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공무원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 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of Public Officials Using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239 - 251  

강정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일부 공무원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과 HBM을 구성하는 인자(생활습관병에 대한 취약성, 중대성, 건강행동의 유효성, 장벽, 가족력,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정부 공공기관의 행정공무원 729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점수는 생활습관병에 대한 취약성, 건강행동의 유효성 및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의 장벽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생활습관병의 취약성 및 중대성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다음으로 생활습관병의 가족력 및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 건강행동의 유효성 및 장벽, 수단적 지원 및 정서적 지원의 순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HBM을 구성하는 각 인자(생활습관병의 취약성 및 중대성, 건강행동의 유효성 및 장벽, 생활습관병의 가족력 및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 수단적 지원 및 정서적 지원)는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을 실천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앞으로 생활습관병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지도를 위해서는 대상자 개개인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 실천에 관련된 요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among some public officials. The study subjects were 729 administrative officers of the general public office of the government in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self-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공무원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과 HBM을 구성하는 인자(생활습관병의 취약성 및 중대성, 건강행동의 유효성 및 장벽, 생활습관병의 가족력,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와의 관련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HBM의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건강행동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공무원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과 HBM을 구성하는 인자(생활습관병의 취약성 및 중대성, 건강행동의 유효성 및 장벽, 생활습관병의 가족력,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정부 공공기관의 행정공무원 729명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일부 공무원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행동 특성을 이해할 목적으로 건강믿음모형(Health Belief Model: HBM)[3]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생활습관병의 취약성, 중대성, 건강행동의 유효성, 건강행동의 장벽, 생활습관병의 가족력, 매스컴으로부터의 정보,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에 대한 건강행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을 나타내는 문항들의 내적 신뢰도를 의미하는 Cronbach's α 값은 0.

가설 설정

  • 생활습관병에 대한 HBM의 기본적 인식은 4가지 인자로 구분하였다[20]. 첫째, 「생활습관병이 될 가능성에 대한 인식(perceived vulnerability)(이하 생활습관병의 취약성)」에 대해서는 「당신은 장래 고혈압이 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당신은 장래 뇌졸중으로 쓰러진다고 생각하십니까?」, 「당신은 장래 암이 발생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의 3가지 질문에 대한 응답형식은 「생각한다, 4점」, 「어느 정도 생각한다, 3점」, 「모르겠다, 2점」, 「그다지 생각하지 않는다, 1점」, 「생각하지 않는다, 0점」의 5단계로 구성하여 그 합계득점을 생활습관병에 대한 취약성의 지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습관병의 취약성에 대한 내적 신뢰도를 의미하는 Cronbach's α 값은 0.
  • 생활습관병에 대한 HBM의 기본적 인식은 4가지 인자로 구분하였다[20]. 첫째, 「생활습관병이 될 가능성에 대한 인식(perceived vulnerability)(이하 생활습관병의 취약성)」에 대해서는 「당신은 장래 고혈압이 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당신은 장래 뇌졸중으로 쓰러진다고 생각하십니까?」, 「당신은 장래 암이 발생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의 3가지 질문에 대한 응답형식은 「생각한다, 4점」, 「어느 정도 생각한다, 3점」, 「모르겠다, 2점」, 「그다지 생각하지 않는다, 1점」, 「생각하지 않는다, 0점」의 5단계로 구성하여 그 합계득점을 생활습관병에 대한 취약성의 지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생활습관병의 취약성에 대한 내적 신뢰도를 의미하는 Cronbach's α 값은 0.
  • 둘째, 「생활습관병의 중대성에 관한 인식(perceived seriousness)(이하 생활습관병의 중대성)」에 대해서는 「암이라고 한다면 이제 살아날 수 없다고 생각하십니까?」라고 하는 질문에 대한 응답형식은 「생각한다, 4점」, 「어느 정도 생각한다, 3점」, 「모르겠다, 2점」, 「그다지 생각하지 않는다, 1점」, 「생각하지 않는다, 0점」의 5단계로 구성하여 그 합계득점을 성인병에 대한 중대성의 지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습관병이란? 생활습관병(life-style related diseases)은 식습관, 운동습관, 휴식,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이 질병의 발병이나 진행에 관여하는 질환 군으로 정의되고 있다[1]. 생활습관병이라는 개념은 질병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와 같은 2차 예방에 중점을 둔 이전의 성인병 대책에 더하여, 생활습관의 개선을 목표로 한 1차 예방, 즉 건강증진과 질병발생 예방대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도입된 새로운 질병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에 HBM의 이론에 적절한 사람은? 생활습관병에 대한 건강행동에 HBM의 이론을 적용하려면, 첫째 생활습관병에 걸리기 쉽다는 생각, 둘째, 생활습관병에 걸렸을 때 심각성이 높다는 생각, 셋째, 생활습관병의 검진에는 효과 있다는 생각, 넷째, 생활습관병 검진에는 장애가 적지 않다는 생각, 다섯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사람일수록 일정기간 내에 생활습관병 검진을 받는 빈도가 높을 것이라는 것이 기대된다.
특정 건강행동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되면 그 행위를 한다는 주장의 근거는? HBM에서 제시하는 구성요소는 첫째,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느냐를 생각한다는 것(Perceived susceptibility), 둘째, 건강을 위한 행위를 하지 않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의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주관적으로 판단한다는 것(Perceived severity), 셋째, 개인은 특정 건강행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가능한 효과를 인식한다는 것(Perceived benefit), 넷째,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을 실행하는데 있어서의 필요한 물리적, 재정적 및 심리적인 방해요소, 즉 장애요인을 인식한다는 것(Perceived barrier)으로 이 4가지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예방적 건강행동이 규정된다. 즉 이 4가지 요인을 비교한 결과 특정 건강행동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되면 그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ap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c Health Committee. Basic Direction of Disease Countermeasures Concerning Lifestyle Habits, Creation of opinions on public health deliberation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December 18, 1996. 

  2.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 Monogr 2, pp. 328-335, 1974. DOI: https://doi.org/10.1177/109019817400200405 

  3. Becker MH, Maiman LA. Sociobehavioral determinants of compliance with health and medical care recommendations. Medical Care 13, pp. 10-24, 1975. DOI: https://doi.org/10.1097/00005650-197501000-00002 

  4. Janz NK, Becker MH.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 Q, vol. 11, pp. 1-47, 1984. DOI: https://doi.org/10.1177/109019818401100101 

  5. Becker MH, Marshall H.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 San Fransisco: Society for Public Health Education Inc, 1974. 

  6. Simon KJ, Das A. An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ward educational diagnosis for VD education. Health Educ Q, pp. 403-418, 1984. DOI: https://doi.org/10.1177/109019818401100402 

  7. Gochman DS. Health behavior: emerging research perspectives. Plenum Press, 1988. DOI: https://doi.org/10.1007/978-1-4899-0833-9_1 

  8. Brown IK, Diclemente RJ, Reynolds LA. HIV prevention for adolescents: Utility of the health belief model. AIDS Educ Prev, pp. 50-59, 1991. 

  9. Gabe J. Health, medicine and risk: sociological approaches. Blackwell Publisher, pp. 1-18, 1995. 

  10. Calnan M, Rutter DR. Do health beliefs predict health behavior? An analysis of brest self-examination. Soc Sci Med 22, pp. 673-678, 1986.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86)90039-0 

  11. Champion VI. The relationship of brest self-examination to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Res Nurs Health 10, pp. 375-382, 1987. DOI: https://doi.org/10.1002/nur.4770100605 

  12. Gray ME. Factors related to practice of brest self-examination in rural women. Cancer Nurs 13, pp. 100-107, 1990. DOI: https://doi.org/10.1097/00002820-199004000-00005 

  13. Shepperd SL, Solomon LJ, Atkins E, Foster RS, Frankowski B. Determinants of brest self-examination among women of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 J Behav Med 13, pp. 359-371, 1990. DOI: https://doi.org/10.1007/BF00844884 

  14. Wyper MA. Brest self-examination and the health belief model: Variations on a Theme. Res Nurs Health 13, pp. 421-428, 1990. DOI: https://doi.org/10.1002/nur.4770130610 

  15. King JB. The impact of parents' perception of high blood pressure on attendance at screening. An extens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Soc Sci Med 16, pp. 1079-1091, 1982.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82)90184-8 

  16. Kato I, Tominaga S.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f stomach cancer screening test, Japanese J Public Health vol. 33, no. 12, pp. 749-753, 1986. 

  17. Fukao A, Hisamichi S, Komatsu S, Shimizu H, Satoh H, Nakatsuka H, et al,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frequent participants in screening program for stomach cancer. Tohoku J Exp Med 166, pp. 459-469, 1992. DOI: https://doi.org/10.1620/tjem.166.459 

  18. Okamoto Naoki, et al. Cancer examination and lifestyle. Cancer Clinic 37, pp. 287-291, 1991. 

  19. Faul F, Erdfelder E, Lang AG et a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science. Behav Res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DOI: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0. Tohnai S, Hata E.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of the people aged forties - A test of the health belief model-. Japanese J Public Health vol. 41, no. 4, pp. 362-369, 1994. 

  21. Munakata K. Health and Disease in Behavioral Science. Medical Friend Co, Japan, Tokyo, pp. 99-144, 1987. 

  22. Langlie Jk. Social network,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J Health Soc Behav 18, pp. 244-260, 1977. DOI: https://doi.org/10.2307/2136352 

  23. Rosenstock IM, Strecher VJ, Becker MH. Social lea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 Q 4, pp. 349-352, 1988. 

  24. Bond GG, Aiken LS, Somervile SC. The health belief model and adolescents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Health Psychol vol. 11, pp. 190-198, 1992. DOI: https://doi.org/10.1037/0278-6133.11.3.190 

  25. Aaronson LS. Perceived and received support: effects on health behavior during pregnancy, Nurs Res, vol. 38, pp. 4-9, 1989.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8901000-00002 

  26. Maiman LA, Becker MH, Kirscht JP, Haefner DP, Drachman RH. Scales for measuring health belief model dimensions: a test of predictive valu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ationship among beliefs, Health Educ Monogr 5, pp. 215-230, 1977. DOI: https://doi.org/10.1177/109019817700500303 

  27. Treiber FA. Social support for exercise: relationship to physical activity in young adults. Prev Med 20, pp. 737-750, 1991. DOI: https://doi.org/10.1016/0091-7435(91)90068-F 

  28. Tsubono Y, Fukao A, Hismichi S, Sugawara N, Hosokawa T. Health belief model and attendance at screenings for gastric cancer in a population in Miyagi, Japan. Japanese J Public Health, vol. 40, no. 4, pp. 255-264, 1993. 

  29. Antonovsky A. Health, stress and coping, Jossey-Bass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