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Natural Convergence Space as a New Type of Complex Cultural Space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1 no.11, 2018년, pp.1333 - 1341  

이재민 (Dept of Contents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권기창 (Dept of Contents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lleys, villages and traditional market spaces have been recreat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due to urban renewal or village community polici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refer to buildings such as museums and libraries in dealing with complex cultural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융합형 공간은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발생하여, 문화 예술 공동체 등이 융복합적인 과정을 거쳐 새롭게 재생산 되는 공간을 의미한다(이재민, 2017).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이 가지는 특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에 과거 삶과 생업의 공간으로만 기능했던 공간들은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창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재창조 되는 복합문화공간의 패러다임 속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지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하였다. 즉,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도심재생, 마을공동체 운동,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젝트 등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실천 속에서 새롭게 창조되는 마을, 골목, 시장 공간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포함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복합 문화공간의 개념과 유형을 재정립하기 위한 시도이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을 ‘문화, 예술, 쇼핑, 체험 등이 혼재하여 나타나고 있는 시설물’이라 국한하였으며, 이에 대해 기능별로 유형화하 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의 유형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명명하고 유형화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김광석 거리(대구)·보수동 책방골목(부산)·구시장 찜닭거리(안동)·신세동 벽화마을(안동)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즉, 본 연구는 이 같은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고 유형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현재 한국사회에서 실제 생활에 적용 가능한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의 유형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명명하고 유형화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재창조 되는 복합문화공간의 패러다임 속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지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하였다. 즉,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자연융합형 공간으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새로운 복합 문화공간으로 재창조 되고 있는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대구 김광석 거리, 안동 구시장, 안동 신세동 벽화 마을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목과 마을, 시장의 기능은? 한국사회에서 이 같은 공간은 한국전쟁 당시 대부분 소실되거나 피해를 입어 복구되었으며, 1960년대 이후에는 새마을운동을 통해 이 같은 공간의 물리적 경관이 정비되어 사람들의 삶을 응축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의 골목과 마을, 시장은 인간의 실존과 역사, 문화적 경험과 그 기억의 실재를 규정하거나 또는 실천하고 있으며, 지역의 장소성을 대표한 공간으로 기능하였다(박승희, 2013). 이러한 공간은 한국인의 삶이 서려있는 공간이며 더 나아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였다(윤재홍, 2002).
복합문화공간은 무엇인가? 복합문화공간이란 문화·사회·유흥·도시·교통·교육 등 여러 관점에서 연계되어 복합적인 형태로 발전된 것이다(김아영, 2013). 우리나라에서 복합문화공간은 20세기 후반 복합쇼핑몰(Mall)이 도시민이 여가시간을 보내는 대표적인 도시여가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이승우, 2003).
복합문화공간의 정의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연구된 복합문화공간은 주로 ‘시설물’에 국한되고 있는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박아현(2014)은 “공연․전시․복지․교육 등 전반 적인 문화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물”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지경애(2014)는 “광장, 전시시설, 문화 서비스시설, 교통시설 등을 한 장소에 밀집시켜 문화 시설에 다양한 관람․전시․교육․상업시설을 복합”시키는 시설물만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윤은경·이동우(2015)는 메가 몰(Mega Mall)이나 원스톱 쇼핑몰(One-Stop Shopping Mall)과 같이 “동일지대에두 분야의 시설이 기능적인 연계가 이루어졌을 때물리적인 복합화로써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다”라고 고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Park, "The Study of Storytelling an Alley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of Daegu," Journal of Hanminjok Emunhak, Vol. 63, pp. 403-429, 2013. 

  2. J. Yun, "Padagogoche Anthropologie of Golmok and Neighborhood,"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 27, pp. 73-90, 2002. 

  3. A, Kim, A Study on Complex Cultural Space Introducing Experiences of Slobbism, Master's Thesis of Hongik University of Interior Design, 2013. 

  4. S. Lee, The Role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s Urban Leisure Space -Focusing on the Causal Structure Analysis of User's Behavior-, Docto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Urban Design, 2003. 

  5. C. Noh, "The Contents Planning Using Memory Industr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1, No. 4, pp. 527-534, 2018 

  6. A. Park,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of Cultural Complex, Master's Thesis of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2012. 

  7. K. Ji, Study on the Design Management for Sustainable Complex Cultural Space -Focus on Dongdaemun Design Plaza-, Master's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of Design Management, 2013. 

  8. Y. Yun and D. Lee, "Study on Complex Cultural Space using Modern Industry Heritage of Changsin-dong Sewing Alley," Proceeding of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pp, 167-172, 2015. 

  9. ARTE, A Study on the Effective Utilization and Maximization of Cultural Space: Focusing on the Actual State of Operation of Major Cultural Space, ARTE 91-9, 1992. 

  10. Duk-Woo Nam, A Study on the Design of Cultural Complex Building Base on the Cultural Context, Master's Thesis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2003. 

  11. J. Lee, A Design Proposal of Urban Cultural Complex Applying Hybrid Concept -The Renova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in Gangnam-, Master's Thesis of Hongik University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2006. 

  12. Y. Cho,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Cultural Complexes and their Public Space Programs, Master's Thesis of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2014. 

  13. J. Lee, "Functionality Analysis of a Complex Cultural Space Bosu-dong Bookstores Alle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8, No. 6, pp, 735-749. 

  14. J. Lim and J. Chun, "A Study on Multi-cultural Space Where Applied Healing Concept,"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 9, No. 4, pp, 257-265. 

  15. H. Soh,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n Customer Creation -In the Case of the Multi-complex, Master's Thesis of Dankook University of Culture, Art and Design, 2011. 

  16. Busan Jung-gu, http://www.bsjunggu.go.kr/news/board/view.junggu(accessed Aug., 17, 2018). 

  17. Rediscovery of Daegu(2018),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167 (accessed Aug, 17, 201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