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스마트 폰 게임 중독 경향에 따른 뇌파 비대칭(asymmetry)와 연결성(Coherehnce)의 정량화뇌파(QEEG) 비교 분석
Comparison of QEEG between EEG asymmetry and Coherehnce with elderly people according to smart_phone game Addiction Tenden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644 - 652  

원희욱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노인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 여부에 따른 뇌파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즉 정량화 뇌파 결과에서 비대칭과 연결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뇌파와 수면 문제와 우울 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이 있는 노인1명과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1명 총 2명이다. 참여자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은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고 뇌파분석은 정량화 뇌파분석(QEEG)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 노인의 뇌파는 개폐안시 모두 비대칭(asymmetry)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노인은 개폐안시 연결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뇌파분석 비교를 통해 스마트폰 게임사용이 뇌의 인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성 인지장애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양상을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EG according to the elderly's tendency to be addicted to smartphone games. We compared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such as brain waves, sleep problems and depress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asymmetry and connectivity in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뇌파분석의 특징으로 인하여 여전히 이를 명확하게 각 파별로 분석하여 각 증상과 증후를 설명할 수 있는 임상적 자료가 해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 역시 각 뇌파 대역별 분석이 아닌 가시적으로 표준화된 수치를 비교할 수 있는 대칭성(asymmetry)와 연결성(Coherence)을 결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 과몰입 대상과 비사용자의 차이를 제시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폰 게임을 장시간 사용하는 노인의 정량화 뇌파와 스마트 폰 게임을 하지 않는 노인의 뇌파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년층의 스마트 폰 사용에 관한 생리적 진단 자료와 임상적 근거와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노년층의 스마트 폰 사용에 관한 생리적 진단 자료와 임상적 근거와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뇌파 분석과 그 비교를 통하여 스마트 폰 사용이 뇌의 인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에게 심혈관 질환 뿐 아니라 노인성 인지장애와 스마트 폰 사용과의 관계양상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폰 과몰입, 특히 게임 중독증상을 나타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 노인의 뇌파를 분석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들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스마트 기기의 활용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 국외의 경우 이러한 중독적 사용에 대한 연구[11]와 이를 진단하기 위한 객관적 도구나 자료로서 정량화 뇌파 분석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2]. 즉 뇌파의 특이점과 이상치를 찾아 스마트 폰 사용과 중독적 측면을 생리적인 방향으로 접근해보고, 각 두뇌의 위치별 지배적 뇌파의 차이를 통해 심리적, 정서적 상태와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여 중재 개입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그 필요성에 비해 정량화 뇌파 혹은 생리적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량화 뇌파 분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연구하는 방법은? 국외의 경우 이러한 중독적 사용에 대한 연구[11]와 이를 진단하기 위한 객관적 도구나 자료로서 정량화 뇌파 분석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2]. 즉 뇌파의 특이점과 이상치를 찾아 스마트 폰 사용과 중독적 측면을 생리적인 방향으로 접근해보고, 각 두뇌의 위치별 지배적 뇌파의 차이를 통해 심리적, 정서적 상태와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여 중재 개입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그 필요성에 비해 정량화 뇌파 혹은 생리적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13].
편견으로 인해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폰 중독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국내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폰 중독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노년층이 청소년과는 다르게 스마트 폰 사용에 있어서 중독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이 존재하기 때문이다[3]. 이는 노년층은 기본적으로 스마트 기기 사용이 친숙하지 않아 사용하기 힘들 것이고, 신체적 노화로 청소년만큼 중독적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즉 노년층이란 연령의 특징으로 인하여 중독의 문제가 논외로 고려되는 측면이 존재한다[4].
장시간 스마트 폰 사용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한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6]에서 장시간 스마트 폰 사용은 정서적인 불안정, 잦은 분노감과 수면장애로 인한 불면증, 우울감, 불안감이 증가한다고 하였고, 또 다른 연구[7]에서는 스마트 폰 중독이 만성 우울과 무기력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노년층 등 다른 연령에서도 스마트 폰 중독이 우울, 무기력, 불안을 높일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 M. Park, C. D. Kim, M. J. Cheon, "The Trends and Issues of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Research in Korea", The Trends and Issues of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Research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 13, no. 2, pp. 3-14, 2005. 

  2. C. B. Jo, A. Y. Song, S. H. Lee, "Study for violence between parents exposure and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vol. 16, pp. 73-103, 2007. 

  3. S. M. Bae, Y. S. Koh, "A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7, pp. 111-121, 2017. 

  4. C. H. Park, S. J. Jang, "The Smart Media of Elderly and Digital Welfare: focused on the access and use gap of smart device",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vol. 17, no. 4, pp. 41, 2013. 

  5. J. U. Ko, S. B. Kim, "A Study of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2, pp. 649-668, 2012. 

  6. K. Y. Hwang, Y S. Yoo, O. H. Cho,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0, pp. 365-375, 201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7. K. Demirci, M. Akgonul, A. Akpinar,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 4, pp. 85-92, 2015. DOI: https://doi.org/10.1556/2006.4.2015.010 

  8. S. H. Lee, J. H. Ahn, "Adoption of the Use of Smart Technology by Health-care Workers Nursing Homes - an Exploratory Study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8, pp. 156-171, 2014.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156 

  9. Y. J. Lee, J. H. Lee, J. Y. Nah, "Older Adults' Experience of Smart-home Healthcare Syste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5, pp. 414-425, 2015. DOI: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414 

  10. S. M. Park, J. Y. Kim, I. S. Jang, E. J. Park, "Severity of Insomnia,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4, pp. 991-100, 2008. 

  11. C. Grecu, "The new generations and the addictions to technolog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and Theology, vol. 9, no. 1, pp. 99-110, 2013. 

  12. K. Demirci, M. Akgonul, A. Akpinar,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vol. 4, no. 2, pp. 85-92, 2015. DOI: https://doi.org/10.1556/2006.4.2015.010 

  13. S. K. Kim, S. Y. Kim, H. B. Kang, "Comparison of EEG during watching emotional video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5, pp. 599-609, 2015. DOI: https://doi.org/10.9717/kmms.2015.18.5.599 

  14. K. H. Kim, S. Y. Byun, S. H. Im,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Korean Adult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vol. 27, no. 1, pp. 131-154, 2016. DOI: https://doi.org/10.16881/jss.2016.01.27.1.131 

  15. P. C. Petrantonakis, L. J. Hadjileontiadis, "Emotion recognition from EEG using higher order crossings", IEEE Trans Inf Technol Biomed, vol. 14, no. 2, pp. 186-1972, Mar. 2010. DOI: https://doi.org/10.1109/TITB.2009.2034649 

  16. S. W. Choi, E. J. Jekal, C. I. Ah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7, no. 4, pp. 1053-1069, 2008. 

  17. M. Kaminski, K. Blinowska, W. Szelenberger, "Topographic analysis of coherence and propagation of EEG activity during sleep and wakefulnes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ol. 102, no. 3, pp. 216-227, 1997. DOI: https://doi.org/10.1016/S0013-4694(96)95721-5 

  18. Z. Y. Jiang, L. L. Zheng, "Inter-and intra-hemispheric EEG coherenc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t rest and during working memory task", Journal of Zhejiang University-Science B, vol. 7, no. 5, pp. 357-364, 2006. DOI: https://doi.org/10.1631/jzus.2006.B0357 

  19. E. Harmon-Jones, J. J. B. Allen, "Anger and prefrontal brain activity: EEG asymmetry consistent with approach motivation despite negative affective val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l74, pp. 1310-1316, 1998.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74.5.1310 

  20. V. Jelic, M. Shigeta, P. Julin, O. Almkvist, B. Winblad, L. O. Wahlu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power and coherence in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antia, vol. 7, no. 6, pp. 314-323, 1996. DOI: https://doi.org/10.1159/0001068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