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의 인식: 운동과 감성조명의 융합적 접근
Recognition of Emotional ligh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Fitness center users: Convergence approach of exercise and emotional light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2, 2018년, pp.381 - 391  

조건상 (부산대학교 체육교육과) ,  이은석 (가천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과) ,  진상은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경인지역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색채유형은 오세민과 곽영신(2015)의 연구에서 사용한 색채계열을 사용하였으며, 색채 인식은 이복신(1997)의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23.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과 독립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피트니스 이용자의 감성조명 색채선호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피트니스 이용자의 감성조명 색채별 인식의 차이는 성별, 연령에서 색채별 부분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트니스 이용자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 색채 인식의 차이에서도 각 색채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motional ligh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fitness center us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2 people in Gyeongin area fitness center. As a survey tool, the color types used in the study of Oh & Kwak(201...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경험적인 차원에서의 실험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대상들의 경험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경험의 내용에는 인간의 원초적인 활동에서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접근하고자 하는데, 이는 인간에게 있어 운동은 신체를 통한 원초적인 유희적 활동 중 하나로서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경험적인 차원에서의 실험연구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대상들의 경험에 대한 인지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경험의 내용에는 인간의 원초적인 활동에서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접근하고자 하는데, 이는 인간에게 있어 운동은 신체를 통한 원초적인 유희적 활동 중 하나로서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한다. 운동에 대한 효과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결과로 다 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내운동에서 운동유형에 따라 빛과 색채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감성조명의 지각에 따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고, 이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다양한 접근성 차원에 근거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피트니스 이용자의 감성조명 색채에 따른 선호도 및 감성조명 색채 인식의 차이.
  • 본 연구는 운동과 감성조명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피트니스 센터 이용자들의 운동참여유형에 따른 감성조명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경인지역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본주의적 접근의 현 실태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재조명되는 인본주의는 무엇인가? 인간 중심의 활동에서 인간은 홀로 독립되기보다는 자연친화적인 활동을 통해 생태통합적인 활동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인본주의의 골자이다. 하지만, 기술 발전을 통한 생태환경은 인간중심의 이기적인 활동으로 인해 그 환경이 훼손되고, 변질됨에 따라 인간은 변형적인 환경 즉, 기계적인 환경에 의존하게 되어 사물의 본질적 측면에서의 인본주의적 접근은 어려운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다시 말해, 현대의 인간은 주어진 환경 즉, 자연친화적인 환경이 아닌 최적화되어 대체되는 환경에 적응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인본주의의 핵심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재조명되는 인본주의는 무엇인가? 인간 중심의 활동에서 인간은 홀로 독립되기보다는 자연친화적인 활동을 통해 생태통합적인 활동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인본주의의 골자이다. 하지만, 기술 발전을 통한 생태환경은 인간중심의 이기적인 활동으로 인해 그 환경이 훼손되고, 변질됨에 따라 인간은 변형적인 환경 즉, 기계적인 환경에 의존하게 되어 사물의 본질적 측면에서의 인본주의적 접근은 어려운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감성조명에 관심을 두는 과학적 근거는 무엇인가? 이미 빛과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것은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빛의 경우 일조량이 증가할 경우 뇌하수체의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함으로 인간의 일주기 리듬과 내분비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2], 적정량의 일조량은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3]. 또한 색채의 경우 인간의 심리적 기분(mood)뿐만 아니라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며[4], 색채를 심리적 치료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색채에 대한 지각은 경험적인 차원에서의 효과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주관적이라는 측면에서 과학적 근거는 미약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S. Pak, C. S. Lee, J. S. Jang, K. H. Lee & H. T. Kim. (2011). A Consideration and Prospect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 Lighting.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0(1), 23-43. 

  2. B. H. Lee, J. H. Shon, S. Watanuki, A. Tasukouchi & T. Morita. (2007). Photoresponsive properties of the retinohypothalamic tract.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2), 253-261 

  3. A. Tuunainen, R. D. Langer, M. R. Klaube & D. F. Kripke. (2001). Short version of the CES-D (Burnam screen) for depression in reference to the structured psychiatric interview. Psychiatry Research, 103, 261-270. 

  4. N. Kwallek & C. Lewis. (1990). Effects of environmental colour on males and females: A red or white or green office. Applied Ergonomics, 21(4), 275-278 

  5. J. M. Burnham. (1998). Exercise is medicine: health benefits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he Louisiana State Medical Society, 150(7), 319-323. 

  6. Y. G. Kim. (2013). A Study on Exercise for Treatment of Disease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15(1), 33-44 

  7. DHHS (2002). Physical Activity Fundamental to Preventing Disease. Washingt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8. S. K. Droste, A. Gesing, S. Ulbricht, M. B. Muller, A. C. Linthorst & J. M. Reul. (2003). Effects of long-term voluntary exercise on the mouse hypothalamic-pituitary-adrenocortical axis. Endocrinology, 144, 3012-3023 

  9. K. Karacabey. (2005).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health and disease. Neuro Endocrinology Letters, 26(5), 617-623. 

  10. M. J. Kim & J. I. Yoo. (2017).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Exercise Identity, and Ment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3), 57-68. 

  11. T. Bodin & E. M. Martinsen. (2004). Mood and self-efficacy during acute exercise in clinical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26, 623-633. 

  12. J. J. Diehl & H. Choi. (2008). Exercise: the data on its role in health, mental health, disease prevention, and productivity. Primary Care, 35(4), 803-816 

  13. A. C. Kelly & E. L. Margie. (2010). No Strain, No Gain: Psychosocial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Across the Adult Lifespan.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Health, 7(5), 584-594. 

  14. D. H. Yoo & I. S. Yeo.(2013).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Exercise Capabil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 351-361. 

  15. S. Cohen. (2004).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y, 59, 676-684. 

  16. E. McAuley, G. J. Jerome, D. X. Marquez, S. Elavsky & B. Blissmer. (2003). Exercise self-efficacy in older adults: social, affective, and behavioral influence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5(1), 1-7. 

  17. S. M. Oh & Y. S. Kwak(2015). Color emotion comparison under LED Illuminations having different spectral distribution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9(4), 82-90. 

  18. B. S. Lee(1997). A Study On the Color Sense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12, 85-92. 

  19. N. M. Stone & A. J. English. (1998). Task type, posters, and workspace color on mood,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175-185 

  20. R. Mehta & R. J. Zhu. (2009). Blue or red? Exploring the effect of color on cognitive task performance. Science, 323, 1226-1229 

  21. J. H. Nam & B. J. Choi (2007). As trand change of red color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Design & Arts, 8, 17-34 

  22. K. T. Kim, S. Y. Oh, M. Yu, C. H. Yu, K. S. Han & T. K. Kwon (2014). Study on Human Physiological Responses to Emotional Lighting System using LED Flat Light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3), 29-38. 

  23. H. S. Pak, C. S. Lee & J. S. Jang (2011). The effect of LED Lighting hues on the rating and recognition of affective stimulu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3), 371-384. 

  24. H. R. Jin, M. N. Kim, S. M. Sung, T. K. Kwon, M. Yu, B. D. Jin & J. P. Hong (2010). Development of Emotional Lighting System on the Evaluation of Humen-Body Effect of Color Lighting Mode.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3(5), 59-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