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지 해빙 위성관측을 위한 분석 기술 개발
Research on Analytical Technique for Satellite Observstion of the Arctic Sea Ice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6 pt.2, 2018년, pp.1283 - 1298  

김현철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한향선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현창욱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지준화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손영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기술연구팀) ,  이성재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의 징후가 직접적으로 감지되고 있는 북극권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온난화의 추이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해빙의 변화는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추적 감시된다. 극지연구소에서 2017년부터 "북극해빙위성 관측을 위한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극 해빙의 특성 정보를 위성자료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이용한 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북극권 개발에 대비한 '북극 빙권 종합 위성 관측망' 구축에 필수적인 국제 공동 연구 협력도 포함하고 있다. 기후변화 연구와 더불어 북극항로 활용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극지연구소의 북극 원격탐사 연구 소개를 통해 국내 원격탐사 전문가들의 관심과 집중을 부탁하고자 한다. 북극연구에 대한 국제 동향과 국내 정책 배경을 소개하고, 극지연구소에서 연구 수행한 빙권 정보,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동연구를 통해 아리랑위성을 활용한 북극 해빙 관측 연구를 소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PRI(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have researhed Arctic sea ice by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since 2017 as a mission of KOPRI. The title of the reseach is "Development of Satellite Observation and Analysis for Arctc sea-ice". This project has three major aims; 1) development of prototy...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극지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북극 해빙위성관측을 위한 분석 기술 개발”연구를 소개함으로써 극지원격탐사에 대한 필요성 및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극지연구소에서는 본 과제 수행을 통해 북극 해빙의 글로벌 트랜드 영향 분석을 위한 위성종합관측망을 2025년까지 구축하는 것은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1) 극지 환경변화 준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2) 극지 원격탐사사 자료처리/분석기술 개발, 3) 국제 공동 위성관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해 2017년부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본 글은 극지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북극 해빙 위성관측을 위한 분석 기술 개발”연구에 대한 소개와 함께 다가오는 북극권 활용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국내 극지 원격탐사 활성화를 위한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Fig. 1).
  • , 2008). 본 연구에서는 해빙농도 산출에 NASA team(NT)(Cavalieri et al., 1984), Bootstrap(BT)(Comiso, 1986), Ocean and Sea Ice Satellite Application Facility hybrid(OSISAF)(Breivik et al., 2001; Tonboe et al., 2016), Arctic Radiation and Turbulence Interaction Study Sea Ice(ASI)(Spreen et al., 2008) 등 다양 한 알고리듬을 이용한 방법에 의해 산출된 결과에 대해, 이들 알고리듬을 고해상도영상 레이더 값을 제공하는 아리랑 5호 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는 해빙농도가 0-15%인 해역과, 15-80%인 해역으로 나누어 수행 하였다(Fig.
  • 극지연구소에서 기관고유사업으로 2017년도부터 1단계로 3년간의 연구를 시작한 “북극 해빙 위성관측을 위한 분석 기술 개발” 연구가 한국을 대표하여 INTAROS에서 국제 공동연구 파터너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제 공동 위성 관측 정보 공유 체계 구축을 통한 북극권 전역의 빙권 정보 확보와 함께 한국의 아리랑 위성을 활용한 북극 해빙 분석/처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북극권 빙권 정보 수요에 대한 한계 극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도 국제 사회에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북극권 인공위성 원격탐사 연구가 가능해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민국의 북극권에 대한 정책적 대응은 무엇인가? 북극권에 대한 관심은 각 국의 정책적인 면에도 반영되고 있다. 한국은 2013년 북극 이사회 영구 옵저버국이 되었으며, 2014년 북극정책 기본계획(Joint Minstry, 2013)을 수립하면서 북극권 기 후변화 연구, 북극 항로 개척 등 과학/경제/사회 분야 에 북극해 빙권 정보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북극해 해빙의 면적 및 변동은 인공위성 관측을 통해 밝혀 지고 있다(NSIDC: Natioanl Snow and Ice Data Center 해빙 정보 전세계 공유).
국제공동북극관측시스템인 INTAROS에서 우리나라가 수행하는 “북극 해빙 위성관측을 위한 분석 기술 개발” 연구의 목표는 무엇인가? 극지연구소에서 기관고유사업으로 2017년도부터 1단계로 3년간의 연구를 시작한 “북극 해빙 위성관측을 위한 분석 기술 개발” 연구가 한국을 대표하여 INTAROS에서 국제 공동연구 파터너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제 공동 위성 관측 정보 공유 체계 구축을 통한 북극권 전역의 빙권 정보 확보와 함께 한국의 아리랑 위성을 활용한 북극 해빙 분석/처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북극권 빙권 정보 수요에 대한 한계 극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도 국제 사회에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북극권 인공위성 원격탐사 연구가 가능해지고 있다.
온난화에 의한 극지역 빙하의 감소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해수면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2016년 북극 해빙의 면적은 예년보다 적었다”고 보고했다(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 특히 온난화에 의한 극지역 빙하의 감소는 북반구 기상이변과 해수면 상승이라는 현상으로 연결되어, 인간 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하고 직접적인 이슈로 전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북극권에 대한 관심은 각 국의 정책적인 면에도 반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eivik, L.A., S. Eastwood, O. Godoy, H. Schyberg, S. Andersen, and R. Tonboe, 2001. Sea Ice Products for EUMETSAT Satellite Application Facility, 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5): 403-410. 

  2. Cavalieri, D.J., P. Gloersen, and W.J. Campbell, 1984. Determination of sea ice parameters with the NIMBUS 7 SMMR, JGR Atmospheres, 89(D4): 5355-5369. 

  3. Chi, J. and H.-C. Kim, 2017. A fully data-driven method for predicting Antarctic sea ice concentrations using temporal mixture analysis and an autoregressive model, Remote Sensing Letters, 8(2): 106-115. 

  4. Comiso, J.C., 1986. Characteristics of Arctic winter sea ice from satellite multispectral microwave observations, JGR Oceans, 91(C1): 975-994. 

  5. Comiso, J.C., D.J. Cavalieri, C.L. Parkinson, and P. Gloersen, 1997. Passive microwave algorithms for sea ice concentration: A comparison of two techniqu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60(3): 357-384. 

  6. Comiso, J.C., C.L. Parkinson, R. Gersten, and L. Stock, 2008. Accelerated decline in the Arctic sea ice cove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 L01703, doi:10.1029/2007GL031972. 

  7. Han, H., S.-H. Hong, H.-C. Kim, T.-B. Chae, and H.-J. Choi, 2017. A study of the feasibility of using KOMPSAT-5 SAR data to map sea ice in the Chukchi Sea in late summer, Remote Sensing Letters, 8(5): 468-477. 

  8. Han, H. and H.-C. Kim, 2018. Evaluation of summer passive microwave sea ice concentrations in the Chukchi Sea based on KOMPSAT-5 SAR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09: 343-362. 

  9. Hirano, D., Y. Fukamachi, E. Watanabe, K. I. Ohshima, K. Iwamoto, A. R. Mahoney, H. Eicken, D. Simizu, and T. Tamura, 2016. A wind-driven, hybrid latent and sensible heat coastal polynya off Barrow, Alaska, JGR Oceans, 121(1): 980-997. 

  10. Holland, M.M., C.M. Bitz, and B. Tremblay, 2006. Future abrupt reductions in the summer Arctic sea ic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23): 1-5. 

  11. Hyun, C.-U. and H.-C. Kim, 2017. A Feasibility Study of Sea Ice Motion and Deformation Measurements Using Multi-Sensor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 Images, Remote Sensing, 9(9): 930. 

  12. Joint Ministry, 2013. Arctic Policies Basic Plan, Joint Ministry, Korea. 

  13. Joint Ministry, 2014. 1st Comprehensive Plan of Utilizing Satellite Information, Joint Ministry, Korea. 

  14. Lee, S., H.-C. Kim, and J. Im, 2017. Arctic lead detection using a waveform mixture algorithm from CryoSat-2 data, The Cryosphere, 2017: 1-21. 

  15. Murray, R.J. and I. Simmonds, 1995. Responses of climate and cyclones to reductions in Arctic winter sea ice, JGR Oceans, 100(C3): 4791-4806. 

  16. Serreze, M.C. and J. Stroeve, 2015. Arctic sea ice trends, variability and implications for seasonal ice forecas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73(2045): 20140159. 

  17. Son, Y.-S. and H.-C. Kim, 2018. Empirical ocean color algorithms and bio-optical properties of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Svalbard, Arctic,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39: 272-283. 

  18. Son, Y.-S., H.-C. Kim, and S. Lee, 2018. ASTER-Derived High-Resolution Ice Surface Temperature for the Arctic Coast, Remote Sensing, 10(5): 662. 

  19. Spreen, G., L. Kaleschke, and G. Heygster, 2008. Sea ice remote sensing using AMSR-E 89-GHz chann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3(C2): C02S03. 

  20. Steffen, K. and A. Schweiger, 1991. NASA team algorithm for sea ice concentration retrieval from Defens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special sensor microwave imager: Comparison with Landsat satellite imagery, JGR Oceans, 96(C12): 21971-21987. 

  21. The White House, 2013. 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 The White House, Washington, D.C., USA. 

  22. Tonboe, R.T., S. Eastwood, T. Lavergne, A. M. Sorensen, N. Rathmann, G. Dybkjær, L. T. Pedersen, J. L. Hoyer, and S. Kern, 2016. The EUMETSAT sea ice concentration climate data record, The Cryosphere, 10(5): 2275-2290. 

  23. WMO, 2017. WMO Statement on the State of the Global Climate in 2016,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No 1189, Geneva, Switzerland. 

  24. Zhang, J., R. Lindsay, M. Steele, and A. Schweiger, 2008. What drove the dramatic retreat of arctic sea ice during summer 2007?,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 L11505, doi:10.1029/2008GL034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