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HPLC와 NMR를 이용한 염미성 펩타이드 분석방법 검증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a Salt-enhancing Peptide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 and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11 = no.211, 2017년, pp.1324 - 1330  

박선유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  정용진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가공학전공) ,  김미연 (KMF(주)) ,  황지홍 (KMF(주)) ,  권택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면역학교실) ,  서영호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제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염분의 섭취와 관련하여 건강에 대한 우려가 늘어남에 따라, 염미대체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천연 저염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연구를 통해 식물성 및 동물성 원료 배합을 통해 가수분해물을 조제하여 최적 화합물을 얻는 것에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염미성 펩타이드 분말내 arginine을 함유한 염미성 펩타이드를 규명하고 정량 하고자 하였다. L-arginine 또는 arginine을 포함한 펩타이드를 표준물질로 하여 $^{13}C$-NMR로 분석한 결과 유사한 위치에 구아니딘기 탄소가 시그널(L-arginine: 156.8 ppm, Arg-Ala: 156.4 ppm, Arg-Ser: 156.4 ppm)이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arginine 함유 펩타이드 정량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t, or sodium chloride (NaCl), is a critical ingredient in many foods. It has roles in the flavor profiles of food products, textures of foods and preservation of foods against microbes. However, it increases risks of hypertension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식물성 발효 조성물에 포함된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함량의 정량 법을 개발하고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핵자기 공명 분광법(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에서 사용되는 염화칼륨의 단점은? 식품에서 나트륨을 저감화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나트륨을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염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염화칼륨(KCl)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식품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강한 쓴맛과 금속성 이취감 등의 단점이 보고되고 있다[7]. 다른 방법으로는 mono sodium glutamate(MSG), 효모 추출물, 아미노산 등 자신은 짠맛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지만 소금의 짠맛을 끌어내는 염미증강제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3, 8].
아미노산을 활용한 짠맛 증강 소재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다른 방법으로는 mono sodium glutamate(MSG), 효모 추출물, 아미노산 등 자신은 짠맛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지만 소금의 짠맛을 끌어내는 염미증강제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3, 8]. 이 중 아미노산을 활용한 짠맛 증강 소재로는 L-arginine (L-Arg), L-lysine (L-Lys) 등의 아미노산이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L-Arg을 포함한 펩타이드들의 구아니딜 그룹은 Na+-channel과 상호작용하여 Na+ ion의 유입을 향상시켜 짠맛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4]. 하지만 합성을 통한 아미노산 계열은 염미 부스팅 효과가 있음에도 소비자로부터 선택되지 않아 시장성이 떨어지며, MSG는 발효로 만들어 지지만 단일 원료로 화학적으로 생성된다는 이미지가 확고해 소비자들에게 외면되고 있는 추세이다[2].
나트륨을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염으로 대체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은? 식품에서 나트륨을 저감화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나트륨을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금속염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염화칼륨(KCl)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식품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강한 쓴맛과 금속성 이취감 등의 단점이 보고되고 있다[7]. 다른 방법으로는 mono sodium glutamate(MSG), 효모 추출물, 아미노산 등 자신은 짠맛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지만 소금의 짠맛을 끌어내는 염미증강제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3,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esteloot, H. and Joossens, J. V. 1988. Relationship of dietary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with blood pressure. Belgian Interuniversity Research on Nutrition and Health. Hypertension 12, 594-599. 

  2. Kil, G. Y. and Jin, S. Y. 2015. A survey of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MSG according to the pursuit of well-being in diet. J. Kor. Soc. Food Cult. 30, 481-490. 

  3. Kremer, S., Mojet, J. and Shimojo, R. 2009. Salt reduction in foods using naturally brewed soy sauce. J. Food Sci. 74, 255-262. 

  4. Ogawa, T., Nakamura, T., Tsuji, E., Miyanaga, Y., Nakagawa, H., Hirabayashi, H. and Uchida, T. 2004. The combination effect of L-arginine and NaCl on bitterness suppression of amino acid solutions. Chem. Pharm. Bull. 52, 172-177. 

  5. Powles, J., Fahimi, S., Micha, R., Khatibzadeh, S., Shi, P., Ezzati, M., Engell, R. E., Lim, S. S., Danaei, G. and Mozaffarian, D. 2013.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sodium intake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of 24 h urinary sodium excretion and dietary surveys worldwide. BMJ open 3, e003733. 

  6. Ritz, E., Koleganova, N. and Piecha, G. 2009. Role of sodium intake in the progress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J. Ren. Nutr. 19, 61-62. 

  7. Van Der Klaauw, N. J. and Smith, D. V. 1995. Taste quality profiles for fifteen organic and inorganic salts. Physiol. Behav. 58, 295-306. 

  8. Yamaguchi, S. and Ninomiya, K. 2000. Umami and food palatability. J. Nutr. 130, 921S-926S. 

  9. Yoon, E. K. 2015. Policy Trends of sodium reduction. Food Ind. Nutr. 20, 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