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수세보원』의 비약(脾約)에 관하여
A Study on the Splenic Constipation(脾約) in Donguisusebowon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0 no.4, 2018년, pp.1 - 10  

박세원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박성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lenic Constipation(脾約) in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Methods We investigated the provisions associated with splenic constipation written in "Donguisusebowon", "Donguibogam(&#...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의수세보원』에 나타난 脾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동의수세보원』, 『동의보감』, 『상한론』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계에 보고된 논문들과 『상한론』 및 『동의보감(東醫寶鑑)(이하 『동의보감』)』에 나타난 脾約에 관한 조문들을 살펴보고 『동의수세보원』의 脾約과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동의수세보원』의 脾約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脾約은 『상한론(傷寒論)(이하 『상한론』)』 ‘辨陽 明病脈證幷治’에 처음 제시되는 병증으로 陽明病 중에서 太陽陽明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이에 대한 장중경(張仲景)의 설명이 『상한론』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지 않아 예로부터 脾約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였다. 역대 주가들은 주로 脾約의 ‘小便數, 大 便硬’의 증상과 麻子仁丸(마자인환)의 처방을 중심 으로 脾約에 접근하였으며, 脾約을 진액상태의 이상으로 인하여 대소변의 조화가 깨진 상태로 보는 경우가 많았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의보감에서의 脾約(비약)은 어떠한가? 『동의보감』에서는 주로 『동의보감 내경(東醫寶鑑 內景)(이하 『동의보감 내경』)』의 「대변 비약증(大便 脾約證)(이하 「대변 비약증」)」에서 脾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장중경과 주단계(朱丹 溪)의 서적에서 인용되었다. 이 외에 『동의보감 잡병(東醫寶鑑 雜病)(이하 『동의보감 잡병』)』의 「한(상) 양명형증용약(寒(上) 陽明形證用藥)(이하 「한(상) 양명형증용약」)」에서 脾約에 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脾約(비약)에 관한 해석은 어떠한가? 脾約은 『상한론(傷寒論)(이하 『상한론』)』 ‘辨陽 明病脈證幷治’에 처음 제시되는 병증으로 陽明病 중에서 太陽陽明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이에 대한 장중경(張仲景)의 설명이 『상한론』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지 않아 예로부터 脾約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였다. 역대 주가들은 주로 脾約의 ‘小便數, 大 便硬’의 증상과 麻子仁丸(마자인환)의 처방을 중심 으로 脾約에 접근하였으며, 脾約을 진액상태의 이상으로 인하여 대소변의 조화가 깨진 상태로 보는 경우가 많았다 1.
동의수세보원에서는 비약에 대해 인용한 부분은 무엇인가? 『동의수세보원』에서 脾約과 관련된 인용문은 주로 『상한론』의 양명병 관련 조문과 이천의 『의학입문』에서 망양과 관련된 조문이며, 동무는 이를 『동의보감』에서 인용하였다 11 . 먼저 양명병과 관련된 인용 문을 살펴보면, 몸에서 열이 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오한은 없고 도리어 오열하는 陽明病 外證에 관한 조문과 8) , 저절로 땀이 나고 소변을 자주 보며 대변을 보기 어려운 것은 脾가 約한 것으로 마인환을 주로 사용하며 9) , 양명병에 저절로 땀이 나고 소변이 나올때 공법(攻法)을 쓰지 말고 밀도법(蜜導法)으로 통하게 해야 한다는 조문을 인용하였다. 10) 또한, 양명병에 열이 나고 땀이 많이 날 때는 대승기탕(大承氣 湯)으로 急下해야 한다고 한 조문을 인용하여 『상한론』에서는 진액이 유실되는 상황에 대변을 통하게 하는 치법이 중심이 되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11) 다음으로 『의학입문』에서 땀이 많이 나며 그치지 않는 것을 망양이라 하고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을 주로 쓴다는 내용을 인용하였다. 12) 동무가 『의학입문』의 망양 개념을 인용한 것은 脾約을 大便보다는 汗出을 중심으로 해석한 본인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JH, Jeong CH, Jang WC, Baik YS. A Study on the Meaning of Splenic Constipation Syndrome(脾約證) in Shanghanlun(傷寒論) - By Comparing 179 & 247 Provisions -. J. Korean Medical Classics. 2005;28(2):147-162. (Korean) 

  2. Han KS, Park SS. Research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n The DongyiSuseBowon Gabobon. J Sasang Constitut Med. 2002;14(1):34-50. (Korean) 

  3. Li YM.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of "Splenic Constipation"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1).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12;39(1):84-85. 

  4. Li YM.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of "Splenic Constipation"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2).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12;39(2):269-270. 

  5. Liu ZQ, Jin XJ. An Analysis of Treating "Syndrome of Constipation of Splenic Origin"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Henan Tradit Chin Med. 2016;36(10):1675-1677. 

  6. Zhu WX, Cheng FF, Wang XQ, Mu J, Li CX, et al.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 of Taiyang Yangming, spleen constipation and Maziren Pill. CJTCMP. 2017;32(9):3925-3927. 

  7. Lee JM. Donguisusebowon. Seoul: Yeougang; 2003. (Korean) 

  8. Lee JM(translation with notes by Kim DL). Dongyususebowon Gabogubon. Seoul: Mokgwato; 2002. (Korean) 

  9. Hur J. Donguibogam. Hadong: Donguibogam publishing company. 2006. (Korean) 

  10. Complied by Moon JJ et al. Interpretation of Shanghanlun. Seoul: Hanui publishing company. 2011. (Korean) 

  11. Park SS, Song IB. Study on the medical origin of Sasang(四象) Constitutional Medicine and medical philosophy of I Je-ma(李濟馬). J Sasang Constitut Med. 1993;5(1):1-33. (Korean) 

  12. Hong WS. Huangjenaegyeongsomun.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5. (Korean) 

  13. Cheng CW, Bian ZX, Zhu LX, Wu JC, Sung JJ. Efficacy of a chinese herbal proprietary medicine(Hemp Seed Pill) for Functional constipation. Am J Gastroenterol. 2011;106(1):120. 

  14. Bian ZX, Cheng CW, Zhu LZ. Chinese herbal medicine for functional constipa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Hong Kong Med J. 2013;19(9):44-46. 

  15. Zhong LL, Cheng CW, Kun W, Dai L, Hu DD, Ning ZW, et al. Efficacy of MaZiRenWan, a chinese herbal medicin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8. 

  16. Huang T, Ning Z, Hu D, Zhang M, Zhao L, Lin C, et al. Uncovering the Mechanisms of Chinese Herbal Medicine (MaZiRenWan) for Functional Constipation by Focused Network Pharmacology Approach. Front Pharmacol. 2018;9:2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