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와 의사의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태도와 연명치료 중지 지침에 대한 지식
Nurses and Physicians'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Knowledge of the Guideline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71 - 179  

김지선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  문성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남경아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한림대학교 간호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es and physicians' attitudes toward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LST) and knowledge about withdrawal of LST guideline by Korean Medical Associ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45 nurses and 88 physicians using a sel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인의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태도와 연명치료 중지 지침에 대한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 직종 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태도와 연명치료 중지 지침에 대한 지식정도를 파악하며, 직종 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환자의 임종과정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태도와 지침내용에 대한 지식 정도 그리고 간호사와 의사간 태도와 지식의 차이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의료사회에서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논쟁이 촉진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연명치료 중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가는 과정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와 현대의 질병치료 목적은 어떻게 다른가? 국외의 경우 생애말기(end of life)의 의료비 지출 증가에 따라 건강분야에서 생애말기 환자의 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치료 가능한 질병이 적었던 과거에 질병치료 목적은 ‘건강한 상태로의 회복’이었지만 치료 가능한 질병이 많아진 현대에는 ‘생명연장’이나 ‘병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생명연장의 이면에는 환자 주변사람들의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른 바 1997년에 발생한 ‘보라매병원 사건’을 계기로 죽음을 앞둔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보호자의 무의미한 치료 거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회복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무의미한 생명연장과 인간 존엄성을 잃지 않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불필요하고 과다한 연명치료를 중지[2]하는 입장의 차이가 본격적으로 쟁점이 되기 시작하였다.
연명치료 중지 지침의 실무 적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간호사와 의사의 답변은 어떻게 다른가? 연명치료 중지 지침의 실무 적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절반 이상의 간호사(51.9%)는 환자의 회복가능성을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고, 의사(64.8%)는 의료인을 위한 법적 보호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간호사와 의사의 응답에 차이가 있는 것은 연명치료 중지 결정에 대한 입장이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명치료 중지에 관한 지침의 목적은? 연명치료 중지의 보편적인 합의는 근본적으로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 5월 대한의학회의 ‘임종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대한의학회 의료윤리지침’에 이어 2009년 10월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대한병원협회의 공동대책으로 서 ‘연명치료 중지에 관한 지침’을 발표하였다. 이는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품위 있는 삶을 위하여 연명치료의 적용이나 중지를 판단해야 하는 상황에 있는 의료인에게 행위의 범위와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5]. 그러나 중환자 전담의사를 대상으로 연명치료 중지 지침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6] ‘지침의 상세한 내용을 읽어보았고 실제로 참고하고 있다’고 응답한 자는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hee Y. Location of death and end-of-life car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19(1):5-10. http://dx.doi.org/10.14475/KJHPC.2016.19.1.5 

  2. Kim MS. Public perception on euthanasia. Paper presented at the public hearing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May. 

  3. Shin HH. Legal assess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life and death, right or duty? Law and Medicine. 2006;7(1):144-177. 

  4. Han SS. Doctor's and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NR.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3):255-264. 

  5. Koh Y, Heo D, Yun YH, Moon J, Park HW, Choung JT, et al.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guideline to withdrawal of a life-sustaining therapy.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7):747-757. http://dx.doi.org/10.5124/jkma.2011.54.7.747 

  6. Moon JY, Lim C, Koh Y.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Korean physicians of the consensus guidelines to withhold or withdraw life-sustaining therapi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11;14(3):266-275. 

  7. Yun YH, Rhee YS, Nam SY, Chae YM, Heo DS, Lee SW, et al.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palliative car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4;7(1):17-28. 

  8. Lee HK, Kang HS. Attitudes and awareness towards the withdraw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es, physicians, and familie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85-98. 

  9. Birchley G, Cejer B. Nurses as withdrawers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in paediatric intensive care. Nursing in Critical Care. 2012;18(1):43-51.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12.00532.x 

  10. Hulley SB, Cummings SR, Browner WS, Grady D, Newman TB. Designing clinical research : an epidemiologic approach.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Appendix 6D, page 80. 

  11. Park GS. The Study of consciousness of euthanasia among health professionals: Q-methodological Approach[master's thesis]. Chunan: Dankook University; 2000. 

  12. Byun EK, Choi HR, Choi AL, Kim NM, Hong KH, Kim HS.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on terminating life suppor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3;9(1):112-124. 

  13. Kim HJ.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decision-making rights f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s[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0.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perception of life sharing. Sejeong-si.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December. Publication No. 11-1352000-000522-01. 

  15. Dubois M. Ethical issues at the end of life. Techniques in Regional Anesthesia and Pain Management. 2005;9(3):133-138. http://dx.doi.org/10.1053/j.trap.2005.06.007 

  16. Huang Y, Huang S, Ko W. Survey of do-not-resusciate order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2010;109(3):201-208. http://dx.doi.org/10.1016/s0929-6646(10)60043-5 

  17. Ha MO. Nurses' awareness and attitudes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medical care[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ersity; 2010. 

  18. Carmel S, Werner P, Ziedenberg H. Physicians' and Nurses' Preferences in Us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Nursing Ethics. 2007;14(5):665-674. http://dx.doi.org/10.1177/0969733007080208 

  19. Park Y, Chang B, Yoo M, Cho Y, Kim H. Nurses' pereption ove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Education. 2004;7(2):198-216. 

  20. Lee GM. Study o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21. Bae JM, Rhyu HG, Lee HY, Jung SY, Jo JH, Lee NR. Social consensus for withdrawing meaningless life sustaining treatment.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09 October. 

  22. Heo DS. Withholding futile interventions from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1;44(9):956-962. https://doi.org/10.5124/jkma.2001.44.9.956 

  23. Lee YJ. Attitude and role of a nurse on discontinuance of meaningless prolongation treatment[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of Busan; 2010. 

  24. Kwon I, Koh Y, Yun YH, Heo DS, Seo SY, Kim H, et al. A Study of the attitudes of patients, family members, and physicians toward the withdrawal of medical treatment for terminal pati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10;13(1):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