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자본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Closing Disparities of Cultur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3 no.1, 2022년, pp.81 - 101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문화자본은 개인의 문화 활동을 촉진하는 문화적 환경을 통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왔다. 공공도서관은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현재의 진화하는 문화 환경에서도 공공도서관이 여전히 문화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자본 형성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활용, 다양한 문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자본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문화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적 격차와 사회적 격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ultural capital is construct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the cultur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lthough public libraries foster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support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ere is controversy about whether public libraries s...

주제어

참고문헌 (27)

  1. Choi, Myung Il, Lee, Gui Ok, & Park, Jo Won (2017). The influences of cultural capital on the experiential satisfaction of art gallery visits and post-visit intention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31(2), 54-73. DOI: https://doi.org/10.16937/jcp.31.2.201708.54 

  2. Choi, SetByol (2006). Does cultural capital exist in Korean society? Culture & Society, 1, 123-158. 

  3. Hwang, Kyungho & Kwon, Sang Hee (2011). A study on the evolution of smart phone and cultural capital.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14(2), 3-33. 

  4. Kim, Young Sun (2017). Functions and Roles of University Library as Cultural Contents Hub. Doctoral dissertation, Major in Arts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5. Seo, U-Seok & Lee, Ho-Yeong (2010). Networked cultural consumers and cultural capital.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7(1), 94-137. 

  6. Achaffenburg, K. & Maas, I. (1997). Cultural and educational careers: the dynamics of social reprodu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 573-587. 

  7. Anheier, H. K., Gerhards, J., & Romo, F. P. (1995). Forms of capital and social structure in cultural fields: examining Bourdieu's social topograph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0(4), 859-903. 

  8. Bennett, T. (2006). Postscript: cultural capital and inequality: refining the policy calculus. Cultural Trends, 15(2/3), 239-244. DOI: https://doi.org/10.1080/09548960600714427 

  9.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London: Routledge. 

  10.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 G. (Ed.), Richard, N. (Trans.),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241-258. 

  11. Bourdieu, P. (1987). What makes a social class? 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existence of groups. Berkeley Journal of Sociology, 32, 1-17. 

  12. Bourdieu, P. & Passeron, J. (1977).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London: Sage Publications. 

  13. Chan, T. W. & Goldthorpe, J. H. (2007). Social stratification and cultural consumption: the visual arts in England. Poetics, 35(2-3), 168-190. DOI: https://doi.org/10.1016/j.poetic.2007.05.002 

  14. De Graaf, N. D., De Graff, P. M., & Kraaykamp, G. (2000).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Sociology of Education, 73(2), 92-111. DOI: https://doi.org/2673239 

  15. Dimaggio, P. (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al participation of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 182-201. 

  16. Goulding, A. (2008). Libraries and cultural capital.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40(4), 235-237. DOI: https://doi.org/10.1177/0961000608096713 

  17. Holt, D. B. (1997). Distinction in America? Recovering Bourdieu's theory of tastes from its critics. Poetics, 25, 93-120. DOI: https://doi.org/10.1016/S0304-422X(97)00010-7 

  18. Holt, D. B. (1998). Does cultural capital structure American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1), 1-25. DOI: https://doi.org/10.1086/209523 

  19. India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4). Cultural Resources Manual. Available: https://www.in.gov/indot/crm/files/Chapter_4-_What_are_Cultural_Resources.pdf 

  20. Jeannotte, M. S. (2003). Singing alone? the contribution of cultural capital to social cohesion and sustainable commun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9(1), 35-49. DOI: https://doi.org/10.1080/1028663032000089507 

  21. Kalmijn, M. & Kraaykamp, G. (1996). Race, cultural capital and schooling: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United States. Sociology of Education, 69, 22-34. DOI: https://doi.org/2112721 

  22. Lizardo, O. (2008). The question of culture consumption and stratification revisited. Sociologica, 2/2008, 1-32. DOI: 10.2383/27709 

  23. Massanari, A. L. & Howard, P. N. (2011).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omnivorous news diets over three U. S. presidential election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Politics, 8(2), 177-198. DOI: https://doi.org/10.1080/19331681.2011.541702 

  24. Roscigno, V. J. & Ainsworth-Darnell, J. W. (1999). Race and cultural/educational resources: inequality, micro-political processes, and achievement returns. Sociology of Education, 72, 158-178. DOI: https://doi.org/2673227 

  25. Sullivan, A. (2001).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Sociology, 35(4), 893-912. DOI: 10.1017/S0038038501008938 

  26. Tondeur, J., Sinnaeve, I., van Houtte, M., & van Braak, J. (2010). ICT as cultural capita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computer-use profile of young people. New Media & Society, 13(1), 151-168. DOI: 10.1177/1461444810369245 

  27.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01).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Available: http://www.unesco.org/new/fileadmin/MULTIMEDIA/HQ/CLT/pdf/5_Cultural_Diversity_EN.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