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제 결정 패턴 탐색
Exploring Topic Defining Patterns of Students in Inter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las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1 no.1, 2018년, pp.14 - 26  

변문경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opic defining patterns of students in inter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lass. Thematic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to examine 85 Korean college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project topic generation which is for interdisciplinary capstone design class and 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캡스톤 디자인이란? Dunlap(2005)는 캡스톤 디자인이 지식의 획득 방식에 맞추어, 학문 주요 쟁점에 대해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서, 전공 지식 간의 연관성을 발견하며 사고를 촉진하는 과목이라고 하였다. 또 Moore(2006)는 캡스톤 디자인이 학생들이 전공을 심화 하는 과정에서 타 과목의 지식을 연계하고 통합하는 장점이 있다고 했고, Davis(2004)는 캡스톤 디자인은 팀 구성원 각자의 전공에서 얻은 지식을 확장하고 상호간에 비판하며 응용하는 방식으로, 팀에서 정한 구체적인 연구 주제에 통합하는 경험을 통해 학문적인 절정감을 맛보고,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숙련의 경험을 지향한다고 하였다.
4차 혁명 시대에서 대학에서는 어떤 과목이 개설됐는가? 4차 혁명 시대를 맞아 다학제간 융합과 문제 해결 학습을 강조하는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STEM)교육이 세계적인 공학 교육의 지향점이 되면서 대학에서 융합 교과목이 확대 적용되고 있다(Capraro, Capraro, & Morgan, 2013; Gavin, 2011). 대학에서의 융합 교과목은 대체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형태로 운영되며, 캡스톤 디자인, 창의적 종합설계, 창의연구, 창의적 시제품 제작 등의 설계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조준동, 2015). 현재 운영 중인 융합 교과목은 2007년의 39개에서 2013년도 기준 1430개로 지속적 으로 증가 추세에 있어, 2017년 현재는 더 많은 융합 교과목이 운영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이요한, 조현정, 2015).
캡스톤 디자인의 장점은? Dunlap(2005)는 캡스톤 디자인이 지식의 획득 방식에 맞추어, 학문 주요 쟁점에 대해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서, 전공 지식 간의 연관성을 발견하며 사고를 촉진하는 과목이라고 하였다. 또 Moore(2006)는 캡스톤 디자인이 학생들이 전공을 심화 하는 과정에서 타 과목의 지식을 연계하고 통합하는 장점이 있다고 했고, Davis(2004)는 캡스톤 디자인은 팀 구성원 각자의 전공에서 얻은 지식을 확장하고 상호간에 비판하며 응용하는 방식으로, 팀에서 정한 구체적인 연구 주제에 통합하는 경험을 통해 학문적인 절정감을 맛보고,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숙련의 경험을 지향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순각, 김성우, 박유현 (2013). 지속적인 기업체 연계 프로젝트기반의 캡스톤 설계 운영시스템. 공학교육연구, 16(3), 61-68. 

  2. 김영민, 서혜애, 박종석 (2013). 잘 알려진 창의적 과학자들의 과학적 주제 선정 패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285-1299. 

  3. 김은경 (2013). 창의적 공학설계, 서울: 한빛아카데미. 

  4. 박경선 (2014). 공학교육에서의 팀티칭기반 융합프로젝트중심 교수학습모형의 개발, 공학교육연구, 17(2), 11-24. 

  5. 변문경, 조문흠 (2016). 공대 학생들의 프로젝트 주제 선정을 위한 초기 교수학습 지원 방안 탐구. 공학교육연구, 19(1), 37-46. 

  6. 신재현, 이홍. (2014). 창의성 발현을 위한 구조화된 문제해결 절차, 약인가, 독인가?. 인사조직연구, 22, 103-139. 

  7. 이요한, 조현정 (2015). 산학협력이슈 BRIEF 2015-4, 창의.융합 지향형 공학교육혁신 전략-공학교육혁신센터중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8. 이태식, 전영준, 이동욱, 장병철 (2009).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 (창의적 공학설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공학교육연구, 12(2), 36-50. 

  9. 조일현 (2010).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3), 1-20. 

  10. 조준동(2015). 창의융합 프로젝트 아이디어 북, 서울: 한빛아카데미. 

  11. Anderson, J. R. (2010).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7E. New York : Worth publishers. 

  12. Amabile, T. M., & Pillemer, J. (2012). Perspectives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6(1), 3-15. 

  13. Bailin, S. (Ed.). (2012). Achieving extraordinary ends: An essay on creativi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15. Capraro R. M., Capraro M. M., & Morgan J. (2013). STEM Project-Based Learning: An Integrate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Approach, SENSE PUBLISHERS, USA. 

  16. Elen, J., & Clarebout, G. (2006). The use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s: Lean learning environments as a solution for a design problem. Handling complexity in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and theory, 185-200. 

  17. Davis, G. A. (2004). Creativity is forever.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18. Dunlap, J. C. (2005).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 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3(1), 65-83. 

  19. Getzels, J. W., & Smilansky, J. (1983). Individual differences in pupil perceptions of school problem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3, 307-316. 

  20. Hotaling, N., Fasse, B. B., Bost, B. F., Hermann, C. D., Forest, C. R. (2012).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Capstone Design Cours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1(4), 630-656. 

  21. Jarvela, S., Kirschner, P. A., Panadero, E., Malmberg, J., Phielix, C., Jaspers, J., ... & Jarvenoja, H. (2015). Enhancing socially shared regul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groups: designing for CSCL regulation tool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3(1), 125-142. 

  22. Moore, R. (2006). Taking action: Assessing the impact of preservice teaching on learning.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8(3), 53-60. 

  23. Palmer, S., Hall, W. (2011). An evaluation of a project based learning initiative in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6(4), 357-365. 

  24. Robert M. C., Mary M. C., & James R. M. (2013). STEM Project-Based Learning, An Integrate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Approach, SENSE PUBLISHERS, USA. 

  25. Runco, M. A., & Chand, I. (1994). Problem finding, evaluative thinking, and creativity. In M. A. Runco (Ed.),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40-76). Norwood: Ablex. 

  26. Sharples, M., de Roock, R., Ferguson, R., Gaved, M., Herodotou, C., Koh, E., ... & Weller, M. (2016). Innovating pedagogy 2016: Open university innovation report 5. 

  27. Walsh, E., Anders, K., Hancock, S., & Elvidge, L. (2013). Reclaiming creativity in the era of impact: Exploring ideas about creative research in science and engineer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8(9), 1259-1273. 

  28. Zacher, H., & Johnson, E. (2015). Leadership and creativity in higher education. Studies in Higher Education, 40(7), 1210-1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