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DLC 전극용 카본에어로젤의 합성조건에 따른 기공구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Pore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Aerogels as an EDLC-Electrode with Different Preparat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8 no.1, 2018년, pp.50 - 61  

서혜인 (명지대학교 화학공학과) ,  정지철 (명지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명수 (명지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carbon aerogels (CAs) were prepared from polymerization of resorcinol and formaldehyde and applied as the electrode materials of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with the aim of controlling the textur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s by the type of base catalyst and the 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 4 가지 염기촉매를 사용하여 촉매의 종류에 따라 합성된 카본에어로젤의 기공크기분포를 분석하고, EDLC 전극에 적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존의 관련 연구들은 4 가지 염기촉매에 따른 카본에어로젤의 물리적 특성만을 보고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4 가지 염기촉매에 따른 카본에어로젤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물리적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촉매에서 R/C 비율의 변화를 통해 기공크기분포를 조절하여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최적화하는 촉매 함량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 기존의 관련 연구들은 4 가지 염기촉매에 따른 카본에어로젤의 물리적 특성만을 보고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4 가지 염기촉매에 따른 카본에어로젤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물리적 특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촉매에서 R/C 비율의 변화를 통해 기공크기분포를 조절하여 물리적 특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최적화하는 촉매 함량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본 에어로젤의 합성조건을 선택전으로 변화시켜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이유는? 또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전도도가 우수하여 에너지 저장장 치의 전극물질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22) 카본 에어로젤은 제조조건을 변화시켜 입자크기의 조절이 가능한 점을 활용하여 합성조건을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물리적 특성을 조절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다양한 조절변 수들 중 합성과정에서 첨가하는 촉매의 양과 촉매의 종류를 변화시켜 기공을 조절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23-24)
카본에어로젤이란? 다양한 전극 물질 중에서 카본에어로젤은 resorcinol과 formaldehyde를 중합시켜 만들어지는 물질이며, 이차전지나 슈퍼커패시터의 전극물질 18) 로 사용되거나, 흡착제 19) 등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물질이다.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유는 카본에어로젤의 특별한 물리적 특성 때문이다.
Resorcinol(R)과 촉매(C, catalyst)의 비율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낮은 R/C의 경우 기공이 작아지는 이유는? 따라서 구형의 카본에어로젤 입자들로 형성된 네트워크 구조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면서 기공의 크기가 커진다. 반대로 낮은 R/C 비에서는 촉매의 함량이 많고, 개시점의 수가 많으므로 겔화시간이 짧아지고, 짧은 중합시간은 결국 응집의 기회를 낮추게 되어 작은 입자가 생성되며, 입자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기공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25,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L. L. Zhang and X. S. Zhao, Chem. Soc. Rev., 38, 2520 (2009). 

  2. D. Qu, H. Shi, J. Power Sources, 74, 99 (1998). 

  3. Y. Zhai, Y. Dou, D. Zho, P. F. Fulvio and R. T. Mayes, Adv. Mater., 23, 4828 (2011). 

  4. M. Noked, A. Soffer and D. Aurbach, J. Solid State Electr., 15, 1563 (2011). 

  5. E. Frackowiak, Phys. Chem. Chem. Phys., 9, 1774 (2007). 

  6. E. Frackowiak, Q. Abbas and F. Beguin, J. Energy Chem., 22, 227 (2013). 

  7. H. M. Lee, H. G. Kim, K. H. An and B. J. Kim, J. Nanosci. Nanotech., 15, 8797 (2015). 

  8. T. E. Rufford, D. H. Jurcakova, E. Fiset, Z. Zhu and G. Q. Lu, Electrochem. Commun., 11, 974 (2009). 

  9. H. M. Lee, H. G. Kim, K. H. An and B. J. Kim, Carbon Lett., 15, 71 (2014). 

  10. Y. Fu, X. Cai, H. Wu, Z. Lv, S. Hou, M. Peng, X. Yu and D. Zou Adv. Mater., 24, 5713 (2012). 

  11. E. J. Lee, Y. J. Lee, J. K. Kim, M. Z. Lee, J. H. Yi, J. R. Yoon, J. C. Song and I. K. Song, Mater. Res. Bull., 70, 209 (2015). 

  12. H. Tamon, H. Ishizaka, T. Araki and M. Okazaki, Carbon, 36, 1257 (1998). 

  13. N. Job, R. Pirard, J. Marien and J. P. Pirard, Carbon, 42, 619 (2004). 

  14. Z. S. Wu, G. Zhou, L. C. Yin, W. Ren, F. Li and H. M. Cheng, Nano. Energy, 1, 107 (2012). 

  15. S. R. C. Vivekchand, C. S. Rout, K. S. Subrahmanyam, A. Govindaraj and C. N. R. Rao, J. Chem. Sci., 120, 9(2008). 

  16. Z. Fan, J. Yan, T. Wei, L. Zhi, G. Ning, T. Li and F. Wei, Adv. Funct. Mater., 21, 2366 (2011). 

  17. J. Chmiola, G. Yushin, R. Dash and Y. Gogotsi, J. Power Sources, 158, 765 (2006). 

  18. J. Biener, M. Stadermann, M. Suss, M. A. Worsley, M. M. Biener, K. A. Rose and T. F. Baumann, Energy Environ. Sci., 4, 656 (2011). 

  19. L. Zuo, Y. Zhang, L. Zhang, Y. E. Miao, W. Fan and T. Liu, Materials, 5, 6806 (2015). 

  20. A. C. Pierre and G. M. Pajonk, Chem. Rev., 102, 4243 (2002). 

  21. R. W. Pekala, J. Mater. Sci., 24, 3221 (1989) 

  22. N. Liu, J. Shen and D. Liu, Microporous Microporous Mater., 167, 23 (2013). 

  23. S. A. Al-Muhtaseb and J. A. Ritter, Adv. Mater., 15, 101 (2003). 

  24. A. M. Elkhatat and S. A. Al-Muhtaseb, Adv. Mater., 23, 2887 (2011). 

  25. S. J. Taylor, M. D. Haw, J. Sefcik and A. J. Fletcher, Lamgmuir, 30, 10231 (2014). 

  26. T. Yamanoto, T. Yoshida, T. Suzuki, S. R. Mukai and H. Tamon, J. Colloid Interface Sci., 245, 391 (2002). 

  27. I. C. Yang, S. G. Kim, S. H. Kwon, M. S. Kim and J. C. Jung, Electrochim. Acta, 223, 21 (2017). 

  28. T. Tsuchiya, T. Mori, S. Iwamura, I. Ogino and S. R. Mukai, Carbon, 76, 240 (2014). 

  29. R. Brandt, R. Petricevic, H. Probstle and J. Fricke, J. Porous Mater. 10, 171 (2003). 

  30. Y. Hamano, S. Tsujimura, O. Shirai and K. Kano, Mater. Lett., 128, 191 (2014). 

  31. C. Lin and J. A. Ritter, Carbon, 35, 1271 (1997). 

  32. S. W, Hwang and S. H. Hyun, J. Non-Cryst. Solids, 347, 238 (2004). 

  33. T. Horikawa, J. Hayashi and K. Muroyama, Carbon, 42, 1625 (2004). 

  34. W. Wang, P. Liu, M. Zhang, J. Hu and F. Xing, J. Compos. Mater., 2, 104 (2012). 

  35. S. Mezzacilla, C. Zancella, P. R. Aravind, C. D. Volpe and G. D. Soraru, J. Mater. Sci., 47, 7175 (2012). 

  36. J. Feng, J. Feng and C. Zhang, J. Sol-Gel. Sci. Technol., 59, 371 (2011). 

  37. N. Job, A. Thery, R. Pirard, J. Mariea, L. Kocon, J. Rouzaudm R. Beguin and J. Pirard, Carbon, 43, 2481(2005). 

  38. Y. J. Lee, J. C. Jung, J. Y. Yi, S. H. Baeck, J. R. Yoon and I. K. Song, Curr. Appl. Phys., 10, 682 (2010). 

  39. R. Kotz and M. Carlen, Electrochim. Acta 45, 2483(2000). 

  40. S. H. Kwon, E. J, Lee, B. S. Kim, S. G. Kim, B. J. Lee, M. S. Kim and J. C. Jung, Korean J. Chem. Eng., 14, 603(2014). 

  41. J. Chmila, G. Yushin, Y. Gogotsi, C. Portet. P. Simon and P. L. Taberna, Science, 313, 1760 (2006). 

  42. C. Largeot, C. Portet. J. Chmiola, P. L. Taberna, Y. Gogotsi and P. Simon, J. Am. Chem. Soc., 130, 2790 (2008). 

  43. J. Chmiola, C. Largeot, P. L. Taberna, P. Simon and Y. Gogotsi, Angew. Chem. 120, 3440 (2008). 

  44. D. Fairen-Jimenez, F. Carrasco-Marin and C. Moreno-Castilla, Carbon, 44, 2301 (2006). 

  45. J. S. Chen, J. P. Diard, R. Durand and, C. Montella, J. Electro. Chem., 406, 1 (1996). 

  46. J. H. Jang and S. M. Oh, J. Korean Electrochem. Soc., 13, 223 (2010). 

  47. W. Kunz, J. Henle and B. W. Ninham,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9, 1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