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청소년의 임신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in female adolesc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1, 2018년, pp.549 - 559  

박경란 (가톨릭대학교 간호학) ,  권민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1년-2013년 청소년건강온라인행태조사에 응한 13세-19세 여학생 중 임신경험자 284명을 대상으로 한국 여성 청소년의 임신경험 위험 요인과 임신 경험과 자살행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임신경험군의 자살생각은 57.78%, 자살계획 37.7%, 자살시도 37.3%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임신을 경험한 여성 청소년은 자살생각, 계획, 시도가 없는 군에 비해 자살생각 1.44배, 자살계획 2.39배, 자살시도 2.38배 증가된 교차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청소년기의 임신 경험과 자살행동은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청소년기 임신 예방과, 임신경험 이후의 자살 위험 방지를 위해 학교와 교육 당국의 체계적 교육과 대처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정과 학교 및 지역사회 포괄적 영역에서 융합적 지원과 관심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pregna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in 284 pregnancy experienced adolescents aged 13-19 years. The suicidal ideation was 57.8%, the suicide plan was 37.7% and the suicide attempt was 37.3%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한국 여성청소년의 임신경험에 대한 일반적 특성의 영향을 파악한다. 넷째, 한국 여성청소년의 임신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2011년-2013년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여성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임신 경험의 영향요인 그리고 임신경험과 자살 행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2차 분석 연구로서 단면조사 설계로 이루어진 연구로서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임신경험과 자살행동에 대한 연구가 없는 현실에서 이를 파악하였기에 그 의미가 있다. 향후 임신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도모하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중재방법의 연구의 초석을 놓은 셈이다.
  • 청소년의 임신경험과 자살 행동과의 관련성 연구가 아직은 미진하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청소년의 임신경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임신경험과 자살행동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성청소년의 임신 경험이 자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둘째, 한국 여성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신경험을 비교한다. 셋째, 한국 여성청소년의 임신경험에 대한 일반적 특성의 영향을 파악한다. 넷째, 한국 여성청소년의 임신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이 조사는 청소년의 흡연, 음주, 비만, 식습관, 신체활동 등 15개 영역의 건강행태 파악을 위해, 중1-고3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 조사다. 표본 추출과정은 모집단 층화, 표본배분, 표본추출 단계로 진행하였다.
  • 자살시도는 고의적인 실제적 자해를 포함해 자살을 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자살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이며, 자살사망은 자살 실행으로 실제 자살을 의미한다[16]. 이에 여성 청소년의 임신 경험과 자살사망을 제외한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고위험군인 임신을 경험 하는 여성 청소년에 대한 사회, 심리, 보건학적인 융합적 측면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임신의 문제는 신체적 문제 외에도 무엇이 있는가? 청소년 임신은 임신중독, 빈혈, 자연유산, 사산 등의 비율이 일반 임신에 비해 높다. 신체적 문제 외에도 학업 실패, 실업, 사회경제적 박탈 등 부정적 결과와 연관이 있다[4-7]. 이는 심리적으로 좌절, 분노, 우울, 죄책감, 불안 등의 스트레스, 자포자기와 자살에까지 이르는 위험을 초래한다[4].
청소년기의 특징은? 청소년기는 급격한 생리적 변화와 함께 정체감 형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며, 성적 관심과 성적 충동이 높아진 다. 청소년기 건강한 성장은 건전한 인격체로서 사회의 안녕을 유지하며 살아가는데 필수적이다[1].
청소년기 건강한 성장은 왜 필수적인가? 청소년기는 급격한 생리적 변화와 함께 정체감 형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며, 성적 관심과 성적 충동이 높아진 다. 청소년기 건강한 성장은 건전한 인격체로서 사회의 안녕을 유지하며 살아가는데 필수적이다[1]. 청소년기 발생하는 부적절한 성행위는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특히 임신과 출산 등을 직접 경험하게 되는 여학생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여겨질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S. H. Mo, H. J. Kim, S. Y. Lee SY, J.H. Kim & K. M. Yoon. (2013). A study on the support plan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II: general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port No. 13-35-01. 

  2. S. Park, J. Lee & H. Kim. (2018). Influence of Sexual Behavior and Emotional State on Suicidal Ideation among Female Adolescents with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7(1), 15-27. DOI: 10.12934/jkpmhn.2018.27.1.15 

  3. H. J. Kim. (2014). Survey on the harmful environment of youth in 2014. Seoul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600013330 

  4. J. S. Moon. (2002). Study on actuality analysis of young unmarried mother of our country.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5. T. Bradley, M. E. Cupples & H. Irvine. (2002). A case control study of a deprivation triangle: teenage motherhood, poo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unemploy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t Medicine and Health, 14(2), 117-123. 

  6. S. S. Mitsuhiro, E. Chalem., M. M. Barros, R. Guinsburg & R. Laranjeira. (2006). Teenage pregnancy: use of drugs in the third trimester and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28(2), 122-125. DOI : 10.1590/S1516-44462006000200009 

  7. P. O. Olausson, B. Haglund, G. R. Weitoft & S. Cnattingius. (2001). Teenage childbearing and long-term socio-economic consequences: a case study in Sweden,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33(2), 70-74. DOI : 10.1363/3307001 

  8. N. P. Mota, M. Burnett & J. Sareen. (2010) Associations between abortion, mental disorders, and suicidal behaviour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4), 239-247. DOI : 10.1177/070674371005500407 

  9. J. Y. Kim, Y. J. Hwang, J. I. Lee, E. L. Bang, H. C. H. C. Kang & J. M. Gwack. (2013) Research on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youth single parent family II: response by type and lifecycle of youth single paren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port No. 13-36-01. 

  10. C. V. Bellieni & G. Buonocore. (2013) Abortion and subsequent mental health: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7(5), 301-310. DOI : 10.1111/pcn.12067 

  11. J. W. Lee & K. O. Ryu (2018). The adolescent statistics. Daejeon : Statistics Korea.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67381 

  12. P. M. Lewinsohn, P. Rohde & J. R. Seeley. (1996).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linical implication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3(1), 25-46. DOI: 10.1111/j.1468-2850.1996.tb00056.x 

  13. Y. J. Kim & C. S. Chung (2014).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539-547. DOI : 10.14400/JDC.2014.12.6.539 

  14. N. M. Hong & Y. S. Chung (1999).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7(1), 449-473. 

  15. S. H. Ha. (2001). The mediation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1, 135-163. 

  16. W. M. Reynolds (198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 Professional manual,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7. G. V. Freitas, C. F. Cais, S. Stefanello ,& N. J. Botega. (2008). Psychosocial conditions and suicidal behavior in pregnant teenagers: a case-control study in Brazil.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7(6), 336-342. DOI: 10.1007/s00787-007-0668-2 

  18. M. Bayatpour, R. D. Wells & S. Holford. (1992) Physical and sexual abuse as predictors of substance use and suicide among pregnant teenagers.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3(2), 128-132. DOI: 10.1016/1054-139X(92)90079-Q 

  19. S. C. Hodgkinson, E. Colantuoni, D. Roberts, L. Berg-Cross & H. M. Belcher. (2010). Depressive symptoms and birth outcomes among pregnant teenagers.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23(1), 16-22. DOI: 10.1016/j.jpag.2009.04.006 

  20. H. W. Kim.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2), 309-328. 

  21. B. K. Yang. (2014). 1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ungbuk: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yhs.cdc.go.kr 

  22. J. I. Cheong, C. H. Lee, J. H. Park, B. J. Ye, K. A. Kwon & Y. S. Lee. (2015). The effect of early menarche on the sexual behaviors of Korean female adolescents. Annals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20(3), 130-135. DOI: 10.6065/apem.2015.20.3.130 

  23. G. Y. Lee & I. O. Sim. (2013). Factors affecting sexual experience of freshman in college. Journal of Korean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4, 159-182. 

  24. J. H. Lee. (2005). A forecast model for teenage girls' pregnancy. Studies on Korean Youth, 16(1), 345-382. 

  25. B. J. Ellis, J. E. Bates, K. A. Dodge, D. M. Fergusson, L. J. Horwood, G. S. Pettit & L. Woodward. (2003). Does Father Absence Place Daughters at Special Risk for Early Sexual Activity and Teenage Pregnancy? Child development, 74(3), 801-821. DOI: 10.1111/1467-8624.00569 

  26. J. Y. Jo & Y. H. Kim. (2006). A path model of self, family, & extrafamilial system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3), 181-195. 

  27. L. Rew, T. Carver & C. C. Li. (2011). Early and risky sexual behavior in a sample of rural adolescent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34(4), 189-204. DOI: 10.3109/01460862.2011.619861 

  28. M. H. Choi. (2004). The study of the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s by sex, school, and life environment. master's thesis. Seosan: Hanseo University. 

  29. S. E. Park, S. N. Yoon, Y. Yi, W. Cui & B. Nam. (2011).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dolescents smoking: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Asian Nursing Research, 5(3), 189-195. DOI: 10.1016/j.anr.2011.09.008 

  30. S. E. Kim. (2012). Reconsidering a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youth employment and delinquency. The Police Science Journal, 7(2), 431-458. 

  31. S. H. Gwon & C. Y. Lee. (2012).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Intercour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8th (201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1), 76-83. DOI: 10.4040/jkan.2015.45.1.76 

  32. R. C. Perry, R A. Braun, M. Cantu, R. N. Dudovitz, B. Sheoran & P. J. Chung. (2014). Associations among text messaging, academic performance, and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school health, 84(1), 33-39. DOI: 10.1111/josh.12115. 

  33. E. W. Lee. (2006). The Impact of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Educ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 Youth Research, 13(6), 247-274. 

  34. A. Y. Akers, C. P. Lynch, M. A. Gold, J. C. Chang, W. Doswell, H. C. Wiesenfeld, W. Feng & J. Bost. (2009).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ight, race and sexual behaviors among girls. Pediatrics, 124(5), e913-e920. DOI: 10.1542/peds.2008-2797 

  35. P. M. Boislard & F. Poulin. (2011). Individual, familial, friends-related and contextual predictors of early sexual intercourse. Journal of Adolescence, 34(2), 289-300. DOI: 10.1016/j.adolescence.2010.05.002 

  36. S. Baba, Goto A & M. R. Reich. (2014). Recent pregnancy trends among early adolescent girls in Japan. Th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40(1), 125-132. DOI; 10.1111/jog.12138 

  37. J. B. Kingree, R. Braithwaite & T. Woodring. (2000). Unprotected sex as a function of alcohol and marijuana use among adolescent detainees.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7(3), 179-185. DOI: 10.1016/S1054-139X(00)00101-4 

  38. C. Poulin & L. Graham.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substance use, unplanned sexual intercourse and other sexual behaviors among adolescent students. Addiction, 96(4), 607-621. DOI: 10.1046/j.1360-0443.2001.9646079.x 

  39. J. Y. Lee. (2017). Factors affecting conraceptive use among adolescent girls in South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3), 259-267. DOI: 10.4094/chnr.2017.23.3.259 

  40. M. A, Ott. G. S. Sucato & Committee on Adolescence. (2014). Contraception for adolescents. Pediatrics, 134(4), e1257-e1281. DOI: 10.1542/peds.2014-2300 

  41. J. O. Yu, H. H. Kim & J. S. Kim.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3), 159-167. DOI: 10.4094/chnr.2014.20.3.159 

  42. D. Y. Kim. (2017).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adolescents and their cyber-delinquency focusing on mediating factors or youth self-control and youth activity. Korea Youth Research, 5, 155-178. 

  43. J. Traczyk, A. Sobkow & T. Zaleskiewicz. (2015). Affecting-laden imagery and risk taking : the mediating role of stress and risk perception. PLoS One, 10(3), e0122226. DOI: 10.1371/journal.pone.0122226 

  44. T. F. Liao. (2003). Mental health, teenage motherhood, and age at first birth among British women in the 1990s. ISER(Institute for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s Series 2003-33. http://hdl.handle.net/10419/92020 

  45. L. F. Chan, Adam. B. Mohamad, K. N. Norazlin, M. I. Siti Haida, V. Y. Lee, A. W. Norazura, Zakuan K. Ek & S. M. Tan. (2016).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 pregnant adolescents: The role of sexual and religiou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Journal of adolescence, 52, 162-169. DOI: 10.1016/j.adolescence.2016.08.006 

  46. K. Wilson-Mitchell, J. Bennett & R. Stennett. (2014).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experiences of pregnant adolescent mothers in Jamaic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1(5), 4729-4744. DOI: 10.3390/ijerph110504729 

  47. N. P. Mota, B. J. Cox, L. Y. Katz & J. Sareen. (2010). Relationship between mental disorders suicidality and three sexual behavior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9(3), 724-34. DOI: 10.1007/s10508-008-9463-5 

  48. F. M. Coelho, R. T. Pinheiro, R. A. Silva, L. de Avila Quevedo, L. D. de Mattos Souza, M. B. de Matos, R. D. Castelli & K. A. Pinheiro. (2014). Parental bonding and suicidality in pregnant teenagers: a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ern Brazil.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9(8), 1241-1248. DOI: 10.1007/s00127-014-0832-1 

  49. M. Y. Nam & O. H. Kweon (2017). The Convergence over Effect of Adolesc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Bullyingon Victim on Suicidal Ide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Children Communi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29-138. DOI : 10.22156/CS4SMB.2017.7.4.129 

  50. J. S. Lim, B. S. Gu, & O. S. Cho (2018). The effect of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135-143. DOI : 10.22156/CS4SMB.2018.8.4.135 

  51. K. Oh, M. Gang, & M.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self-confidence in the teacher's role on adolescent suici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321-328. DOI : 10.14400/JDC.2017.15.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