌의 도시로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소박하고 평범한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는 대전시 정체성과 개성을 찾는데 보다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2. 대전시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상징물 혹은 상징적인 공간으로는 갑천이나 둔산 신도심, 대덕연구단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유성온천과 원도심, 엑스포 공원 등은 대전시와 이미지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대전시의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낙후된 시설과 상징물들의 현대적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3. 도시 이미지의 선호도를 알 수 있는 ‘좋은-싫은’의 형용사 이미지의 경우, 일반인과 전문가들에게 있어서는 모두 싫어하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었으나, 공무원들은 좋아하는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세 집단 모두 좋아하는 둔산 신도심이나 대덕연구단지 등과 같은 현대적 첨단산업의 이미지를 투영시킬 필요가 있다. 4.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이미지 분포도에서 대전시는 행정도시와 수평적 도시의 특성이 강한 도시로 분류되었다. 기존의 단순한 도시 이미지 분석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비교적 명확한 진단을 통해, 도시의 미래상 및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constitutes a very important preliminary step to analyze how city image is asses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towards a desirable city image in planning on an urban landscape for future city image.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a city image on the par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하는지를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기존 연구와 달리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함께 파악하여 비교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현재 각종 경관 관련 계획의 수립이 일반인의 의식조사를 통한 이미지 조사를 반영하게 되어 있으나, 계획을 주도하는 전문가 집단과 행정주체가 되는 공무원들의 경관이나 지역의 이미지 등에 대한의식이 다소 상충되는 경우도 있는 실정이어서, 세 집단의 의식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아야 할 실제적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디.
  •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우수한 도시 이미지는 시민 전체의 만족감 향상예 기여하는 바가 있으므로 보다 많은 시민들에게 자부심을 줄 수, 있는 정확한 이미지 분석 및 그에 따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이들의 속성에 대한 합리적인 결과의 도출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 평가되고 있는기를 토대로.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는 기존 대전시의 모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바람직한 미래상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2001), 즉. 범주형 자료에 포함된 수치 정보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해. 명목척도에서 측정된 범주형 변수의 대응 관계를 이미지 분포도로 묘사하는 것이다(성웅현.
  • 본 연구는 대전의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 기를 토대로,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된 설문에 기초한다. 설문은 경관의 형성과 관리의 주체가 되는 시민 행정집행자인 관계 공무원 전문가로 구성된 3개 집단을 대상으로.
  • 이들의 속성에 대한 합리적인 결과의 도출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 본 연구는 이러한 계획 단계에서 대전의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기를 토대로.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 잎서 대전시의 상징물을 조사하기 위한 개방형 질문이 진행되었다”. 2(X)9년 2월 2일부터 27일까지 대전 시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철도역과 버스터미널과 같이.
  • 공간상에 도식하는 것이다(박굉베L 2000). 개채간의 유사성 평정자료를 평면, 상에 도시하고, 이러한 유사성 분포가 어떤 개체간의 속성에 기인한 것인지를 밝혀내는 것이다. 그러나.

가설 설정

  • 1. 대전시의 이미지를 판단하는데 기여하는 형용사 이미지로는 '오래된*새로운';. '정체된*변화하는'.
  • 2. 대전시는 전체적으로 새롭고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한 도시이며. 이에 더하여 농무원늘에게는 소박한 느낌의 도시, 전문가들에게는 평범한 느낌의 도시로 인식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경남발전연구원(2007) 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경남과 수도권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남: 경남발전연구원. 

  2. 김종호, 변재상, 임승빈(2002)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 한국조경학회지 30(4): 9-18. 

  3. 대전광역시(2003) 대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대전: 대전시청. 

  4. 매경이코노미(2009) 삼성전자가 앙드레김 냉장고 파는 까닭. 2009년 9월 16일자. 

  5. 박광배(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6.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4): 29-40. 

  7.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변재상(2006) 도시 경관 이미지 분석에서 다차원척도법의 적용. (사)한국조경학회 경관계획연구회 제8차 정기 세미나 자료집 "행정중심복합도시. 활력있는 경관도시". 

  9. 변재상(2008a)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 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83-99. 

  10. 변재상(2008b)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2): 80-98. 

  11. 변재상(2009) 국내 도시 이미지 및 브랜드 슬로건의 경향 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6): 105-121. 

  12.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2007a) 초고층 랜드마크의 인지거리 및 인지 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90-104. 

  13. 변재상, 조예지, 최형석, 김송이, 임승빈(2007b) 도시 마케팅을 위한 도시 이미지 관리방안 연구: 도시 이미지 관리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정량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4): 81-89. 

  14.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c)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15.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d)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과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63-177. 

  16.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3): 7-20. 

  1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이미지에 관한 다차원 분석 연구. 2005년 8월 공개토론회 자료집. 

  18. 성웅현(2000) 응용 다변량분석. 서울: 도서출판 탐진. 

  19. 손은영, 김종하(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659-662. 

  20. 안민호, 박천일(2006) 다차원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미지 비교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7(4): 95-113. 

  21. 원태연, 정성원(1999) 한글 SPSS 통계조사분석. 서울: 고려정보산업(주). 

  22. 윤장우, 박춘근(2001) 도시 이마지 형태유형요소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경관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3): 147-156. 

  23. 이우상, 정재용(2005) 'Kevin Lynch'의 대학 캠퍼스 주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신촌.연세대학교 주변 가로환경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5-61. 

  24.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파주: 집문당. 

  25.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5-18. 

  26.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27.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18-30. 

  28.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과천, 약수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30. 홍두승(2001)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31. Appleyard, D.(1976) Planning a Pluralist City. MA: The MIT Press. 

  32. Appleyard, D., K. Lynch and J. R. Myer(1964) The View from the Road. MA: MIT Press. 

  33. Carr, S.(1967) The city of tile mind. In W. R. Ewald, eds., Environment for Man. IN: Indiana University Pres. pp. 197-226. 

  34.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 The MIT Press. 

  35.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 

  36. Noberg-Schulz, C. (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NY: Praeger Publication Company. 

  37. Pocock, D. and R. Hudson(1978) Images of the Urban Environment.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38. Stamps III, A. E.(2000) Psychology and the Aesthetics of the Built Environment.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39. Stea, D.(1969) The measurement of mental maps: an experimental model for studying conceptual spaces. In K. R. Cox and R. G. Golledge. eds., Behavioral Problems in Geography: a Symposium. Ecanston III: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40. Steinitz, C.(1968) Meaning and the congruence of urban form and activity.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4(4): 233-2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