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우울,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264 - 277  

김명용 (연세대학교 휴먼라이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정보화 및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측면과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고찰하였다. 노년기 스마트폰 이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65세 이상 노인 6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우울,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학력수준, 소득수준 등 주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우울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영향은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은 노인의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사회적 지지의 수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으며, 사회적 지지의 제공에의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은 사회적 지지를 제외하고 생활만족도의 향상, 우울의 감소 및 사회활동의 증진 등과 같은 노년기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보화 사회에서 노인들의 심리적 안녕, 정신건강, 사회활동 참여 등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이용은 권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cusing on the potential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n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in old age on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older adults. In order to ex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정보화와 고령화 사회의 심화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복합적 잠재력과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측면과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우울,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 24.
  •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우울,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엄격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주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하였다.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연령, 성별, 배우자, 학력 및 소득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 또한 연구대상은 주로 중고령층이거나 노인 대상의 연구도 대상 연령이 각각 다르며, 소규모 데이터에 의존하였거나 연구결과 또한 일관적이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이용이 노인의 우울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충분한 경험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하지만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사회적 지지의 수혜 및 사회적 지지의 제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사회적 지지의 수혜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의 제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ㆍ정신적 측면과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측면에서 노년기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의 사회적 지지에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나 사회활동 참여와 같은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노년기 생활만족도 증진, 우울 감소 및 사회활동 확대 등을 통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정보 불평등 문제의 완화를 위하여 스마트폰 이용의 권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를 토대로 노인의 스마트폰 보급 확대, 이용능력 향상, 실질적 활용도 제고 등 노인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노력의 확대 필요성을 재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정보화와 고령화 사회의 심화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복합적 잠재력과 영향력에 주목하였다.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측면과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이 연구는 주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심리적ㆍ정신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다각도로 검증하여 확인하였다. 즉 노인의 스마트폰의 이용은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ㆍ정신적 안녕의 증진을 통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 또한 연구대상도 대부분 장노년층 또는 60세 이상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연구변수를 보면 생활만족도와 다른 삶의 만족도 또는 대인관계 만족도라는 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연구대상, 연구변수 및 연구범위 등의 한계를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이용과 생활만족도를 연구변수로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은 사회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인구의 급증과 정보화의 심화에서 생기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정보화의 심화에 따라 노인들의 인터넷, 스마트폰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이용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다른 세대 간 및 노인 세대 내 정보화 수준의 차이 즉 정보격차(digital divide) 현상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7-9]. 2017년 65세 이상 노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45.
노이의 정보통신기술 이용은 그들의 무엇에 영향을 미치나? 노년기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이용은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나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노년기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이용은 사회적 지지와 관련이 있는 대인관계나 사회적 관계의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한다. 예를 들면 중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관계망의 유지와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거나[40],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은 지인들과의 일상공유 및 연락, 새로운 사람들과의 인적교류 및 관계 확장 등 사회적 관계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다[26,59].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은? 8%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하기 직전에 이르렀다[1,2]. 한국의 정보화 수준은 2017년 가구 인터넷 접속률은 99.5%였고, 개인 인터넷 이용률은 90.3%로 OECD국가 중에서 최상위권에 속한다[3]. 이와 같은 컴퓨터, 인터넷 및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의 보급과 이용의 확대는 노인의 일상생활은 물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OHW), 2016 Annual Statistics of Health and Welfare, 2016.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accessed May 10, 2017). 

  2. Statistics Korea, The Future Estimated Population, 201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accessed Jun 17, 2018). 

  3.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KISA), 2017 Statistics of Individual Internet Usage, 2017. Available from: http://isis.kisa.or.kr. (accessed, Jun 9, 2018). 

  4. M. Y. Kim, H. J. Jun, "The Influences of IT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Use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1, No.1, pp. 85-110, 2016. 

  5. R. Hill, L. R. Betts, S. E. Gardner, "Older adul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gital Technology: (Dis)empowerment, Wellbeing, and Inclus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8, pp. 415-423, 2015. DOI: https://dx.doi.org/10.1016/j.chb.2015.01.062 

  6. J. Kim, H. Y. Lee, M. C. Christensen, J. R. Merighi, "Technology Access and Us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al Engagement among Older Adults: Do Women and Men Differ?", Journals of Gerontology(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72, No.5, pp. 836-845, 2017. DOI: https://doi.org/10.1093/geronb/gbw123 

  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17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2017.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 (accessed Mar 12, 2018). 

  8. M. Y. Kim, "Discussions on Mechanisms,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7, pp. 246-262, 2015.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5.15.04.246 

  9. K. Paek, J. Bong, Y. Shin,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nd Resolution Methods of the Smart Divide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KIISE), Vol.42, No.10, pp. 1207-1221, 2015. DOI: https://dx.doi.org/10.5626/JOK.2015.42.10.1207 

  10. Y. Shin, M. Ku, "An Explorative Study on Compute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13, No.4, pp. 119-147, 2010. 

  11. E. J. Seo, "The Digital Divide and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The Second Conference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Dec 2008, pp. 566-580, 2008. 

  12. M. Kim, S. Kwon, C. Park, "Babyboomer's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s Effect on the Digital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master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7, pp. 113-136, 2012. 

  13. E. J. Seo, "Structuralization and Social Problem of the Digital Information Gap",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Vol.2, pp. 68-87, 2000. 

  1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Analysis and Proposal of New Digital Divide: 2013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2014a.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 (accessed Mar 12, 2017). 

  15. H. G. Kim, K. W. Shin, D. H. Ko, S. H. Lee, Mobile Divide in the Smartphone Era, KT Economy &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16. M. Y. Kim, H. J. Jun,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2, No.3, pp. 343-370, 2017. 

  17. J. E, Cho, "Expanded Reproduction of Digital Divide: Acceptance of Smartphones among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48, No.5, pp. 211-242, 2014. 

  18. M. Y. Kim,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pouse Relationship Satisfaction,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Relationship among Older Adul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3 pp. 219-228, 2018.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8.19.3.219 

  19. S. Y. Han, E. J. Ma, S. G. Choi, D. S. Hong, "Analysis on the Impact of Using Smartphone to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formation and Society, Vol.20, pp. 49-84, 2011. 

  20. M. Kim, Y. Kang, D. Jung, G. Lee, "Older Adults' Smart Phone Use and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14, No.1, pp. 13-22, 2013. 

  21. S. M. Bae, Y. S. Koh, "An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7, pp. 111-121, 2017.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7.15.7.111 

  22. M. Richardson, T. Zorn, K. Weaver, "Seniors' Perspectives on the Barriers, Benefits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Learning and Using Computers", 2002. Working papers of the Department of Management Communication, Waikato University, New Zealand. Available from: http://www.slis.indiana.edu/faculty/ hrosenba/www/l574/pdf/richardson_seniornet.pdf. (accessed Mar 12, 2016). 

  23. M. Y. Kim, Information Technology and Welfare: The Digital Divide and Welfare of Older People in Korea, 2005.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rwick, UK. 

  24. M. Y. Kim, H. J. Jun, "The Relationships among IT use, Satisfaction with IT use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Asian Regional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JARAHE), Vol.21, No.4, pp. 167-178, 2014. 

  25. W. Kang, M. S. Kim, J. U. Ko, "Effects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Use and Performa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3, No.1, pp.199-214, 2013. 

  2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15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Available from: http://www.nia. or.kr. (accessed Mar 12, 2016). 

  27. P. Kim, M. Lee, S. Hwa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Satisfaction of Life according to Elderly's Volunteer Particip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64, pp. 187-206, 2014. 

  28. Y. S. Yoo, H. J. Son,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 No.4, pp. 235-244, 2012.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2.12.04.235 

  29. Y. Kim, J. Kim, J. Kang, J. Park, H. Yang, S. Lee, H. Jang, Y. J. Jung, Y. L. Jung, J. Jung, "Depression, Loneliness,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Using Smartphone", Journal of Ehwa Nurses Academic Soicety, Vol.49, pp. 99-117, 2015. 

  30. H. J. Jun, M. Y. Kim,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in Old Ag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42, pp. 187-211, 2014. 

  31. S. R. Cotten, G. Ford, S. Ford, T. M. Hale, "Internet Use and Depression among Retired Older Adult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28, No.2, pp. 496-499, 2014. DOI: https://doi.org/10.1093/geronb/gbu018 

  32. H. J. Jun, M. Y. Kim, "What Accoun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Older Adults? A Mediation Analysis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dgial Sciences & Social Sciences, Vol.72, No.5, pp. 846-855, 2017. DOI: https://doi.org/10.1093/geronb/gbw163 

  33. E. Choi, M. Kim, Y. Kim, H. Ryu, H. Lee, D. Son, M. Moon, "The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Behavior, and the Ability and Range of the Smartphone Utilization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Vol.20. No.1, pp. 36-47, 2016. 

  34. Y. Chen, A. Persson, "Internet Use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pp. 731-744, 2002. DOI: https://doi.org/10.1080/03601270290099921 

  35. A. Dickinson, P. Gregor, "Computer Use has no Demonstrated Impact on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64, pp. 744-753, 2006. DOI: https://doi.org/10.1016/j.ijhcs.2006.03.001 

  36. J. D. Kwon, Y. Kim, T. Y. Um,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Internet Use in Their Daily Lives and Its Mean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2, No.32, pp. 835-850, 2012. 

  37. M. Y. Kim, "IT and Welfare: A Conceptual Framework of Information Welfare of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29, pp. 105-124, 2013. 

  38. M. O. Jang, "The Effect of Older People's Internet Uses and Gratification on Social Activitie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7, No.3, pp. 133-154, 2004. 

  39. K. H. Jeong, J. H. Yun, J. S. Kim, "The Effects of Intermet Utiliz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44, No.2, pp. 357-382, 2013. 

  40. D. L. Hogeboom, R. J. McDermott, K. M. Perrin, H. Osman, B. A. Bell-Ellison, "Internet Use and Social Networking among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Vol.36, pp. 93-111, 2010. DOI: https://doi.org/10.1080/03601270903058507 

  41. T. Penard, N. Poussing, R. Suire, "Does the Internet Make People Happier?", The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46, pp. 105-116, 2013. DOI: https://doi.org/10.1016/j.socec.2013.08.004 

  42. M. S.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Smart Phone on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2015. 

  43. M. Y. Kim, H. J. Jun, "The Digital Divide and Welfare in Old Age: A Conceptual Model of Information Welfare Inequality", 2013. Poster presented at the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New Orleans, USA. 

  44. S. W. Kim, E. J. Lee, S. D. Chung,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using Hierarchical Model Analysis: focused on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6, No.3, pp. 581-594, 2016. 

  4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6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2016.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 (accessed Sep 12, 2017). 

  46. E. H. Jang, S. I. Nam, "The Effect of the Four Major Difficulties on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69, pp. 123-151, 2015. 

  47. H. J. Jun, M. Y. Kim,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Longitudinal Effect of Employment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4, No.2, pp. 315-331, 2014. 

  4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04 National Survey on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2004. Available from: http://www.kihasa.or.kr. (accessed May 10, 2017). 

  49. H. J. Jun, M. Y. Kim,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eou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43, pp. 73-98, 2015. 

  50. H. J. Jun, M. Y. Kim,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in Korean Older Me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sol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6, No.2, pp. 443-455, 2016. 

  51. S. H. Hwang, H. J. Lee, E. H. Ha, S. H. Kim, G. K. Jung, H. J. Choi, "The Effects of Use of Smartphone and Cognitive Function on Depression and Loneliness of Life in Elders",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11, No.1, pp. 9-19, 2017. 

  52. S. H. Oh,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n the Elderly among Urban, Farm and Island Area",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23, pp. 209-231, 2007. 

  53. J. H. Lee, H. W. Lee, O. J. Lee, "The Effect of Formal and Informal Productive Activity of the Elderly on Their Successful Aging: Mediat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66, pp. 287-305, 2014. 

  54. S. H. Cho, Y. S. Yoo,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in Low-income Aged People Living Alon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1, No.4, pp. 35-59, 2016. 

  55. S. Hong, L. Hasche, S. Bowl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Vol.49, No.1, pp. 1-11, 2009. DOI: https://doi.org/10.1093/geront/gnp006 

  56. P. Warr, V. Butcher, I. Robertson,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People", Aging & Mental Health, Vol.8, No.2, pp. 172-183, 2004. DOI: https://doi.org/10.1080/13607860410001649662 

  57. J. K. Lee, C. J. Park, T. D. Ahn, E. J. Kim, "Development of Service Model to Promote Older Adult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with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45, pp. 179-206, 2009. 

  5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6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Yongin: NIA, 2016. 

  59.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13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among Older Adults, 2014b.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 (accessed Mar 12, 2017). 

  60.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 Wesley Pub, CA, 1981. 

  61. Y. C. Kim, J. Paik, "The Effects of 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7, pp. 279-287, 2016. 

  62. G. S. Lee, W. K. Lim,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 No.10, pp. 291-306, 2012. DOI: https://dx.doi.org/10.5392/JKCA.2012.12.10.291 

  63.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S. S. M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pp. 134-143, 1961. DOI: http://dx.doi.org/10.1093/geronj/16.2.134 

  64. S. J.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 of t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Korean Cultural Research Institute, Vol.49, pp. 233-258, 1986. 

  65.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201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10. Available from: http://www.keis.or.kr. (accessed May 10, 2017). 

  66.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2010 The Third Questionare Survey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10. Available from: http://www.keis.or.kr. (accessed May 1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