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우입자분포를 고려한 시강우의 강우에너지 산정 연구
Estimation of the Kinetic Energy of Raindrops for Hourly Rainfall Considering the Rainfall Particle Distribution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9 no.12, 2018년, pp.15 - 23  

김성원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정안철 (International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기하 (Department of Construction &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관수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토양침식은 물에 의한 토양침식이며 강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강우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은 토지자원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이후 하천에 유입되고 퇴적되어 하천수자원의 관리 및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는 30mm/hr 이상의 집중호우의 발생횟수가 증가하고 있어 단기간에 토양침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하여 강우강도별 강우입자의 분포를 추정하고 단일 호우사상이 가지는 강우에너지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강우에너지 산정공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강우강도 0.254~152.4mm/hr에서 측정된 강우입자 자료를 이용하였다. 누적분포함수를 적용하여 산정된 강우에너지는 강우강도의 관계에서 멱함수형태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로 얻어진 식을 바탕으로 1~80mm/hr 강우강도의 강우 운동에너지를 산정한 결과 $0.03{\sim}48.26Jm^{-2}mm^{-1}$로 나타났다. 강우강도와 강우에너지의 관계를 바탕으로 강우에너지 식을 멱함수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공식은 한시적으로 설치하는 침사지와 같은 시설물의 규모를 결정하는 계획의 토양침식량을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ccurrence of soil erosions in Korea is mostly driven by flowing water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rainfalls. The soil eroded by rainfalls flows into and deposits in the river and it polluted the water resources and making the rivers become difficult to be managed. Recently, the frequenc...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강우침식인자를 산정하기 위해 USLE, RUSLE, RUSLE2에서 채택하고 있는 강우 운동에너지식과 실내실험을 통해 제안된 강우 운동에너지식,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 강우에너지와 비교 검토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해 단기호우사상에 따른 토양침식예측에 대한 접근이 요구됨에 따라 강우의 물리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강우에너지를 산정하고 다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강우에너지 산정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단일호우사상으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 예측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사상의 물리적인 특성에 근거한 독립된 강우사상의 강우에너지(Kinetic Energy, KE)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강우강도-강우에너지의 관계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제안되어 사용하고 있는 강우에너지식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강우에너지 공식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토양침식은 물에 의한 토양침식이며 강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강우로부터 발생하는 토양침식은 토지자원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이후 하천에 유입되고 퇴적되어 하천수자원의 관리 및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는 30mm/hr 이상의 집중호우의 발생횟수가 증가하고 있어 단기간에 토양침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토양침식이란 무엇인가? 토양침식은 강우, 바람, 습도, 기온 등의 환경적인 인자들과 지표유출, 토양특성, 사면경사 및 길이, 식생피복 및 토지이용상태 등의 지형학적 인자들의 복합적 작용에 의한 물리적인 현상이다. 사막과 같은 건조한 지역을 제외한 일반  적인 영역에서 나타나는 토양침식은 물에 의한 것으로 환경적 인자인 강우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토양체에 전달되는 강우에너지의 변화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여러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하여 동일한 강우량이 주어질때 강우강도를 변화시켜 토양체에 전달되는 강우에너지에 변화에 대한 실험이 많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유출되는 토사량은 강우강도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Young & Wlersma, 1973), 이는 토양침식이 강우량보다 강우에 너지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fullo, J. O. (2011), Raindrop size distribution modeling for radio link along the eastern coast of South Africa, Progress in Electromagnetics Research, Vol. 34, pp. 345-366. 

  2. Assouline, S. and Mualem, Y. (1989), The similarity of regional rainfall : a dimensionless model of drop size distribution,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32(4), pp. 1216-1222. 

  3. Best, A. C. (1950), The size distribution of raindrop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76. pp. 16-36. 

  4. Brown, L. C. and Foster, G. R. (1987), Storm erosivity using idealized intensity distribution, Vol. 30, pp. 379-386. 

  5. Carter, C. E., Greer, J. D., Braud, H. J. and Floyd, J. M. (1974), Raindrop characteristics in South Central United States,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17(6), pp. 1033-1037. 

  6. Checa, R. and Tapiador, F. J. (2011), A maximum entropy modelling of the rain drop size distribution, Entropy, Vol. 13, pp. 293-315. 

  7. Chow, V. T. and Harbaugh, T. E. (1965), Raindrop production for laboratory watershed experiment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70(24), pp. 6111-6119. 

  8. Foote, G. B. and Tori, P. S. (1969), Terminal velocity of raindrops Aloft,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8(2), pp. 249-253. 

  9. Foster, G. R., McCool, D. K. and Moldenhauer, W. C. (1981), Conversion of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to SI metric unit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36, pp. 355-359. 

  10. Gunn, R. and Kinzer, G. D. (1949), The terminal velocity of fall for water drops in stagnant air, Jounal of Meteor, Vol. 6, pp. 243-248. 

  11. Kim, J. K., Yang, D. Y. and Kim, M. S. (2010), Evalu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aindrop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Vol. 17(1), pp. 49-57 (In Korean). 

  12. Kim, J. K., Yang, D. Y., Kim, M. S., Kim, J. Y. and Shin, H. M. (2009), Growth of gully in the mountainous slope underlain by granit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16(3), pp. 87-100 (In Korean). 

  13. Kim, J. Y., Yi, S. H. and Kim, J. W. (2012), A study on mountain stream type deposit at Suhang valley in Odaecheon,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Vol. 1(1), pp. 75-90 (In Korean). 

  14. Kim, M. S. (2016), Analysis of sediment yield properties in two small watersheds situated under granite and gneiss using GeoWEPP model,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Vol. 5(1), pp. 61-70 (In Korean). 

  15. Kim, J. K., Kang, J. W., Jeong, G. S., Choi, H. and Kim, M. S. (2016), Suggestion for the optimum operating methods of rainfall simulator through the analysis of raindrop's characteristics,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Vol. 5(5), pp. 51-60 (In Korean). 

  16.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Abnormal climate report (In Korean). 

  17. Laws, J. O. (1941), Measurements of the fall-velocities of waterdrops and raindrop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2, pp. 709-712. 

  18. Laws, J. O. and Parsons, D. A. (1943), The relation of raindropsize to intensity,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4, pp. 452-460. 

  19. Lee, J. H., Oh, K. D. and Heo, J. H. (2010), Assessment of rainfall parameters to predict rainfall-runoff erosive index, Proceeding of KSCE conference, pp. 1881-1884 (In Korean). 

  20. Lim, Y. S., Kim, J. W., Kim, J. K. and Park, B. I. (2012), Evaluation of kinetic energy of raindrops at Deajeon city using laser-optical disdrometer, Journal of the Korea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Vol. 19(2), pp 133-143 (In Korean). 

  21. Llasat, M. C. (2001), An objective classification of rainfall events on the basis of their convective features: application to rainfall intensity in the northeast of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A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21(11), pp. 1385-1400. 

  22. Marshall, J. S. and Palmer, W. McK. (1948), The distribution of raindrops with size, Jounal of Meteor, Vol. 5, pp. 165-166. 

  23. Marshall, J. S., Langille, R. C. and Palmer, W. McK. (1947), Measurement of rainfall by radar, Jounal of Meteor, Vol. 4, pp. 186-192. 

  24. McGregor, K. C., Bingner, R. L., Bowie, A. J. and Foster, G. R. (1995), Erosivity index values for northern mississippi,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8(4), pp. 1039-1047. 

  25. Meyer, L. D. and Harmon, W. C. (1979), Multiple-intensity rainfall simulator for erosion research on row sideslop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22(1), pp. 100-103. 

  26. Meyna, A. and Pauli, B. (2003), Taschenbuch der Zuverlassigkeitsund Sicherheitstechnik, Carl Hanser Verlag, Munchen. 

  27. Morgan, R. P. C., Quinton, J. N., Smith, R. E., Govers, G., Poesen, J. W. A., Auerswald, K., Chisci, G., Torri, D. and Styczen, M. E. (1998), The European soil erosion model (EUROSEM): A dynamic approach for predicting sediment transport from fields and small catch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23, pp. 527-544. 

  28. Mualem, Y. and Assouline, S. (1986), Mathematical model for rain drop distribution and rainfall kinetic energy,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29(2), pp. 494-500. 

  29. Onaga, K., Shirai, K. and Yoshimaga, A. (1988), Rainfall erosion and how to control its efforts on farmland in Okinawa. In: Rimwanich S (ed) Land conservation for future generations. Department of Land Development, Bangkok, pp. 627-639. 

  30. Pedersen, H. S. and B. Hasholt (1995), Influence of windspeed on rainsplash erosion, Catena, Vol. 24, pp. 39-54. 

  31. Rosewell, C. J. (1986), Rainfall kinetic energy in Eastern Australia,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rology, Vol. 25, pp. 1965-1971. 

  32. Smets, T., Borselli, L., Poesen, J. and Torri, D. (2011), Evaluation of the EUROSEM model for predicting the effects of erosioncontrol blankets on runoff and interrill soil erosion by water, Geotext Geomembr, Vol. 29, pp. 285-297. 

  33. Simth, D. D. and Wischmeier, W. H. (1962), Rainfall erosion, Advances in agronomy, Vol. 14, 109-148. 

  34. Son, K. I. (2001),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3), pp. 199-207 (In Korean). 

  35. Torri, D., Sfalanga, M. and Del Sette, M. (1987), Splash detachment: runoff depth and soil cohesion, CATENA, Vol. 14, pp. 149-155. 

  36. Villermaux, E. and Bossa, B. (2009), Single-drop fragmentation determines size distribution of raindrops, Nature physics, Vol. 5, pp. 697-702. 

  37. von Lenard, P. (1904), Uber regen, Meteor. Zeit., Vol. 6, pp. 92-262. 

  38. Wischmeier, W. H. and Smith, D. D. (1958), Rainfall energy and its relationship to soil los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39(2), pp. 285-291. 

  39. Young, R. A. and Wlersma, J. L. (1973), The role of rainfall impact in soil detachment and transpor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9(6), pp. 1629-16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