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6 no.2, 2011년, pp.87 - 100  

김희숙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  배상수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relapse.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recruited among subjects who were enrolled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and had succeeded in quitting smoking for at least six months. A total of 159 male su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퇴록 1년 후의 금연여부를 확인하고, 건강신념모형을 이용하여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 후 6개월간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1년 후 시점에서의 재흡연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으로, 연구 자료는 이들이 금연클리닉에 등록했을 때 작성한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의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무엇이 있는가?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연클리닉은 어떤 사업이고 여기서 제공하는 것은 무엇인가? 정부는 흡연에 의한 사회적 피해를 감소하기 위해 다양한 금연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중 금연클리닉은 2005년 3월부터 전국 보건소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부의 대표적인 금연사업으로서 금연상담(행동요법)과 니코틴 대체요법(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및 약물요법을 흡연자의 특성에 맞게 제공한다. 금연클리닉 등록자에게는 3회의 직접 상담을 제공하고 그 후에는 전화, 이메일, 상담사 방문 등을 통해 6개월까지 금연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Seoul, Moonyoungsa, 2010, pp.661-667 (Korean) 

  2. Hughes JR, Keely J, Naud S. Shape of the relapse curve and long-term abstinence among untreated smokers. Addiction 2004;99:29-38 

  3. Herd N, Borland R. The Natural History of Quitting Smoking: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ITC) Four Country Project. Addiction 2009;104:2075-2087 

  4. Fiore MC, Bailey WC, Cohen SJ, et al. Treating tobacco use and depend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2000, pp9-10 

  5. Ferguson J, Bauld L, Chesterman J, Judge K. The English smoking treatment services: one-year outcomes. Addiction 2005;100 Suppl 2:59-69 

  6. Coleman T, Agboola S, Leonardi-Bee J, Taylor M, McEwen A, McNeill A. Relapse prevention in UK Stop Smoking Services: current practice, systematic reviews of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Health Technol Assess 2010;14(49):1-152 

  7. Ben-Noun L. The capability to resist smoking relapse. Public Health Rev 1998;26(4):331-342 

  8. Matheny KB, Weatherman K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nd maintenance. J Clin Psychol 1998;54(2):223-235 

  9. Van Zundert RM, Nijhof LM, Engels RC. Testing Social Cognitive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predict smoking relapse among daily smoking adolescents. Addict Behav 2009;34(3):281-286 

  10. Zhou X, Nonnemaker J, Sherrill B, Gilsenan AW, Coste F, West R. Attempts to quit smoking and relaps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r failure from the ATTEMPT cohort study. Addict Behav 2009;34(4):365-373 

  11. Daughton DM, Roberts D, Patil KD, Rennard SI. Smoking cessation in the workplace: evaluation of relapse factors. Prev Med 1990;19(2):227-230 

  12. Chassin L, Presson CC, Sherman SJ, Kim K. Long-term psychological sequelae of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Health Psychol 2002;21(5):438-443 

  13. Son JH, Kim SA, Kam S, Yeh MH, Park KS, Oh HS,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a worksite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J Prev Med 1999:32(3):297-305 (Korean) 

  14. Son HK, Jung UY, Park KS, Kam S, Park SK, Lee WK. The factors implicated when an individual starts to smoke again after a 6 month cessation. Korean J Prev Med 2009;42(1):42-48 (Korean) 

  15. Yang JH, Ha HS, Kam S, Lim JS, Kang YS, Lee DH, Chun BY. Factors affecting re-smoking in male workers. Korean J Prev Med 2005:38(2):208-214 (Korean) 

  16. Augustson EM, Wanke KL, Rogers S, Bergen AW, Chatterjee N, Synder K, Albanes D, Taylor PR, Caporaso NE. Predictors of sustained smoking cessation: a prospective analysis of chronic smokers from the alpha-tocopherol Beta-carotene cancer prevention study. Am J Public Health 2008;98(3):549-555 

  17. Yates AJ, Thain J.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relapse following voluntary cessation of smoking. Addict Behav 1985;10(3):291-298 

  18. Garvey AJ, Bliss RE, Hitchcock JL, Heinold JW, Rosner B. Predictors of smoking relapse among self-quitters: a report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Addict Behav 1992;17(4):367-377 

  19. Macy JT, Seo DC, Chassin L, Presson CC, Sherman SJ. Prospective predictors of long-term abstinence versus relapse among smokers who quit as young adults. Am J Public Health 2007;97(8):1470-1475. 

  20. Gwaltney CJ, Metrik J, Kahler CW, Shiffman S. Self-efficacy and smoking cessation: a meta-analysis. Psychol Addict Behav 2009;23(1):56-66 

  21. Lee JS, Kang SM, Kim HJ, Lee KY, Cho BY, Goh YR, Long-term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 and Related Factors of Relapse, Korean J Fam Med 2009;30(3):203-209 (Korean) 

  22. Choi HS. Factors related to failure of smoking cessation sustain among quit smoking success for 6 months in quit smoking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2010 (Korean) 

  23. Heatherton TF, Kozlowski LT, Frecker RC, Fagerstrom KO.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 J Addict 1991;86(9):1119-1127 

  24. DiClemente, CC, Prochaska, JO, Gibertini, M.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self-change of smok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85;9(2):181-200 

  25. Kim BJ,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military officers.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00 (Korean) 

  26. Kim CH, Seo H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Korean J Fam Med 2001;22(11):1603-1611 (Korean) 

  27. Lee JW.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of smoking in adult male korean.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occupational health, The catholic university, 2002 (Korean) 

  28. Hawkins J, Hollingworth W, Campbell R. Long-term smoking relapse: a study using the british household panel survey. Nicotine Tob Res 2010;12(12):1228-1235 

  29. Lee KJ, Chang CJ, Kim MS, Lee MH, Cho YH.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J Korean Acad Nurs 2006;36(5):742-750 (Korean) 

  30. Suh KH, You JM. Decision-tree model of long-term abstention from smoking: 2-years follo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2004;9(4):903-922 (Korean) 

  31.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1997. 

  32. Velicer WF, Prochaska JO, Fava JL, Norman GJ, Redding CA. Smoking cessation and stress management: application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behavior change. Homeostasis 1998;38:216-233 

  33. Janz NK, Champion VL, Strecher VJ. "The Health belief model", in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ed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i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008, p.49 

  34. Ockene JK, Emmons KM, Mermelstein RJ, Perkins KA, Bonollo DS, Voorhees CC, et al. Relapse and maintenance issues for smoking cessation. Health Psychol 2000;19 (1 Suppl):17-31 

  35. Park SW, Lee J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obacco control programs of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J Agr Med Commun Health 2009;34(1):87-100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