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종도 중산동 신석기시대 토기의 재료학적 분류와 물리적 특성
Classifications by Material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for Neolithic Pottery from Jungsandong Site in Yeongjong Island, Korea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0 no.4, 2017년, pp.122 - 147  

김란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신숙정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산동 유적은 선캠브리아기의 석영편암층과 운모편암층에 걸쳐 분포하며, 풍화층에는 운모, 석영, 장석, 각섬석녹니석 등 다양한 비가소성 광물이 다량 포함되어 유적지의 지반을 형성하고 있다. 중산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는 다양한 갈색계열을 보이며, 일부 시료는 속심과 내면을 따라 흑심이 발달하고 예리한 빗살시문과 손누름 자국이 관찰된다. 이들은 비가소성 입자의 조성과 입도 및 분급과 원마도가 다양하여 특징적 광물조성에 따라 4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I-형은 장석질 토기로 장석이 주성분이며 석영과 운모를 포함하기도 한다. II-형은 운모질 토기로 녹니석화된 운모류, 활석과 투각섬석 및 투휘석의 조합을 이룬다. III-형은 활석질 토기로 미량의 석영과 운모를 동반한다. IV-형은 석면질 토기로 투각섬석과 미량의 활석을 포함한다. 중산동 토기는 내외면의 색상이 다소 불균질하다. I-형 토기군은 장석류 함량에 따라 적색 및 황색도에 차이가 있으며, III-형 토기군과 유사하다. II-형은 적색도가 다소 높아 IV-형과 유사하다. 유적지 토양은 토기에 비해 적색 및 황색도가 높다. 전암대자율은 0.088~7.360(${\times}10^{-3}$ SI unit)의 넓은 범위이나, 각 유형별 주성분 광물에 따라 구분된다. 토기의 부피비중과 흡수율은 1.6~1.7 및 13.1~26.0%의 범위를 보인다. 각 유형별 토기군은 I-형의 유기물 고착시료 < III-형 및 IV-형 < I-형 < II-형 (IV-형의 IJP-15 포함)의 순으로 공극률과 흡수율이 증가하며 뚜렷한 영역 차이를 보였다. 이는 비가소성 입자의 종류와 입도 등에 따라 물리적 성질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중산동 토기는 다양한 재료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유적지 토양은 중산동 토기가 갖는 모든 광물조성을 공급할 수 있는 지질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원료는 유적지 주변 석영편암과 운모편암의 풍화대에서 수급이 가능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구성광물, 입도 및 암편이 다양한 양상을 보여 원료 채취장소가 여러 곳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점토화 및 풍화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ungsandong sites are distributed across quartz and mica schist formations in Precambrian, and weathering layers include large amounts of non-plastic minerals such as mica, quartz, felspar, amphibole, chlorite and so on, which form the ground of the site. Neolithic pottery from Jungsandong exhib...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구자진, 2006, 중부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숭실사학 19, pp.1-21 

  2. 김란희.이찬희.윤정현, 2012,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8, pp. 7-20 

  3. 김란희.정해선.정상훈.이찬희, 2011, 대전 원신흥동 유적 출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7, pp.163-179 

  4. 김란희.조미순.연웅.이찬희, 2010, 나주 오량동 가마와 운곡동 분묘 유적 출토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제작기법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 229-425 

  5. 김란희.이선명.장소영.이찬희, 2009, 기흥 농서리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p. 255-271 

  6. 김수경.이찬희, 2015, 활석비짐 무문토기의 고고과학적 특성 -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 - 보존과학회지 31, pp.159-173 

  7. 김지영.박진영.박대순.이찬희, 2010,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1-12 

  8. 김지영.이찬희.조선영.김란희.이호형, 2009,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p. 299-316 

  9. 류철현.현근수.최정원, 2003, 토양조사 이론과 실무기술.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과학원예, pp. 104-134 

  10. 박희현, 1996, 영종도 송산선사유적 발굴조사 개보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휘보 7, pp.119-142 

  11. 이성주, 1988, 원삼국토기 태토의 유형 영남고고학보 5, pp.19-41 

  12. 이찬희.박진영.김지영, 2010a, 부여 쌍북리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 내부 유리 및 청동 유리물질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157-169 

  13.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2010b,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문화재 43, pp. 4-25 

  14. 이찬희.김영택.이명성, 2007,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p.183-196 

  15. 조영훈.조성남.이찬희, 2010,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소조토의 제작기법과 원산지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p. 43-60 

  16. 최위찬.김규봉.최성자.윤욱.진명식, 1995, 김포-인천도폭 지질조사보고서(1:5,000) 한국자원연구소, pp.1-34 

  17. 한강문화재연구원, 2012, 인천 중산동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pp.1-809 

  18. 한강문화재연구원, 2009, 인천경제자유구역영종지구(영종지역)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강문화재연구원, pp.1-42 

  19. Christina, R., Panagiota, T.K., Christos, K., 2004, 'Technology and composition of Roman pottery in Northwestern Peloponnese, Greece', Applied Clay Science 24, pp. 313-326 

  20. Lee, C.H., Kim, J. and Lee, M.S., 2010,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 Archaeometry 52, pp. 31-44 

  21. Piero, M., Patrizia, D., 2004, 'New developments in the study of ancient pottery by colour measuremen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1, pp. 741-751 

  22. Rice, P.M., 2005, 'Pottery Analysis (Paperback E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pp. 334-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