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엎드린 교각운동 자세에서 견갑골 전인 운동 시 익상 유무에 따른 다리 들기 차이가 체간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gs Difference on The Trunk Muscle Activities With and Without Winging Scapular During Scapular Protraction in Prone-Bridge Position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4 no.2, 2018년, pp.29 - 36  

김희곤 (M&B 운동센터) ,  황병준 (계림체형운동센터) ,  김종우 (대구박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g lift difference on serratus and upper trapezius when exercising in a scapula in a prone position, a typical waist stabilization exercise for subjects with a winged scapula. Method: Twenty normal adults and 20 subjects with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과 익상 견갑골을 가진 대상자에게 일반적인 허리 안정화 운동인 엎드린 교각 운동 자세에서 견갑골 전인 운동 시 다리 들기 차이에 따라 양측의 외복사근, 내복사근의 근활성도를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익상 견갑골 유무에 따른 엎드린 교각운동 자세에서 견갑골 전인 운동 시 다리 들기 차이에 따른 체간근의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과 익상 견갑골을 가진 대상자에게 일반적인 허리 안정화 운동인 엎드린 교각운동 자세에서 견갑골 전인 운동 시 다리 들기 차이에 따라 어깨 근육과 체간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대상자를 20명씩 정상인 그룹과 익상 견갑골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각운동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 척추 굽힘근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전방 안정근을 활성화시킨다고 한다(Kong 등, 2015). 교각운동은 닫힌 운동 사슬이며, 체중부하를 이용하는 자세로 근육의 근력, 지구력, 안정성 및 감각 운동 조절 시 사용할 수 있다. 닫힌 운동 사슬이 일어나는 관절 주위 주동근 및 길항근들이 공동수축을 일으켜 열린 운동 사슬보다 관절의 스트레스를 줄여 부상을 예방시켜 준다(De Mey 등, 2014).
익상 견갑골이란? 익상 견갑골이란 견갑골 주위의 외상, 수술, 스포츠 관련 손상 및 부상 등으로 인해 장흉신경이 손상되어(Oakes와 Sherwood, 2004), 견갑골 내연이 뜨고 하각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증상으로 정의된다(Ludewig 등 2004; Wiater와 Flatow, 1999). 교각운동은 체간의 심부 및 표재 근육을 향상시켜 상-하지의 기능적 자세와 움직임 동안 체간의 안정성을 증진시킨다(Andersen 등, 2014).
익상 견갑골을 가진 대상자의 근활성도 경향은? 본 연구의 결과 익상 견갑골을 가진 대상자에게 운동 선택 시 체간 안정성을 위해 가능하다면 엎드린 교각운동 자세에서 운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내복사근에 비해 외복사근의 근활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익상 견갑골을 가진 대상자에게 체간 안정성을 위해 외복사근과 내복사근의 적절한 조절이 견갑골 기능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공용수. 교각운동 방법 차이에 의한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근 두께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4. 

  2. 최남영, 장희승, 신윤아. 다양한 불안정면에서의 스쿼트 운동이 체간 및 하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자연과학. 2015;54(1):505-514. 

  3. 최희수, 권오윤, 이충휘, 등. 요부 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1):1-10. 

  4. Andersen CH, Andersen LL, Zebis MK, et al. Effect of scapular function training on chronic pain in the neck/shoulder reg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Occup Rehabil. 2014;24(2):316-324. 

  5. Andersson EA, Nilsson J, Ma Z, et al. Abdominal and hip flexor muscle activation during various training exercises.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7;75(2):115-123. 

  6. Barnett F, Gilleard W. The use of lumbar spinal stabilization techniques during the performance of abdominal strengthening exercise variations. J Sports Med Phys Fitness. 2005;45(1):38-43. 

  7. Brody LT, Hall CM. Therapeutic Exercise: Moving Toward Function.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alth, 2011. 

  8. De Mey K, Danneels L, Cagnie B, et al. Shoulder muscle activation levels during four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with and without Redcord slings. J Strength Cond Res. 2014;28(6):1626-16235. 

  9. Grenier SG, McGill SM. Quantification of lumbar stability by using 2 different abdominal activation strategies.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54-62. 

  10. Hodges PW, Moseley GL. Pain and motor control of the lumbopelvic region: Effect and possible mechanisms.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61-370. 

  11. Hodges PW, Richardson CA.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Phila Pa 1976). 1996;21(22):2640-2650. 

  12. Kang MH, Kim MS. EMG Activity in the abdominal muscles and the kinematics of the lumbar spine during unilateral upper-limb resistance exercises under stable and unstable conditions. J Phys Ther Sci. 2014;26(6):873-875. 

  13.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2005. 

  14.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2012. 

  15. Kong YS, Lee WJ, Park S, et al. The effects of prone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thickness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J Phys Ther Sci. 2015;27(7):2073-2076. 

  16. Latash ML, Levin MF, Scholz JP, et al. Motor contro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Medicina (Kaunas) 2010;46(6):382-392. 

  17. Lehman GJ. An unstable support surface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increases in muscle activity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The Journal of the Canadian Chiropractic Association. 2007;51(3):139. 

  18. Ludewig PM, Hoff MS, Osowski EE, et al. Relative balance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during push-up exercises. Am J Sports Med. 2004;32(2): 484-493. 

  19. McGill SM, Grenier S, Kavcic N, et al.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y to assur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53-359. 

  20. McMullen J, Uhl TL. A kinetic chain approach for shoulder rehabilitation. J Athl Train. 2000;35(3):329-337. 

  21. Okubo Y, Kaneoka K, Imai A,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ransversus abdominis and lumbar multifidus using wire electrodes dur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0;40(11):743-750. 

  22. Park SY, Yoo WG. Differential activation of parts of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during push-up variations on stable and unstable bases of support. J Electromyogr Kinesiol. 2011;21(5):861-867. 

  23. Santos MJ, Belangero WD, Almeida GL. The effect of joint instability on latency and recruitment order of the shoulder muscles. J Electromyogr Kinesiol. 2007;17(2):167-175. 

  24. Souza GM, Baker LL, Powers CM.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dynamic spine stabilization exercise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1):1551-1557. 

  25. Weon JH, Kwon OY, Cynn HS, et al. Real-time visual feedback can be used to activate scapular upward rotators in people with scapular winging: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physiotherapy. 2011;57(2):101-107. 

  26. Wiater JM, Flatow EL. Long thoracic nerve injury. Clin Orthop Relat Res. 1999(368):17-2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