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폐과일껍질을 이용한 친환경 NiO 나노분말 합성 및 향균특성 연구
Enviroment-Friendly Synthesis of Nanocrystalline Nickel Oxide and Its Antibacterial Propertie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8 no.1, 2018년, pp.24 - 31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송재숙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홍순익 (충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an environment-friendly synthetic strategy to process nickel oxide nanocrystals. A mesoporous nickel oxide nanostructure was synthesized using an environmentally benign biomimetic method. We used a natural rambutan peel waste resource as a raw material to ligate nickel ions to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일 폐기물 재사용 등 친환경 접근 방법을 통하여 NiO 나노입자 합성에 성공하였으며, 이러한 합성 방번은 다른 금속 산화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친환경적 방법으로 합성한 나노 산화물 입자의 직물의 향균성 향상기술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NiO의 바이오 적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NiO의 바이오공정에 의한 합성법에 대한 연구는 및 관심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생체적합성이 좋은 나노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과일 껍질이 두껍고 껍질에 털모양의 융기된 조직이 발달하여, 내부 과육 대비 폐과일 껍질 비율이 높은 람부탄 과일의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여 산화니켈 나노입자를 합성하여 분말의 구조 및 특성을 분석하고 폐과일껍질 추출액을 사용하여 합성한 산화니켈 나노분말의 세포 독성을 분석하고 직물에 적용하여 항균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처음에 Ni(NO3)26H2O와 rambutan 껍질 추출액의 ellagate와 반응하여 Ni-ellagate complex가 형성되고 Ni-ellegate complex의 하소공정으로 NO2 등은 분해되고 NiO 나노입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ellagate가 Ni과 반응하여 NiO 나노입자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전이 금속 산화물의 대규모 생산 및 생체 적합성 응용 분야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과일껍질을 이용하는 나노입자 합성방법의 특징은? 최근에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새로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효소, 미생물,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 부산물과의 반응으로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친환경 공정 개발에 대한 연구가 바이오, 화학 및 재료공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폐과일껍질을 이용하는 나노입자 합성방법은 독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농산물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화학폐기물 사용과 폐농산물을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산화니켈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다양한 방법 중 식물 폐기물에 기초한 합성법의 장점은? 산화 니켈 나노입자는 부피에 비하여 높은 표면적, 탁월한 자외선 흡수 및 항균성 등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촉매, 가스센서, 전지 음극재, 필름, 수소저장, 연료전지 등 사용분야가 광범위하게 증가하고 있으며,1-9) 최근에는 전기, 전자, 유전체, 자성, 광학, 이미징, 촉매, 생물의학 및 생명과학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산화니켈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경제적이며, 화학물질을 이용하지 않는 새로운 합성방법으로 식물 폐기물에 기초한 합성법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법은 비용이 적게 들고 환경 친화적이며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특히 화학용매나 환원제를 이용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나노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식물의 추출물과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를 용매나 환원제 또는 안정제로 사용하려는 환경 친화적인 합성법이 시도되고 있다.
친환경적인 산화니켈 나노 분말 제조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2) 폐과일껍질인 람부탄껍질 추출물과 질산니켈을 혼합하면 혼합물에서 수산기가 Ni-ellagate complex의 니켈과 반응하여 폴리페놀의 페놀수산기와 산소 에스테르와p-track 결합을 하며, 이 결합을 통하여 수산기가 결합된 수산화 니켈 복합체가 형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R. Yuvakkumar, J. S. Song, P. W. Shin and S. I. Hong, Korean J. Mater. Res., 26, No. 6 311 (2016). 

  2. J. Shi and E. Wu,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168, 188 (2013). 

  3. Q. Liu, W. M. Zhang, Z. M. Cui, B. Zhang, L. J. Wan and W. G. Song,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100, 233 (2007). 

  4. J. Roggenbuck, T. Waitz and M. Tiemann,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113, 575 (2008). 

  5. J. H. Li, C. C. Wang, C. J. Huang, Y. F. Sun, W. Z. Weng and H. L. Wan, Appl. Catal., A 382, 99 (2010). 

  6. D. Wang, R. Xu, X. Wang and Y. Li, Nanotechnology, 17, 979 (2006). 

  7. Y. Wang, C. Ma, X. Sun and H. Li,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71, 99 (2004). 

  8. H. Li, S. Zhu, H. Xi and R. Wang,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89, 196 (2006). 

  9. D. J. Lensveld, J. G. Mesu, A. J. Dillen and K. P. de Jong,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44-45, 401 (2001). 

  10. S. R. Llamazares, J. Merchan, I. Olmedo, H. P. Marambio, J. P. Munoz, P. Jara, J. C. Sturm, B. Chornik, O. Pena, N. Yutronic and M. J. Kogan, J. Nanosci. Nanotechnol., 8, 3820 (2008). 

  11. M. A. Ali, S. Srivastava, P. R. Solanki, Venu Reddy, V. V. Agrawal, C. G. Kim, R. John and B. D. Malhotra, Sci. Rep., 3, 2661 (2013). 

  12. J. Singh, P. Kalita, M. K. Singh and B. D. Malhotra, Appl. Phys. Lett., 98, 123702 (2011). 

  13. M. A. Wahab and F. Darain, Nanotechnology, 25, 165701(2014). 

  14. S. K. Yadav, J. Singh, V. V. Agrawal and B. D. Malhotra, Appl. Phys. Lett., 101, 023703 (2012). 

  15. Z. X. Yang, W. Zhong, C. Au, J. Y. Wang and Y. W. Du, CrystEngComm, 13, 1831 (2011). 

  16. W. Fu, A. Yamaguchi, H. Kaned and N. Teramae, Chem. Commun., 853 (2008). 

  17. C. Jayaseelan, A. Abdul Rahuman, A. Vishnu Kirthi, S. Marimuthu, T. Santhoshkumar, A. Bagavan, K. Gaurav, L. Karthik and K. V. Bhaskara Rao, Spectrochim. Acta A, 90, 78 (2012). 

  18. S. N. Barnaby, S. M. Yu, K. R. Fath, A. Tsiola, O. Khalpari and I. A. Banerjee, Nanotechnology, 22, 225605(2011). 

  19. L. B. McCusker, F. Liebau and G. Engelhardt,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58, 3 (2003). 

  20. E. Koren, R. Kohen and I. A. Ginsburg, J. Agric. Food Chem., 57, 7644 (2009). 

  21. S. N. Barnaby, S. M. Yu, K. R. Fath, A. Tsiola, O. Khalpari and I. A. Banerjee, Nanotechnology, 22, 225605 (2011). 

  22. J. A. Jacob, H. S. Mahal, N. Biswas, T. Mukherjee and S. Kapoor, Langmuir, 24, 528 (2008). 

  23. S. R. Przewloka and B. J. Shearer, Holzforschung, 56, 13 (2002). 

  24. M. McDonald, I. Mila and A. Scalbert, J. Agric. Food Chem., 44, 59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