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겪는 입학전후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Difficulties Before and Throughout Physical Education Program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603 - 610  

조기범 (한양대학교 예체능대학 스포츠과학부) ,  김승용 (한양대학교 예체능대학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의 입학 전부터 졸업 전까지 인지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교육대학원에서 체육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이며,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100부 중 95부를 실제 자료처리에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적 어려움에 대한 고민은 입학 전에는 컸지만 입학 후에는 새로운 고민들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육대학원 과정을 위한 시간투자에 대해서는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교육과정에 대한 부담감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 직업에 대한 불안정성에 대한 고민은 입학 후부터 졸업 때까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지식의 부족함에 대해 졸업 전에 큰 고민거리로 인지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육대학원은 진로교육을 강화하고, 평가체계를 보다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질적 성장을 함께 도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ived difficulties from before entrance into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fore graduation. Participants were PETE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mong 100 copies of data, 95 copies had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자들이 입학 전부터 졸업 전까지는 물론 특히, 재학 중 겪는 인지된 문제점 등을 시기별로 분석한 연구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의 입학 전, 입학 후, 졸업 전 에 인지된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역할 및 교육과정 시스템을 점검하고, 이를 통해 체육교원을 양성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입학 전, 입학 후, 졸업 전에 겪는 문제점들을 조사하여 교육대학원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고자 2015년 6월부터 12월까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예비조사를 거친 후 최종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은 체육교육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전국의 교육대학원들 중 서울과 경기지역의 4곳을 선정하였으며, 총 100명의 학생들이 설문지 작성에 참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체육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입학 전부터 졸업 전까지 겪고 있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교육대학원의 질적 성장보다는 입학생 유치와 같은 양적 성장에 우선순위를 지적한 기존연구결과에 대한 해결책이 여전히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대학원에서 다루는 전공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교육대학원에서 다루는 전공들은 인문, 자연, 예체능 계열에 이르기까지 학교마다 상이하며, 매우 광범위하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부분으로 예체능계열의 전공자들은 졸업 후 교사 혹은 지도자로서 진출하는 비율이 다른 기타 전공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이다[2].
우리나라의 교사교육이 질적으로 저하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교사개혁을 위해 2000년도부터 정부는 ‘교직발전 종합방안’을 추진하였으며, 교사양성에서부터 교직에 대한 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교사교육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미흡과 세계적 변화에 미온적인 교사교육 방법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교사교육이 질적으로 저하되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1].
체육교육전공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교육대학원에 입학한 이유중 체육교사가 될수 있는 기회 획득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답변은 무엇인가? 흥미롭게도 절반정도의 학생들은 기존 체육현장의 변화에 대한 열망 때문에 교육대학원에 입학한다라고 하였으며, 이는 과거에 비판받았던 체육교사의 제한적인 역할 및 무성의한 수업태도에 대한 변화가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수입이나 고학력과 같은 외부적 요인들에 의해 교육대학원에 진학했다라고 답한 학생들은 많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G. Kim, "A study on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E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1. 

  2. J. S. Ham, "Exploration of career concerns and conflict factor in dropping ou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7, No. 7, pp. 621-640, 2017. 

  3. D. T. Kwon,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re-educational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urnal of the Elementary Education Society, Vol. 20, No. 1, pp. 1-16, 2014. 

  4. S. M. Shin, "A study on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toward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M.E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13. 

  5. M. Y. Kim,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P.E teacher's reflection through educational volunteering and inquiry on the educational mea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5, No. 2, pp. 639-661, 2015. 

  6. W. J. Kim, "Study of self-reflective process o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icroteaching."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17, No. 1, pp. 25-52, 2010. 

  7. Y. J. Hwang, J. A. You, "Exploring practical experience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eam teach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30, No. 2, pp. 49-75, 2013. 

  8. H. R. Park, "A narrative inquiry about the experience by graduat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Vol. 29, No. 2, pp. 383-404, 2015. 

  9. R. A. Clark, S. L. Harden, W. B. Johnson, "Mentor relationships in clinical psychology doctoral training: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Teaching of Psychology, Vol. 27, No. 4, pp. 262-268, 2000. 

  10. C. M. Golde, "The role of the department and discipline in doctoral student attrition: Lessons from four department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76, No. 6, pp. 669-700, 2005. 

  11. B. C. Seagram, J. Gould, S. W. Pyke, "An investigation of gender and other variables on time to completion of doctoral degre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 39, No. 3, pp. 319-335, 1998. 

  12. I. S. Jang, "A study of American graduate curriculum in school of education: A case study."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Vol. 10, No. 1, pp. 171-194, 2004. 

  13. U. S. Choi, "A study on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an institution of higher adult education."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9, No. 3, pp. 173-200, 2003. 

  14. O. J. Lee, "Discuss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survey research of learners' assessment of program curriculu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ol. 32, pp. 423-450, 2010. 

  15. S. R. Lim, "An analysis of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s: Toward improving the educational quality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5, No. 4, pp. 105-132,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