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형성 기제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a Construction Mechanism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4, 2018년, pp.139 - 160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자본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 그리고 이들 자본이 재생산하는 사회적 계급의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자본, 문화자본 및 공공도서관 이용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학력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은 계급일수록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화의 해소에는 부분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능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use on the construction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the close of social classes reproduction through the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As a result, the use of public libraries positively affects the 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람들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형성에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 항목의 개발을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유형을 구분한 연구(DiMaggio 1982; Kahneand Bailey 1999; Portes 1998; Putnam 1995)및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상호 관계에 관한 연구(Johnson 2012)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요인, 공공도서관 이용 각각의 주요 특성들을 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반영한 설문항목을 구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와 같다.
  • 이와 같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측면에서의 공공도서관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과 관련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사람들의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 형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공공도서관의 이용 행태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 재생산을 해소하는데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생성 및 사회적 자본의 격차 해소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인구통계적 특성들이 공공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사람들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과 연계시켜 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구통계적 특성과 공공도서관 이용 사이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참조).
  •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무형의 자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세부적인 유형들을 중심으로, 이들 각각의 자본들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공공도서관 이용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평등한 정보 이용을 대명제로 하는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계급화를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이러한 사회적 계급화로 인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제공해 주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강화가 하나의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화적, 정보적 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계급화를 해소할 수 있는 기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사람들의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 형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공공도서관의 이용 행태가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 재생산을 해소하는데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평등한 생성 및 사회적 자본의 격차 해소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및 이들 사이의 연계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평등한 정보 이용을 대명제로 하는 공공도서관이 사회적 계급화를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를 지탱하는 주된 원동력은? 현재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은 경제자본, 인적자본, 물적자본 등과 함께 사회를 지탱하는 주된 원동력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들 자본은 근본적으로는 사회의 계급을 재생산하는 기제로서 사회학 분야에서 주로 논의되던 주제였으나, 1990년대 이후 다른 제 자본의 형성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자본으로서 그 의미가 재고찰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모든 사람들에게 정보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사회적, 정보적 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사회자본과문화자본을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은 사람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 각각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을뿐만 아니라, 이들 자본을 상호 연계, 강화, 증대시키는데 있어서도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혹은 이들 사이의 상호연계 등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의 영향을 논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는 않고 있다.
문화 이동론이 현재와 같은 진화된 정보환경에서 설득력을 얻는 이유? 이러한 문화 이동론은 사람들이 문화자원에 보다 쉽게 접근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현재와 같은 진화된 정보환경에서는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전통적인 경제자본과는 달리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형성을 통해 개인이 얻을 수 있는 이득은 사회의 상위계급보다는 하위계급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백병부 2012),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으로 인한 사회적 계급의 재생산은 개인의 사회적, 문화적 활동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ng, Hyun Ah, Seok Jin Woo, and Hyun Ju Kang. 2012. "The Impacts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on t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5): 25-38. 

  2. Ryu, Hyang-Gon. 2004. The Relations among Cultural Capital,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M.A. thesis. Major in Educational Soci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Park, Seong-Woo. 2014.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Created in Public Libraries: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Jeonnam-Provi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197-215. 

  4. Park, Hee-Bong. 2009. Social Capital: From Distrust to Trust, From Conflict to Cooperation. Seoul: CM Press. 

  5. Baek, Byungbu.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ssession Condition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by Position Level and Reward Mechanism. Final Repor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6. Seo, Sunbok.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 Proceedings of the Seoul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145-162. 

  7. Lee, Kyu-Hwan and Sang-Woo Nam. 2008. "A Study on the Connectedness of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in Cheongju Cit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0(1): 207-228. 

  8. Lee, Gi Hong. 2005.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3): 1-21. 

  9. Lee, Chang-Ki and Jong-Gwan Park. 2005. "A Study on the Promotion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Capital in Cities Area."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6(2): 191-210. 

  10. Lim, Ko-Eun.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Social Studies Achievement. M.A. thesis.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Bourdieu, P. 1985. "The Form of Capital" In John G. Richardson (eds).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241-258. 

  12.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13. De Graaf, N. D., P. M. De Graaf, and G. Kraaykamp. 2000.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Sociology of Education, 73: 92-111. 

  14. DiMaggio, P. 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 189-201. 

  15. DiMaggio, P. and J. Mohr. 1985.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0(6): 1231-1261. 

  16. Eitle, T. M. and D. J. Eitle. 2002. "Race, Cultural Capital, a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ports." Sociology of Education, 75(2): 123-146. 

  17.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New York: Free Press. 

  18. Granovetter, M. 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19. Johnson, C. A. 2012. "How Do Public Libraries Create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Library Staff and Patro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52-62. 

  20. Kahne, J. and K. Bailey. 1999.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Youth Development: The Case of 'I Have a Dream' Program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1(3): 321-343. 

  21. Kalmijin, M. and G. Kraaykamp. 1996. "Race, Cultural Capital and Schooling: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United States." Sociology of Education, 69: 22-34. 

  22. Katsills, J. and R. Rubinson. 1990. "Cultural Capital, Student Achievement and Educational Reprodu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5: 270-279. 

  23. Krichna, Anirudh. 2007. "How Does Social Capital Grow? A Seven-Year Study of Villages in India." Journal of Politics, 69(4): 941-956. 

  24.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4: 1-24. 

  25.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 65-78. 

  26. Sullivan, A. 2001.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Sociology, 35(4): 893-912. 

  27. Woolcock, M. 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 Network." Theory and Society, 27: 151-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