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의사결정모델을 이용한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 방법
A Cloud Adoption Method of Public Sectors using a Convergence Decision-making Mod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147 - 153  

서광규 (상명대학교 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정부는 공공부문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무문의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하고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 로드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공서비스의 특성과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퍼지 AHP기반의 융합의사결정 모델을 이용한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클라우드 도입 후보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단계별 클라우드 도입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과 전환 및 클라우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에는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추가적인 의사결정요인뿐만 아니라 예산계획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introduce the cloud to the public sector. The objectives of the paper are to develop a decision-making model and to propose the roadmap for cloud introduction in the public secto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화될 수 있도록 퍼지 AHP 기반의 의사결정모델을 이용하여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기법으로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공공 서비스의 특성과 공공부문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형 분석을 통해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융합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하고,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도입방법과 단계별 로드맵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효과를 가시화하고, 이용을 확산할 수 있도록 국내 공공환경을 반영하여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 서비스의 특성과 공공부문 클라우드 서비스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이 느리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의사결정모델의 제시를 통해 클라우드 도입 및 확산에 도움을 주고 단계별로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정부의 클라우드 정책 수립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부문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IaaS 중심으로 도입되는 이유는? 해외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SaaS)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부문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민간 사업자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나, 공공부문에서는 보안 및 킬러서비스 및 서비스 전환 정책 부재 등의 이유로 대부분의 도입사례가 IaaS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14, 15]. 따라서 국내 공공부문의 클라우드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에 적합한 킬러 서비스를 발굴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서비스이란? 일반적으로 공공서비스란 “공공기관이 사회공동체의 편익과 국민들의 공적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 공급하는 서비스로 공급주체와 관계없이 사회공공의 공동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라 할 수 있다[13]. 범정부 EA 구성을 위한 공통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마련된 EA 참조모델은 공공서비스를 “성과참조모형, 업무참조모형, 서비스참조모형, 데이터참조모형, 기술참조모형”로분류된다.
퍼지 AHP기법은 AHP 기법의 어떤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는가? Saaty[8]가 제안한 AHP기법은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의사결정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AHP 기법은 평가자의 주관을 정량적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평가자 논리의 애매한 가치판단기준이나 사용 언어의 모호함을 갖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퍼지이론[9]을 도입한 것이 퍼지 AHP기법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10, 11,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 Jung, S.H. Nam, "Cloud Computing Acceptance at Individual Level Based on Extended UTAU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 pp. 287-294, 2014. 

  2. K.-K. Seo, "Analysis of Use Intention of Mobile Cloud Service using a Convergenc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2, pp. 105-110, 2016. 

  3. J.Y. Kim, E.J. Kim, "Policy and Promotion Status of Cloud Computing in the Public Sector",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32, No.2, pp.32-39, 2014. 

  4. S.-H. Song, J.-Y. Kim, J.-H. Ra, J. Lee, "A Study on Adopting Model for Cloud-based Public Ser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5, pp. 63-72, 2013. 

  5. NIA, Establishment of Cloud Service Introduction System in the Public Sector, 2014. 

  6. CCCR, A study on detailed action plan for cloud activation - focusing on the 1st cloud development master plan, 2017. 

  7. J.H. Ra, J.Y. Lee, S.Y. Shin, J.Y. Kim, Y.J. Choi. "Classification Model for Cloud-based Public Servic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Vol.10, No.4, pp.509-516, 2013. 

  8. T.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1980. 

  9. L.A. Zadeh, "Fuzzy set", Information and Control, Vol.8, No.3, pp. 338-353, 1965. 

  10. Y.-S. Jeong, "An Efficiency Management Scheme using Big Data of Healthcare Patients using Fuzzy AH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4, pp. 227-233, 2015. 

  11. K.-K. Seo, "A Selection Problem of SCM System based on Fuzzy AHP and BSC", Journal of the Korea Management Engineers Society, Vol.16, No.2, pp. 49-62, 2011. 

  12. B.-H. Kim, Y.-D. Cha, H.-M. Ma, G.-T. Yeo, "A study on Operation factors the Used automobile logistics complex using Fuzzy-AH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7, pp. 97-109, 2017. 

  13. Y.-I. Cha, S.-K. Choi, K.-S. Han,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n Public Data Usage in Private Business Sect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6, pp. 9-17, 2017. 

  14. NIA, A Study on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Information Society, 2014. 

  15. S.-Y. Lee, M. Chung, "An Exploratory Study on Construc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as Platform with Customized Public Services: to Improve Administrative Aspects of Administrative Processes and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 pp. 1-1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